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반도는 2억6천만년 전 남반구서 왔다 [4] | 한반도는 살아있다
2009.05.27
|<2> 이동과 충돌호주 인근 적도 땅들 1억4천만 년 동안 북행1300만년 뒤 동해 없어지고 5천만년 후 사막 ■ 시리즈 차례 ■제1부 격변의 시대 1. 북한산의 기원 2. 이동과 충돌  ...
-
신안 다도해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1] | 환경뉴스
2009.05.25
|설악산, 제주도 이어 3번째북한 묘향산도 함께 지정돼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는 홍도의 전경. 환경부 제공. 흑산도, 홍도, 비금도 등 전남 신안군의 다도해가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다. 이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설악산과 제주도에 이어 세번째 생물권보전지역이 생기게 ...
-
정교하게 ‘설계된’, 완벽한 자연 진화 실험실 | 조홍섭
2009.05.19
|세상을 바꾼 섬, 갈라파고스 20대 풋내기 박물학자 다윈, 처음엔 진가 몰라 해적, 죄수 등 험악한 방문자에겐 ‘야생 뷔페’ 진화생물학자는 섬을 좋아한다. 섬에 가면 고립된 환경에 적응해 새로운 종이 탄생하는 과정을 확인하기 쉽기 때문이다. 장구한 세월이 걸리는 진화의 증거...
-
땅밑 1만m서 태어나 나이 1억7천만 살 [7] | 한반도는 살아있다
2009.05.15
|<1> 북한산의 기원가장 사랑받는 산이자 가장 모르는 산 2천만 년 지나면 다 깎여 사라질 수도 한반도는 그 자체가 자연사박물관이다. 좁은 국토이지만 원시생물만 살던 선캄브리아대부터 고생대와 중생대를 거쳐 가장 최근의 지질시대인 신생대 제4기에 이르기까지 시대별로 다양한 지질...
-
바다밑 죽음의 유령들이 설친다 | 환경뉴스
2009.05.13
|버려진 통발과 그물, 물고기 고래 물새 등의 무덤해양폐기물의 10%인 64만t…배도 프로펠러 걸려 바다에서 잃거나 버린 그물과 통발은 스스로 어획을 한다. 이른바 ‘유령 어획’이다. 유령어획으로 인한 해양환경 파괴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고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유엔환경계획...
-
왕피천서 올무 걸려 죽은 산양 발견 | 사진
2009.05.11
|녹색연합은 지난 6일 경북 울진군 서면 왕피리 중림골에서 올무에 걸려 죽은 지 6개월쯤 지난 산양의 주검을 발견했다고 11일 밝혔다. 산양 주검이 발견된 곳 주변에서는 다른 4개의 올무가 추가로 발견됐고, 멧돼지의 목욕터가 있다는 점에서 멧돼지를 잡으려고 설치한 올무에 산양이 ...
-
사향쥐, 풀려나면 뉴트리아 꼴 난다 | 사진
2009.05.11
|사육장의 뉴트리아. 황소개구리와 마찬가지로 사육장을 도망치거나 채산이 맞지 않아 사육장이 문을 닫아 풀려나면서 심각한 생태계 위해를 일으키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제공. 국립환경과학원은 10일 생태계위해성이 높은 외래동물을 정밀조사한 결과 사향쥐 등 8종의 위해성이 높게 나타났...
-
정릉계곡에 청둥오리 번식 | 사진
2009.05.07
|9년째 사람의 출입이 통제되고 있는 북한산국립공원 정릉계곡에서 청둥오리가 번식한 모습이 확인됐다고 국립공원관리공단이 7일 밝혔다. 정릉계곡은 2000년부터 자연휴식년제로 지정돼오다 2007년부터 국립공원특별보호구로 변경해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는 곳이다. 청둥오리는 겨울철새이지만 텃새로 ...
-
과열 양상 보이는 ‘100만 그루 나무 심기’ | 지난 연재
2009.05.01
|경관·환경조절 기능 무시해 마치 ‘빈 터 메우기’ 같아풍속 기온 습도 등 영향력 대단해 인공적 조절은 문제 요즘 <워낭소리>라는 영화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모양이다. 노인과 소의 평생에 걸친 교감을 그린 영화라 하는데, 그 바탕에는 소의 힘을 동력으로 하는 ‘농사문화’가 ...
-
케이블카 NO! NO! NO! | 사진
2009.05.01
|지리산 노고단에서 관광용 케이블카 설치를 반대하는 1인 시위가 1일 벌어졌다. 남원생협 안상연 이사장이 시작한 이 1인 시위는 지리산 일대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가운데 자연공원법 개정안이 입법예고되는 기간 동안 계속될 예정이다. 케이블카 설치를 쉽게 하는 내용의 자연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