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정책 강화 필요’, 한국 81%로 1위

조홍섭 2009. 08. 04
조회수 17563 추천수 0
 
 미 메릴랜드대, 세계 19개국 대상 여론조사
 전체 60% ‘우선순위 높여야’…미국은 52%

 
 
 세계 주요 국가 국민의 대다수는 자기 정부가 현재보다 기후변화를 더 중시하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국제 여론조사 결과 밝혀졌다.
 이 조사에서 한국은 정부의 기후변화 정책이 더 강화돼야 한다고 답변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미국 메릴랜드 대학의 국제 여론조사 연구기관인 국제정책태도프로그램은 세계 인구의 60%를 차지하는 19개 나라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태도를 조사해 최근 인터넷에 결과를 공개했다.
 이 조사에서 기후변화 정책의 우선순위가 현재보다 높아져야 하는지 여부를 물은 질문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60%는 더 높아져야 한다고 대답했다. 현재 그대로가 좋다는 답변은 18%, 낮아져야 한다는 응답은 12%에 그쳤다.
 
mmm1.jpg

  한국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핵심 국정과제로 내걸고 있지만, 응답자의 81%는 기후변화 정책이 더 강화돼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현재 대로가 좋다는 응답은 13%, 우선순위를 하향 조정해야 한다는 응답은 6%에 머물렀다.
 
  현재 정부의 기후변화 정책은 어느 수준의 우선순위인지를 0에서 10까지의 점수로 물은 결과, 한국 응답자들의 46%는 0~4점, 24%가 5점이라고 답해, 정부가 말로는 기후변화를 중시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 정책 우선순위는 중간 이하인 것으로 국민이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국제여론조사.jpg한국에서의 조사는 지난 6월5일 동아시아연구원이 600명을 대상으로 전화로 수행했다.

  이번 조사에서 기후변화 정책의 강화를 요구하는 응답은 한국에 이어 멕시코(79%) 영국(77%) 프랑스·대만(77%)에서 높았고, 기후변화 대책에 앞서 개발할 권리를 주장하는 중국(62%)과 인도(43%)에서도 기후변화를 더 중시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했다.
 
 미국은 오바마 정부 들어 전향적인 기후변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기후변화를 더 중시해야 한다는 의견은 52%에 그쳤다. 오히려 기후변화 정책의 우선순위를 낮춰야 한다는 의견이 21%로 독일을 제외하고 조사 대상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았다.
 
  독일은 현재의 기후변화 정책 우선순위가 적당하다(27%)거나 낮춰야 한다(27%)는 의견을 합치면 우선순위를 높여야 한다(46%)는 사람보다 많았다. 독일인 대부분은 기후변화에 대해 이미 충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응답자에게 다른 사람은 정부의 기후변화 정책이 어느 수준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짐작하게 했다. 그랬더니 흥미롭게도 대부분의 응답자는 다른 사람의 요구 수준이 자신보다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77%)과 한국(75%)이 자신의 요구 수준이 남들보다 높다고 여기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 강력한 기후변화 정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과소평가되기 쉬운 것이다.
 
  이번 조사를 총괄한 스티븐 컬은 “많은 정부 지도자들은 대중이 기후변화 대책의 부담을 짊어질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고 하지만 이 조사는 오히려 대중이 정부가 충분한 행동에 나서지 않는 것을 못 참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여론조사 결과 원문http://www.worldpublicopinion.org/pipa/pdf/jul09/WPO_ClimateChange_Jul09_quaire.pdf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태그 :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