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대에 걸쳐 300여 년 ‘정성 손길’이 빽빽한 전통숲 [3] | 한국의 숲
2011.06.01
|② 부산 기장 아홉산 숲 도시 야산에 우량 혈통의 소나무와 참나무 거목 살아 남아 관리 부재로 공든 탑 무너질라…수목원 조성 등 대책 시급 ▲아홉산 숲을 대표하는 맹종죽 숲길. 부산 기장군 철마면 웅천리 미동마을 뒷산에는 우리나라 어디에서도 보기 힘든 숲...
-
홍천 구만리 골프장, 한국 허파 갉아먹는다 [5] | 사진
2011.05.31
|우리가 모두 지켜야할 생명의 연장선 자연 팔봉산을 울타리 삼아 살고 있는 강원도 홍성군 북면 구만리에 6년 전 골프장 계획이 수립되면서 순박한 심성이 상처를 받기 시작했다.수려한 자연경관과 조상대대로 천수답에 의존 하면서 구만리 운수 골 산기슭에서 내려오는 물로 다락 논을 ...
-
해오라비난초도 귀하신 몸 | 사진
2011.05.30
|자생지에 사람의 접근을 차단한 '귀하신 몸' 대접을 받는 식물이 또 출현했다. 국립수목원은 경기도 일원에서 해오라비난초의 자생지를 발견해 철조망으로 두른 울타리로 보호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해 자생지를 처음 확인한 해오라비난초는 전국에 자생지가 1~2곳밖...
-
각시붕어, 말조개 아가미가 ‘대리 자궁’ | 김성호의 자연 곁에서 거닐다
2011.05.30
|생김새가 새색시처럼 예뻐 각시붕어라는 이름을 가진 물고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민물고기 중 관상 가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도 자주 꼽히는 각시붕어는 납자루아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체형은 납작하며 크기는 4cm 정도입니다. 각시붕어가 더없이 예쁠 때는 물론 산란기를 맞아 혼인색...
-
이명박 정부의 갈등관리가 낙제점인 이유 | 신창현의 분쟁닷컴
2011.05.29
|누가 물었다. “이 정부는 갈등관리 정책이 없는 것인가? 동남권 신공항 건설갈등, LH공사 이전갈등, 과학벨트 지정갈등 어느 하나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사실은 없는 게 아니고 잘못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정부는 회피, 강행, 양보, 타협, 공동해결 등 5가지...
-
케이블카, 지리산 어머니 품 갈기갈기 찢는다 [3]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1.05.27
|* 돼지령에서 바라본 왕시루봉 능선 지나고 나면 세상의 모든 일은 아련한 그리움으로 남는다. 봄은 그리움을 이야기하기 가장 좋은 계절이다. '겨울이 지나갔네, 봄이 왔구나!'라고 느끼는 순간, 그 순간 여름이다. 해서, 봄은 항상 아쉽다. 3월초 ...
-
깊이 500m, 10만 년 숨겨야 할 금단의 지하 [3] | 조홍섭
2011.05.26
|핀란드 온칼로 핵폐기물 영구처분장이 던지는 질문 서울 환경영화제서 다큐 선봬 ▲온칼로 핵폐기물 영구처분장 시험시설의 동굴 모습. 포시바 제공. 이집트 피라미드는 인류가 지은 가장 오랜 인공구조물 가운데 하나다. 하지만 앞으로도 ...
-
콧속 거머리, 발광 버섯 등 지난해 신종 톱10 [1] | 사진
2011.05.25
|국제생물탐사연구소, 2010년 발견 신종 가운데 대표적 메뚜기처럼 뛰어다니는 바퀴, 꽃가루받이를 하는 귀뚜라미, 사람 콧속에서 발견된 거머리, 타이타닉 호 선체를 부스러뜨리는 박테리아….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학 국제생물탐사연구소(IISE)는 지난해 전 세계 과학자들이 새롭게 발견한...
-
낙동강에 폭포도 협곡도 생겼다 [92] | 환경뉴스
2011.05.24
|4대강 사업, 2010년은 엄청난 생명들을 학살하는 해였다고 한다면, 올해는 자연이 4대강 사업에 반격하는 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연은 파괴되었던 자신을 다시금 복구하기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몸속에 들어온 암세포를 없애기 위해 항체들이 싸우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보시...
-
생선을 둘러싼 흰꼬리수리와 두루미의 대결 [2] | 사진
2011.05.23
|지구상에 생존하는 두루미 는2100~2300마리로 추정하고 있다. 텃새화된 일본의 두루미는 홋가이도 쿠시로 습지에서 번식을 하고 쥬루미다이, 썬크츄아리, 아칸국제 두루미 센터 등지에서 인위적인 먹이주기에 의존하여 월동을 한다. 인공적으로 먹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