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두루미 살리려고 전봇대 뽑아요”

조홍섭 2009. 04. 13
조회수 48861 추천수 0
순천시 국내 최초 철새 보호 위해 아름다운 ‘배려’
“내년까지 282개 더 뽑아 생태수도로 발돋움할 것”
 
 
Untitled-3 copy.jpg

지난 11일 전남 순천만에서는 색다른 두루미 서식지 보호 행사가 열렸다.
 
고가 사다리차에 탄 노관규 순천시장은 흰 장갑을 끼고 가지치기용 가위로 전선을 싹둑 잘라냈다. 지켜보던 시민과 관광객이 환호성을 질렀다. 이들은 힘을 합쳐 줄을 당겨 전봇대를 넘어뜨렸다. 철새 보호를 위해 전봇대를 없앤 것은 우리나라에 전기가 도입된  120여 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순천시는 지난해 1월 흑두루미 한 마리가 전깃줄에 부딪혀 날개가 골절된 채 발견되자 전봇대를 없애기로 했다. 천연기념물 제228호인 흑두루미는 세계적으로 9천여 마리가 남아있는 보호조류로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 겨울을 난다.
 


Untitled-2 copy.jpg

이우신 한국조류학회 회장(서울대 교수)은 “대형 조류는 방향을 쉽게 틀지 못해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전선에 치명적 피해를 입는다”며 “외국에서도 두루미 보호를 위해 전봇대를 제거한 사례는 아직 없다”고 말했다.
 
내년까지 순천시가 순천만자연생태공원 주변 농경지 300㏊에서 뽑을 전봇대는 전신주와 통신주 등 282개로 올해 안에 84개를 제거할 예정이다.
 
노관규 시장은 “1년에 1주일 정도 쓰는 것이지만 농사용 양수기를 돌리지 못하게 된 농민과 한전 등 이해당사자를 설득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며 “순천만의 상징인 흑두루미를 지켜 순천만을 세계의 생태수도로 만들자고 호소했다”고 말했다.
 
Untitled-1 copy.jpg

순천시는 전봇대를 없앤 논에 대해 겨울에 물을 대 철새가 서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색깔이 다른 벼로 디자인 효과를 내는 경관농업을 하기로 했다.
 
갈대밭과 개펄, 철새가 어우러진 순천만은 지난해 람사르 총회와 함께 전국적 명소로 떠올라 2002년 10만 명이던 탐방객이 지난해 260만 명에 이르렀고, 1천억 원의 지역 경제효과를 냈다.
 
최덕림 순천시 관광진흥과장은 “주말이면 순천시내의 식당과 숙박업소에서 빈자리를 찾기 힘들 정도”라고 말했다.
 

Untitled-4 copy.jpg

순천만이 보물’이란 시민의식을 바탕으로 시는 다른 지자체와 달리 습지를 넓혀가는 정책을 펴고 있다. 생태관 뒤 주차장 터에 내륙습지를 조성하는가 하면 국가 소유 땅 약 30만㎡를 매입해 철새들의 쉼터로 복원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순천시가 순천만을 가로지르는 목포~광양 간 고속도로 건설을 가슴 아파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순천만의 가치를 몰랐던 2004년 순천시는 도로건설에 덜컥 합의해 줬지만, 이제 확장하는 순천만 습지를 분단하는 흉물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국토해양부와 한국도로공사는 토지매입이 거의 끝나고 공사가 30% 진행돼 노선변경은 불가능하고, 순천시가 요구한 전 구간 교량화와 튜브형 방음벽 설치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어쨌든, 전봇대 뽑기 행사는 300여 탐방객과 시민들이 참가한 가운데 흥겨운 잔치 분위기에서 치러졌다.
 
노관규 시장은 “두루미를 자유롭게 하면 사람도 자유를 얻을 것”이라며 “아이들도 자연과 공생하는 값진 가르침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순천/글·사진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태그 :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