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밭 줄달음질, 진귀한 진홍가슴

윤순영 2019. 06. 04
조회수 16419 추천수 0

타오르는 멱의 나그네새, 그런데 왜 진홍 '가슴'?


크기변환_YSY_3199.jpg » 붉은 멱이 도드라지는 나그네새 진홍가슴.


진홍가슴은 멱의 타오르는 듯 붉은 무늬가 인상적인 새다. 영어로는 '시베리아 붉은 목'(Siberian Rubythroat)라고 부르는 매우 귀한 새다. 


크기변환_YSY_2736.jpg » 진홍가슴이 호기심에 가득 찬 눈빛으로 주변을 둘러보고 있다.


크기변환_YSY_3054.jpg » 풀밭은 달음박질하기 좋은 데다 사방이 잘 보이고 사냥할 곤충도 많다.


크기변환_YSY_3163.jpg » 매사에 주변을 살피고 경계하는 습성이 있다.


봄에는 4월 중순부터 5월 초순까지, 가을에는 9월 하순부터 11월 중순까지 우리나라 산림에서 드물게 관찰되는 나그네새다. 설악산 대청봉 일대에서 적은 수가 번식을 하고 북한에서는 개마고원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랄산맥 동쪽에서 캄차카, 사할린, 쿠릴열도, 일본 북해도, 한국 중북부, 중국 북부에서 번식한다. 동남아시아, 타이완, 필리핀, 인도 동북부에서 월동한다.


크기변환_YSY_3023.jpg » 진홍가슴은 유난히 경계심이 강하다.


크기변환_YSY_3011.jpg » 풀밭에서 사방을 둘러본다.


진홍가슴은 자세를 곧추세워 도도하고 빠른 걸음으로 걷기도 하고 서 있기도 한다. 서 있는 자세로 주변을 뚫어지게 살펴보기도 한다. 위로 힘차게 꼬리를 올렸다가 아래로 내리치는 행동을 자주 하며 움직인다. 


주로 땅에서 생활한다. 이동 동선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아주 빠른 걸음으로 분주하게 돌아다니며 사냥한다. 잠시도  움직임을 멈추지 않는다.


크기변환_YSY_3066.jpg » 빠른 걸음으로 이동하는 진홍가슴.


크기변환_YSY_2914.jpg » 이동하다가 땅바닥에 몸을 움추려 숨는 진홍가슴.


진홍가슴은 통과하는 지역에서도 이동하는 길과 사냥터가 정해져 있어 안전한 영역을 잘 벗어나지 않는다. 수컷은 영역 내에서도 정해진 장소에서 지저귄다. 움직이는데 거추장스럽지 않은 밭이나 평평한 곳을 택한다.


이맘 때면 마늘밭이 제격이다. 길게 올라온 마늘잎 대가 진홍가슴을 보이지 않게 가려주고 밭고랑은 고랑을 타고 재빨리 몸을 숨기며 달음박질 칠 수 있는 길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크기변환_YSY_2947.jpg » 뒤로 마늘 밭이 보인다. 진홍가슴이 숨기 좋은 곳이다.


크기변환_YSY_2932.jpg » 마늘밭 경계 돌은 진홍가슴이 올라서서 주변을 살펴보는데 제격이다.


빠르게 걷는 습성 때문에 평지의 풀밭과 고산지대의 풀밭, 관목림에서 서식한다. 진홍가슴이 빠르게 걸어 다닐 장소는 장애물이 없어야 하고, 돌발 상황이 발생해도 민첩하게 움직여 은폐하거나 숨을 수 있어야 한다.


진홍가슴은 몸을 숨기는 데에 둘째가라면 서러울 만큼 능력이 뛰어나다. 새들은 자신의 생명을 보호하는 방법을 저마다 다르게 가지고 있다지만, 진홍가슴은 달음박질쳐 재빨리 숨는 것을 선택했다.


크기변환_YSY_5196.jpg » 경계심이 강하니 호기심도 강한 것 같다.


크기변환_YSY_3216.jpg » 주변 안전을 확인하고 돌 위에서 땅으로 뛰어 내린다.


진홍가슴은 한 번 숨으면 족히 1시간 30분 이상을 기다려야 다니던 길목과 사냥터에 나타난다. 진중한 행동이다. 정해놓은 영역을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영역을 포기하지 않는 만큼 주변 경계를 절대 소홀히 하지 않는다.


안전한 장소는 생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어느 때나 신속하게 대피하고 숨어야 한다. 평지나 고산지역의 초지, 관목림, 덤불에 서식하는 이유다.


크기변환_YSY_3073.jpg » 숨어있는 진홍가슴.


크기변환_YSY_3187.jpg » 진홍가슴이 빼꼼히 얼굴을 내밀고 주변을 살핀다.


크기변환_YSY_3083.jpg » 그래도 미심쩍어 몸을 일으켜 주변을 또 살핀다.


꼬리를 위아래로 자주 움직이는 것은 위험이 있을 때 재빨리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준비자세가 아닐까 한다. 걸어 다니는 생활이 일상적인 진홍가슴은 갑작스러운 위협이 닥치면 그 자리에서 날아오르기보다는 평상시에 걷던 행동 그대로 재빨리 걸어서 숨는다. 진홍가슴이 행동하는 모습에서 경계심이 무척 강한 새라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었다. 


크기변환_YSY_3146.jpg » 마늘밭 경계석은 진홍가슴에게 안정감을 주는 돌이다.


크기변환_YSY_3117.jpg » 꼬리를 바짝 치켜세운 진홍가슴.


진홍가슴은 몸길이 15.5㎝이다. 번식기에는 주로 딱정벌레, 벌, 나방 유충 등을 잡아먹으며 나무 열매나 풀씨도 즐겨먹는다. 혼자 또는 암수가 함께 생활하며, 번식기에는 일정한 자기 영역을 갖는다. 벼랑에 움푹 패인 곳이나 침엽수 지대의 풀밭에 둥지를 틀고 둥지는 땅 위에 마른풀, 이끼류, 가는 뿌리 등을 섞어 밥그릇 모양으로 만든다. 알을 낳는 시기는 6~8월 하순이다.


크기변환_YSY_2982.jpg » 진홍가슴이 경계를 푼 듯하다.


크기변환_YSY_3059.jpg » 반듯한 자세의 진홍가슴.


알은 3~5개 낳는데 암컷이 품으며, 포란 기간은 약 14일이다. 진홍가슴은 다리가 길고 꼬리가 상대적으로 짧다. 암수가 쉽게 구별된다. 암컷은 수컷과 비슷하지만 멱은 흰색이며 뚜렷하고 흰 뺨 선이 있다. 몸 윗면은 녹색을 띤 갈색, 멱은 뚜렷한 진홍색, 눈썹선과 뺨 아래선이 흰색이다. 


그런데, 진홍색 깃털은 가슴이 아니라 멱인데 이름은 왜 '진홍가슴'으로 지었을까 궁금하다.


글·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촬영 디렉터 이경희, 김응성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지정석을 지켜라…‘숲 속의 푸른 보석’ 유리딱새의 집착지정석을 지켜라…‘숲 속의 푸른 보석’ 유리딱새의 집착

    윤순영 | 2020. 05. 15

    공중서 곤충 낚아채는 ‘최적 장소’ 횃대…넘보다간 큰코 다쳐유리딱새는 은근히 아름답다. 수컷은 푸른빛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암컷은 화려하지 않으나 청초한 듯 기품이 있어 보인다. 항상 응시하는 눈빛으로 생각하듯 영리한 모습이다. 어떤 이유...

  • 메뚜기떼 창궐 탓? 진객 분홍찌르레기 출현메뚜기떼 창궐 탓? 진객 분홍찌르레기 출현

    윤순영 | 2020. 05. 06

    중앙아시아 초원이 주 서식지…메뚜기떼 늘면 멀리 이동도4월 19일 전북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찌르레기와 함께 있는 낯선 새를 발견했다.&nb...

  • 기후변화가 주저앉혔나, 붉은 눈의 ‘나그네 매'기후변화가 주저앉혔나, 붉은 눈의 ‘나그네 매'

    윤순영 | 2020. 02. 24

    아열대 맹금류…2013년부터 출현, 올해 김포 하성면서 월동 검은어깨매는 영어로는 ‘검은날개매’이다. 앉아있을 때는 어깨가 검은 것 같지만 날 때 보면 날개가 검다. 또 날개가...

  •  산사, 팥배 열매 ‘꿀꺽’ 홍여새의 겨울나기 산사, 팥배 열매 ‘꿀꺽’ 홍여새의 겨울나기

    윤순영 | 2020. 01. 23

    겨우내 달린 비상식량, 직박구리 텃새 이기며 포식10일 지인으로부터 인천 송도 미추홀공원에 황여새와 홍여새가 왔다는 소식을 듣고 아침 일찍 공원을 찾았다. 높은 나무 꼭대기에 새들이 마치 나무 열매처럼 주렁주렁 매달렸다. 주변에 심어놓...

  • 첨벙첨벙…참매와 청둥오리의 물 튀는 추격전첨벙첨벙…참매와 청둥오리의 물 튀는 추격전

    윤순영 | 2019. 12. 23

    한탄강서 목격한 참매의 진귀한 사냥 장면몇 년 전 일이다. 한탄강에서 참매를 만났다. 갑자기 청둥오리들이 기겁하여 물을 박차고 솟아오른다. 날씨도 우중충하고 을씨년스럽다. 거리도 멀고 촬영하기엔 워낙 좋지 않은 상황...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