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사람은 토끼에 가까울까 호랑이에 가까울까사람은 토끼에 가까울까 호랑이에 가까울까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09.05.01

    소리 ‘민감 정도’ 실험해보니 98%가 일찍 반응피식자의 특징…여성·노인·체력 약할수록 빨라   사람은 토끼와 호랑이 중 어느쪽에 가까울까. 최근의 진화심리학적 연구결과를 보면, ‘토끼’ 쪽에 가깝다. 뉴호프 미국 우스터 대 교수팀은 오는 21일 미국 음향학회 연차총회에서 발표할 논문...

  • 다도해국립공원 섬들 ‘제머리’ 찾기 나섰다다도해국립공원 섬들 ‘제머리’ 찾기 나섰다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09.04.29

    백년 전만해도 곰솔숲 대신 상록활엽수 난대림300년 넘게 보전된 완도군 주도, 생태복원 원형   남해에 점점이 흩어져 있는 크고 작은 섬은 대개 곰솔 숲으로 덮여 있다. 그러나 이 익숙한 풍경이 다도해의 제 모습은 아니다. 한 세기 전만 해도 이 섬은 삐죽한 소나무 대신 반짝이는 늘푸른...

  • 1만km 날아 낙동강 하구에 온 도요새1만km 날아 낙동강 하구에 온 도요새 | 사진

    조홍섭 | 2009.04.21

    습지와 새들의 친구들, 신호개펄서 가락지 찬 큰뒷부리도요 발견  지난 19일 낙동강 하구 신호개펄에서 발견된 큰뒷부리도요 '얄비'. 습지와 새들의 친구 제공.  뉴질랜드를 떠나 1만km 이상을 날아온 도요새 한 마리가 낙동강 하구에서 발견됐다.   환경단체 ‘습지와 새들의 친구’ 물새조사단은...

  • 지렁이도 먹어 본 놈이 또 먹는다지렁이도 먹어 본 놈이 또 먹는다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09.04.21

    배스 잡았다 놔줬다 했더니 16번이나 입질성향은 ‘유전’, 세대 거듭할수록 더 잘 물어   낚시를 덥석 물었다가 풀려난 물고기가 낚시를 또 물까, 아니면 다시는 쳐다보지도 않을까. 미국에서 큰입배스를 대상으로 장기간 벌인 연구결과를 따르면, ‘다시 문다’가 맞다. 낚시를 무는 성향은...

  • 지하 버섯농장의 ‘아마조네스’ 개미 군단지하 버섯농장의 ‘아마조네스’ 개미 군단 | 조홍섭

    조홍섭 | 2009.04.17

         5천만 년 전 이미 땅속 농사 짓고 항생제 개발 키우는 균류도 생식기관 제거 ‘이중 수수께끼’            나뭇잎 등으로 균류를 키워 자라난 균사를 먹고 사는 농사 개미. 중남미 열대지역에 분포한다.  지구에 ...

  • 미기록 흰이마알락할미새 발견미기록 흰이마알락할미새 발견 | 사진

    조홍섭 | 2009.04.15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는 봄철 철새 이동이 시작된 지난 3월 말부터 홍도에서 철새를 모니터링한 결과 국내에는 아직 기록된 적이 없는 흰이마알락할미새를 관찰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새는 시베리아에서 아시아 서부, 이란, 인도 북부 등에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 여름철새...

  • ‘경제, 경제’ 외침에 멸종위기종 깽깽이풀 ‘깨갱’‘경제, 경제’ 외침에 멸종위기종 깽깽이풀 ‘깨갱’ | 환경뉴스

    조홍섭 | 2009.04.15

    김포시 월곶 군락지경제림 조성 벌목으로 흙덩이 틈에서 간신히발견자 “누가 캐갈라 비밀로 해왔건만” 허탈   멸종위기종인 깽깽이풀의 대규모 군락이 수도권의 한 야산에서 발견됐으나 경제림을 조성하기 위한 벌채로 상당부분이 파괴됐다. 지난 9일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의 야트막한 산은 ...

  • 나이 2400살 무게는 605t ‘괴물’ 땅속에 산다나이 2400살 무게는 605t ‘괴물’ 땅속에 산다 [6] | 조홍섭

    조홍섭 | 2009.04.14

    아밀라리아, 여의도 3배 크기…지구 밑은 ‘외계’알려진 흙속 동물 5%뿐, 그나마 토양 65% 훼손   대왕고래(흰수염고래)는 지구에 현존하는 동물 가운데 가장 크다. 길이 32m에 무게는 190t에 이른다. 그런데 이보다 더 큰 생물이 땅속에 산다. 한 개체인지 논란이 있긴 하지만, 2003년 미...

  • “흑두루미 살리려고 전봇대 뽑아요”“흑두루미 살리려고 전봇대 뽑아요” [5] | 환경뉴스

    조홍섭 | 2009.04.13

    순천시 국내 최초 철새 보호 위해 아름다운 ‘배려’“내년까지 282개 더 뽑아 생태수도로 발돋움할 것”    지난 11일 전남 순천만에서는 색다른 두루미 서식지 보호 행사가 열렸다. 고가 사다리차에 탄 노관규 순천시장은 흰 장갑을 끼고 가지치기용 가위로 전선을 싹둑 잘라냈다. 지켜보...

  • 백합나무는 ‘돈 나무’, 지구온난화 지킴이도백합나무는 ‘돈 나무’, 지구온난화 지킴이도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09.04.08

       ‘전도사’ 유근욱 박사 숨은 공로자   쓸모 80여가지 “50만㏊ 심으면 목재 자급률 100%” 목기 장인도 재질에 놀래…CO₂ 흡수 능력 탁월   올해 각종 식목행사에서 가장 많이 심어진 나무에는 소나무, 상수리나무와 함께 백합나무가 들어있어 눈길을 끈다. 최근 지구온난화를 일으...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