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천 마리 물고기 하루만에 알아맞힌 ‘집단지성’

조홍섭 2011. 05. 17
조회수 31050 추천수 0

조사팀, 남미 정글 현지서 표본 사진 페이스북 올려

전 세계 어류학자들 종 분류 뜨거운 논쟁 끝에 합의

 

 

fish1.jpg

▲데빈 블룸이 남미 가이아나 쿠유니 강에서 채집한 물고기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토론토대학 스카보로캠퍼스

 

남미 가이아나의 열대림에서 채집한 5000여 마리의 이름 모를 민물고기 이름을 하루 안에 모두 알아맞히는 방법이 있을까.
정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것이다.
캐나다 토론토 대학 스카보로 캠퍼스의 진화생물학자인 데빈 블룸은 페이스북의 열렬한 이용자는 아니다. 하지만 지난 1~2월 가이아나에서 물고기 조사를 하면서 소셜 네트워킹의 위력을 실감했다.
블룸 팀은 미국 스미소니언 연구소의 국립자연사박물관의 지원을 받아  쿠유니 강의 어류조사에 나섰다고 이 대학이 홈페이지에서 밝혔다.
가이아나와 베네수엘라 국경의 빽빽한 정글을 흐르는 이 강은 최근 금광 개발 때문에 심각한 생태학적 압력을 받고 있다. 광산의 흙탕물과 수은이 강의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강이 더 망가지기 전에 어떤 물고기가 사는지 시급히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fish2.jpg

▲전세계 어류학자에게 긴급 분류 요청을 한 어류 표본의 사진

 

조사팀은 2주일 동안 밤낮으로 여러 가지 그물을 이용해 어류를 채집해, 5000마리가 넘는 표본을 확보했다.

문제는 출국 수속을 하면서 빚어졌다. 표본을 가지고 나가려면 가이아나 정부에 어떤 종류의 물고기를 몇 마리 채집했는지를 정확히 보고해야 하는데, 연구진으로서는 감당하기 힘든 일이었다. 출국까지는 며칠 남지도 않았다.
블룸은 “어류학자는 모든 물고기를 다 알 것으로 흔히 알려져 있지만 실제론 그렇지 않다”며 “자기가 전공하는 분야의 어류만 정확히 종의 구분(동정)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때 나온 아이디어가 페이스북을 이용해 보자는 것이었다. 조사팀은 물고기의 사진을 일일이 찍은 뒤 페이스북에 올렸다.
세계의 어류학자들이라야 숫자가 그리 많은 것도 아니다. 그러나 남미에서 날아온 구조신호를 듣자 소셜 네트워크가 뜨거워지기 시작했다. 종을 어떻게 분류해야 할지를 놓고 바다 건너 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벌어졌고 차츰 합의에 도달했다. 블룸은 “마치 동료학자 평가(피어 리뷰)가  전 세계 차원에서 벌어지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fish3.jpg

▲쿠유니 강에서 채집한 물고기의 표본 사진

 

놀랍게도 그 많은 물고기의 동정 작업은 하루만에 끝났다. 페이스북은 지난 3월30일치 ‘금주의 이야기’에 이 사례를 소개했고, 이 기사는 전 세계 9000명이 넘는 사람들로부터 “좋아합니다” 추천을 받았다.
이번 사례는 소셜 네트워킹이 생물학 연구에 쓰일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조사 자체의 결과는 어둡다. 블룸은 “어류의 다양성과 풍부도 모두 과거의 조사에 견줘 매우 낮았다”고 밝혔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