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사회부장보다 환경전문기자로 남고 싶었어요'"사회부장보다 환경전문기자로 남고 싶었어요" [2] | 인터뷰

    조홍섭 | 2008.11.19

    조홍섭 한겨레 환경전문기자 <오마이뉴스> 인터뷰   환경재단 기후변화센터와 일본 시민단체 피스보트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아시아 민간교류 프로그램, 피스앤 그린보트가 11월 20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된다. 한국측...

  • 자연산이라 불린 광어의 고백 “나는 짝퉁”자연산이라 불린 광어의 고백 “나는 짝퉁” | 지난 연재

    조홍섭 | 2008.11.18

      양식장 ‘탯줄’로 검은 반점…20년전부터 방류작년 8473만 마리…유전적 다양성 훼손 우려     자연산이라고 비싼 돈을 주고 사먹는 넙치(광어), 전복, 조피볼락(우럭) 등 횟감용 수산물의 상당수는 엄밀하게 따져 ‘반 양식산’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양식한 수산물을 자연산으...

  • 사막여우 귀에 도마뱀 피부, 돌연변이 인간 출현?사막여우 귀에 도마뱀 피부, 돌연변이 인간 출현? [1] | 조홍섭

    조홍섭 | 2008.11.18

      지구온난화 줄이는 생활 속 지혜 3℃의 마법만 실천해도 지구는 웃음꽃     지구온난화가 극심한 미래에 이런 돌연변이 인간이 출현할지 모른다. 사막여우처럼 큰 귀로 혈액을 흘려 체온을 식히고, 피부의 초록색 색소는 광합성을 한다. 극심한 가뭄을 견디기 위해 피부엔 도마뱀 같은 비늘이...

  • 광우병 걸릴 확률 1/1백만이지만 공포는 1/2광우병 걸릴 확률 1/1백만이지만 공포는 1/2 | 환경뉴스

    조홍섭 | 2008.11.18

      ‘기술위험 관리정책 비판’ 논문 나와 정부는 정치·사회·문화적 맥락 빼고 ‘괴담’ 탓만경제를 안전에 앞세우며 독주해 불신·저항 불러     주성영 한나라당 의원은 지난 16일 그의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광우병에 걸릴 확률은 벼락 맞을 확률의 3053분의 1이라며,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가...

  • 미세먼지에도 흡연효과 유해 물질 있다미세먼지에도 흡연효과 유해 물질 있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08.11.18

      ‘지속성 자유라디컬’ 확인 논문 나와‘비흡연자도 폐암’ 발병 밝힐 실마리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이 폐암에 걸리는 이유는 뭘까?   의학계의 오랜 미스터리 가운데 하나인 이 의문에 한 가지 답을 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 배리 디링거 박사팀은 지...

  • 자연산이라 불린 광어의 고백 “나는 짝퉁”자연산이라 불린 광어의 고백 “나는 짝퉁” [2] | 환경뉴스

    조홍섭 | 2008.11.17

    양식장 ‘탯줄’로 검은 반점…20년전부터 방류작년 8473만 마리…유전적 다양성 훼손 우려     자연산이라고 비싼 돈을 주고 사먹는 넙치(광어), 전복, 조피볼락(우럭) 등 횟감용 수산물의 상당수는 엄밀하게 따져 ‘반 양식산’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양식한 수산물을 자연산으로 속...

  • ‘수온 급상승’ 양식 굴 폐사 급증 | 한반도는 살아있다

    조홍섭 | 2008.11.17

    지구 온난화 영향 여수서 석달새 절반 죽어 완도 전복먹이용 미역도 피해…값 크게 올라      지구 온난화로 바닷물 온도가 상승하면서 남해안의 미역과 굴 양식 피해가 커지고 있다.   전남도는 11일 “최근 석 달 사이 연안 바다의 높은 수온 탓에 완도 수역의 전복 먹이용 미역과...

  • 일본 환경대국? 작년 온실가스 배출 최악 | 환경뉴스

    조홍섭 | 2008.11.13

    지난해 일본내 온실가스 배출량이 이산화탄소로 환산할 경우 13억7천100만t으로 잠정 집계돼 1990년 이후 최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환경성이 12일 발표했다.   이런 수치는 교토의정서에 따른 삭감 목표치를 15% 가량 웃도는 것이다.    지난 7월 홋카이도(北海道) 도야코(洞爺湖)에서 ...

  • 두꺼비들, 원흥이 방죽서 겨울나네두꺼비들, 원흥이 방죽서 겨울나네 | 환경뉴스

    조홍섭 | 2008.11.13

    청주 생태공원 2년만에 안착…구룡산 복귀율 줄어 야생조류 등 크게 늘어…전문가 “관찰 설치물 안돼”     청주 선남 3지구 안에 마련된 두꺼비 생태공원 원흥이 방죽이 조성 2년 만에 두꺼비들의 겨울잠 장소로 바뀌는 등 성공적인 생태공원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원흥이 생명평화회의...

  • 파주 통일동산 ‘수리부엉이 가족’의 비극파주 통일동산 ‘수리부엉이 가족’의 비극 | 환경뉴스

    조홍섭 | 2008.11.13

    지난 4월 어미 독극물에 죽고 아빠는 홀연 모습감춰새끼들도 죽거나 흩어져…주변 막개발 둥지만 남아       12일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파주시 탄현면 통일동산 오두산전망대 바로 옆 ‘부엉산’ 절벽. 높이 10여m 가량의 바위 절개지 한 가운데 있던 ‘수리부엉이’ 가족의 집이 몇달째 텅...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