-
캠프 캐럴 고엽제 드럼통, 없는 것 알고도 찾고 있나 | 환경뉴스
2011.06.24
|미국 캠프캐럴 기지에 대한 두가지 중요한 보고서가 공개되었다. 하나는 1992년 미육군 공병단 보고서이고 또하나는 2004년 삼성물산의 환경오염조사보고서이다. 보고서 공개를 통해 충격적인 사실도 밝혀졌다. 캠프캐럴 지하수에 맹독성 발암물질인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가 국내 먹는물...
-
'복덩이' 흰 제비가 마을 화목 물어왔네 [5] | 환경뉴스
2011.06.23
|봄의 전령사 제비, 추억 속으로 가고 있는데 길조의 상징 흰 제비 동해시에서 관찰 삼월 삼짇날(음력3월3일)이면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온다고 했다. 추녀 밑에 집을 짓고 옛집을 수리해 번식을 하는 때고 삼짇날 무렵이면 날씨도 온화하고 산과 들에 꽃이 피기 시...
-
"할 거냐 말 거냐", 분열 부르는 MB식 소통 [1] | 신창현의 분쟁닷컴
2011.06.22
|문제 속에 답이 있다는 말이 있다. 그런데 우리는 답을 찾기 어려운 문제를 내고 답을 찾으라고 요구한다. 동강댐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 새만금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 4대강 사업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 모두 답을 찾는 질문이 아니라 싸움을 붙이는 질문이다. 하는 쪽...
-
여름 숲속의 보석, 삼광조 태어나다 [2] | 사진
2011.06.21
|지난 2009년6월 경기도 가평군에서 촬영하였다. ▲암컷이 알을 품고있다. 초록빛 숲속에서 한세대를 이어가는 탄생이 시작되었다. ▲태어난지 3일된 새끼 13일만 태어났다. 새끼 소리는 들리지만 보이질 않는다. 3일이 지난 후 4마리의 새끼가 처음으로 고개를 내밀었다...
-
"솔개미 떴다, 병아리 감춰라", 먹이사냥 생생 포착 [1] | 사진
2011.06.20
|솔개의 먹이 사냥 멸종위기야생동물2급 ▲①정지비행으로 먹이감을 매섭게 살피는 솔개 솔개는 우리나라의 텃새입니다. 털색은 전체적으로 진한갈색으로 평소에 날을 때 날개 밑면의 첫째 날개깃이 시작되는 부분에 흰...
-
‘변신의 달인들’, 자연 속 숨은 그림 찾기 [1] | 사진
2011.06.17
|숨고, 위장하고, 흉내내고, 겁주는 동물들의 살아남기 전략 백태오징어는 몽환적 무늬 변화로 꽃게에 최면 걸어 무당개구리 뭔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가능성이 있다면 다가서기로 다짐한 삶이기에, 미끄러운 길을 간신히 기어 올라보니 자연 ...
-
뱀보다 무서운 건 벌, 더 무서운 건 사람 [1] | 김성호의 자연 곁에서 거닐다
2011.06.16
|산에 깃들어 사는 친구들을 만나기 위해 산으로 향하는 길은 언제라도 가슴 설레는 여정이 됩니다. 산에는 내가 좋아하는 벗들이 많이 있습니다. 기꺼이 제 자리만 지키면서도 철을 따라 몰려오는 세상살이의 어려움을 잘도 견뎌내는 야생화가 있고, 이렇게 사는 것이 옳다는 듯 당당...
-
지뢰밭이 지킨 '평화의 숲'…생태계 신비 고스란히 | 한국의 숲
2011.06.15
|논밭과 집터는 숲과 습지로…출입통제 덕에 평지 숲 원형 간직연료림 심은 아까시나무 우세, 조사 전무해 "뭐가 있을지 모른다" 소이산 부근 지뢰지대 안의 숲 모습. 평지여서 과거 논이거나 집터였을 것이다. 텃밭이 딸린 집터를 60년쯤 방치하면 어떻게 될까. 흙먼지 날리던 학교 운동...
-
건설업자만 배불릴 케이블카, 환경부는 왜 매달리나 [1] | 환경뉴스
2011.06.13
|지금, 우리나라 국립공원은 케이블카로 폭발 일보 직전이다. 환경부에 의하면 설악산국립공원, 지리산국립공원, 북한산국립공원, 한려해상국립공원 등 9개 국립공원에 인접한 15개 지자체가 케이블카 사업을 검토·추진 중이며, 양양, 산청, 구례, 남원, 영암, 사천 등 6개 자자체는 케이블...
-
팔당호 ‘조폭’ 강준치,체면 잃고 과자 앵벌이 [3] | 환경뉴스
2011.06.12
|휴일이던 지난 6일 오후 두물머리는 관광객으로 북적였다.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 두물머리는 팔당호를 따라 산책로가 조성돼 건너편 세미원과 함께 한적한 호숫가의 정취를 맛보려는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사람들의 눈길이 팔당호에 과자를 던져주는 이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