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벙첨벙…참매와 청둥오리의 물 튀는 추격전

윤순영 2019. 12. 23
조회수 111265 추천수 0

한탄강서 목격한 참매의 진귀한 사냥 장면


m0-1.jpg » 보라매라고도 불리는 참매는 한국 공군의 상징이다. 그러나 해군처럼, 오리 사냥은 첨벙거리며 물에서 한다. 


몇 년 전 일이다. 한탄강에서 참매를 만났다. 갑자기 청둥오리들이 기겁하여 물을 박차고 솟아오른다. 날씨도 우중충하고 을씨년스럽다. 거리도 멀고 촬영하기엔 워낙 좋지 않은 상황이지만, 보기 힘든 기회이기에 셔터를 눌렀다. 


참매가 사냥을 시작했다. 미처 도망가지 못한 청둥오리는 급한 김에 물속으로 몸을 처박았다. 그러나 잠수한 청둥오리는 참매의 표적이 되었다.


 참매 사냥 연속 동작


[크8140[1].jpg » 참매가 나타났다.


[기변환]DSC_5822~1.jpg »  참매가 사냥을 시작하자 갑자기 놀라 날아오르는 청둥오리들.


[기변환]DSC_5824~1.jpg » 참매는 물속의 무언가를 노리고 있다.


[기변환]DSC_5825~1.jpg » 얼떨결에 놀라 물속으로 들어간 청둥오리가 표적이 되었다.


[기변환]DSC_5826~1.jpg » 물속에 있는 청둥오리를 향해 달려든다.


[변환]DSC_5827~1.jpg » 청둥오리가 물속에서 달아난 것 같다. 멈칫거리는 참매.


[크기변환]DSC_5829~1.jpg » 정지비행을 하면서 청둥오리를 찾는다.


[크기변환]DSC_5830~1.jpg » 매서운 눈초리로 물속에 있는 청둥오리를 찾고 있다. 얕은 여울이어서 청둥오리가 깊이 숨지는 못했다.


[크기변환]DSC_5831~1.jpg » 청둥오리를 향해 쏜살같이 달려들어 예리한 발톱을 내뻗는다.


[크기변환]DSC_5832~1.jpg » 청둥오리를 움켜쥔 것 같다.


[크기변환]DSC_5833~1.jpg » 아뿔싸! 발톱을 빠져나온 청둥오리가 도망쳐 물 밖으로 나왔다.


[크기변환]DSC_5834~1.jpg » 참매가 날아올라 다시 덮치자 청둥오리는 재빨리 물속으로 피한다.


[크기변환]DSC_5837~2.jpg » 숨이 찬 청둥오리가 다급하게 건너편 물 밖으로 몸을 내밀고 내달린다.


[크기변환]DSC_5835~1.jpg » 참매의 발톱이 등에 느껴지는 순간 청둥오리는 마지막 힘을 내 내달린다.


[크기변환]DSC_5836~1.jpg » 물을 박차고 내달린 청둥오리는 마지막 남은 힘까지 쏟아 날개를 쳤다. 오늘은 운이 좋았다.


변환]DSC_5838~2.jpg » 사냥에 실패한 참매는 체면을 구겼다. 아쉬움이 남아 물가를 쳐다본다.


글·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촬영 디렉터 이경희, 김응성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지정석을 지켜라…‘숲 속의 푸른 보석’ 유리딱새의 집착지정석을 지켜라…‘숲 속의 푸른 보석’ 유리딱새의 집착

    윤순영 | 2020. 05. 15

    공중서 곤충 낚아채는 ‘최적 장소’ 횃대…넘보다간 큰코 다쳐유리딱새는 은근히 아름답다. 수컷은 푸른빛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암컷은 화려하지 않으나 청초한 듯 기품이 있어 보인다. 항상 응시하는 눈빛으로 생각하듯 영리한 모습이다. 어떤 이유...

  • 메뚜기떼 창궐 탓? 진객 분홍찌르레기 출현메뚜기떼 창궐 탓? 진객 분홍찌르레기 출현

    윤순영 | 2020. 05. 06

    중앙아시아 초원이 주 서식지…메뚜기떼 늘면 멀리 이동도4월 19일 전북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찌르레기와 함께 있는 낯선 새를 발견했다.&nb...

  • 기후변화가 주저앉혔나, 붉은 눈의 ‘나그네 매'기후변화가 주저앉혔나, 붉은 눈의 ‘나그네 매'

    윤순영 | 2020. 02. 24

    아열대 맹금류…2013년부터 출현, 올해 김포 하성면서 월동 검은어깨매는 영어로는 ‘검은날개매’이다. 앉아있을 때는 어깨가 검은 것 같지만 날 때 보면 날개가 검다. 또 날개가...

  •  산사, 팥배 열매 ‘꿀꺽’ 홍여새의 겨울나기 산사, 팥배 열매 ‘꿀꺽’ 홍여새의 겨울나기

    윤순영 | 2020. 01. 23

    겨우내 달린 비상식량, 직박구리 텃새 이기며 포식10일 지인으로부터 인천 송도 미추홀공원에 황여새와 홍여새가 왔다는 소식을 듣고 아침 일찍 공원을 찾았다. 높은 나무 꼭대기에 새들이 마치 나무 열매처럼 주렁주렁 매달렸다. 주변에 심어놓...

  • 생태 보고 한강 하구엔 '독도'도 있다생태 보고 한강 하구엔 '독도'도 있다

    윤순영 | 2019. 11. 22

    김포시 걸포동 앞 섬, 일제 때 파괴된 철새들의 낙원김포에서 태어나 한강을 벗삼아 자랐다. 재첩과 물고기를 잡던 기억이 생생하다. 1992년 김포시 북변동 홍도평야에서 재두루미와 인연을 맺으며 환경에 눈을 떴다. 이를 계기로 삶의 방향이 바뀌...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