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함지박 만한 얼굴에 함박웃음 가득한 꽃을 만나고함지박 만한 얼굴에 함박웃음 가득한 꽃을 만나고 | 김성호의 자연 곁에서 거닐다

    김성호 | 2013.06.05

    광양 백운산 깊은 계곡, 은은한 향기로 등산객 붙잡아 기품 있고 정갈한 모습, "땅만 보고 가느라 못 보았구나"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어떠한 관계가 가장 좋은 관계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날마다 부대껴도 서로 돌이킬 수 없을 정도의 상처는 남기지 않으려 애쓰는 좋은 사람들과 전라남도...

  • 먹이의 역습…호박벌이 박새 둥지 빼앗는다먹이의 역습…호박벌이 박새 둥지 빼앗는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6.05

    박새와 곤줄박이, '붕붕' 호박벌 날개 소리 들으면 둥지 버리고 혼비백산 서울대 연구진 현지 관찰과 실험으로 확인, 벌과 새의 둥지 경쟁 국내서 첫 확인   몸집은 작지만 특히 번식기에 왕성하게 곤충을 잡아먹는 박새에게 벌은 먹이일 뿐이다. 그러나 박새와 마찬가지로 번식을 위해 둥지가 필요...

  • 다리 여섯 가축으로 식량위기 넘는다다리 여섯 가축으로 식량위기 넘는다 | 조홍섭

    조홍섭 | 2013.06.04

    유엔식량농업기구, 곤충 식량화 10년 조사 집대성 보고서 발간 이미 20억명이 1900종 먹어… 친환경, 개도국에 유리, 선진국도 눈떠     “일찍 일어나는 사람이 메뚜기를 잡는다.”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의 이 격언은 아무리 잽싼 메뚜기라도 변온동물이어서 선선한 아침 나절엔 둔해 잡기 쉽다는 ...

  • 펄떡이는 먹이를 향해…구애를 위한 필사의 다이빙펄떡이는 먹이를 향해…구애를 위한 필사의 다이빙 [3] | 사진

    윤순영 | 2013.06.04

    시화호 쇠제비갈매기의 물고기 사냥 모습 연속 촬영 정지비행과 먹이 향한 급강하, 먹이 물고 암컷 전달식 그리고 짝짓기                           시화호에 초여름이 찾아왔다. 지난 4월 중순부터 관찰하고 있는 시화호는 짝짓기...

  • 거북 껍질의 기원 200년만에 밝혀졌다거북 껍질의 기원 200년만에 밝혀졌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6.03

    남아공서 발견된 2억 6천만년 전 화석, 파충류와 거북의 중간 형태 밝혀져 거북 껍질은 50개 뼈가 변형된 것…흉곽 확장 못해 독특한 근육 호흡 진화       지난해 마지막 갈라파고스거북으로 알려진 ‘외로운 조지’란 이름의 유명한 거북이 죽었을 때 그의 나이는 100살이었다(실은 마지막이...

  • '씨뿌리는 새' 큰부리새가 사라지면 열대림도 위험하다'씨뿌리는 새' 큰부리새가 사라지면 열대림도 위험하다 | 사진

    조홍섭 | 2013.05.31

    커피와 사탕수수 농장으로 조각난 브라질 남동부 열대림, 다양한 큰부리새도 멸종위기 씨앗 나르던 큰 새 줄어들면서 야자 등 과일나무의 씨앗도 작아져…장기적으로 숲 쇠퇴 우려     브라질 남동부 대서양 쪽에는 방대한 열대림이 펼쳐져 있었지만 1800년대부터 커피와 사탕수수 농장이 들어서면서...

  • 물 위의 사랑…시화호는 지금 ‘춘풍’물 위의 사랑…시화호는 지금 ‘춘풍’ [2] | 사진

    윤순영 | 2013.05.30

    번식기 맞아 후꾼 달아오른 시화호 간척지 습지, 여름철새와 겨울철새 한자리에 먹이, 둥지, 휴식처 두루 갖춘 습지 생태계 때문 추정     경기도 시흥시, 안산시, 화성시로 둘러싸인 시화호는 1994년 방조제로 바다를 막아 형성된 인공호수로 극심한 수질오염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수...

  • 지구온난화 속도가 더뎌졌다…마지막 시간 벌었나지구온난화 속도가 더뎌졌다…마지막 시간 벌었나 [1] | 환경뉴스

    김정수 | 2013.05.29

    지구 기온 상승폭 IPCC 예측보다 다소 줄어…8개국 과학자 공동 연구서 결론 기후변화 대응 비관론속 반가운 소식, 온실가스 감축과 적응 노력 늦춰선 안돼     최근 지구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 대표 측정지점인 하와이 마우나로아 관측소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400ppm(0.04%)을 넘어서면...

  • 빙하 속 이끼, 400년 만에 ‘부활’빙하 속 이끼, 400년 만에 ‘부활’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5.28

    캐나다 북극 섬 이끼식물, 기후변화로 빙하 녹자 되살아나 빙하 오면 식물 죽는다 통념 뒤집어…이끼, 줄기세포처럼 만능분화 능력     한라산 정상의 절벽에는 다음달 초쯤 세계적으로 귀한 식물이 꽃을 피운다. ‘바위 매화’란 뜻의 암매가 바위에 바짝 붙은 자세로 커다란 연노랑 꽃망울을 터...

  • 절벽에 살아남은 풍란, 불법채취꾼 끌어모을라절벽에 살아남은 풍란, 불법채취꾼 끌어모을라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5.27

    국립공원공단, 남해 섬 절벽에서 80여 개체 발견…최대 규모 자생지 드러나 과거 도채꾼 로프 발견 등 불법채취 방지 시급…멸종위기종 석곡 1800여 개체도 발견      우리나라에서 불법 채취꾼의 손을 가장 많이 탄 희귀식물의 하나인 풍란의 대규모 자생지가 발견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