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백산에 여우 첫 야생 방사 [2] | 환경뉴스
2012.10.31
|서울대공원 출생 토종여우 한 쌍, 무선발신기 달고 자연으로 2020년까지 추가 방사로 50마리 증식 목표…러시아, 중국, 한반도 동일 종 드러나 수많은 고개와 골짜기에 이름을 남기고 1960년대 이후 우리 곁에서 사라졌던 여우가 다시 돌아왔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31일 소백산국립공원 안인 경...
-
물총고기의 물 밖 곤충사냥 비밀 250년 만에 밝혀져 | 환경뉴스
2012.10.29
|근육 힘 6배 증폭 물방울 뭉쳐 목표물 타격 별도 기관 없이 워터 제트 수력학 특성 이용, 잉크제트 프린터 원리 필리핀이나 호주 등 동남아 홍수림에는 물 밖 나뭇잎 등에 붙은 곤충에게 물을 쏘아 잡는 특이한 물고기가 산다. 길이 5~10㎝의 작은 담수어인 이들은 물 밖 2m까지 떨어진...
-
인간 동물의 비약, 69살 스웨덴인 사망률은 15살 수렵채취인 [3] | 조홍섭
2012.10.26
|인류역사 8000세대 중 마지막 4세대 동안 사망률 100분의 1로 수렵채취인 사망률 현대인보다 침팬지 가까워…유전자 변화보다 환경변화 때문 인간은 동물이다. 백과사전에서 ‘인간’을 찾아보면, 인간의 위치는 분류 단계별로 동물계 척색동물문 포유강 영장목 사람과 사람속에 포함되는 사람종이라고 ...
-
"석면 없는 세상을" 피해자 국제 연대 운동 활기 [3] | 환경뉴스
2012.10.25
|파리서 열린 제1회 국제 석면 피해자의 날 행사 참가기 석면 질환 적극 보상과 조기 은퇴 허용 등 피해자 권리 보장 흐름 지난 10월13일 오전 프랑스 파리 대학에서 열린 석면추방전략회의를 마치고 오후 2시부터 시내에서 열리는 ‘국제 석면 피해자 대회’에 참석했다. 미국, 남아공, 아시...
-
530살 접목 감나무, 해마다 감 5천개 '노익장' [3] | 홍경낙 박사의 이야기가 있는 나무
2012.10.24
|홍경낙 박사의 이야기가 있는 나무 ① 상주 '하늘 아래 첫 감나무' 조선 성종 때 고욤나무에 접붙인 국내 최고령 접목나무 노구에도 해마다 곶감 5천여개 생산하는 현역 감나무 어느 세상에나 이 편 저 편을 나누고 1등 2등 순위를 매긴다. 지적 순수성과 객관성이 큰 몫을 하는 과...
-
이름이 `김치'인 동물플랑크톤 학계 보고 [3] | 환경뉴스
2012.10.22
|김치 좋아하는 호주인 교수가 지어, 남해 매물도 해저서 채집한 요각류 마고, 청미천, 가거도 이름 딴 신종도 등록…국립생물자원관 무척추동물 조사 결과 새로운 생물종을 발견한 사람은 그 특징을 규명해 학술지에 보고하면서, 그 생물에 영원히 따라다닐 이름을 다는 영광을 얻는다. ...
-
똥을 흙에 파묻는 고양이의 속사정-낯설어서 더 끌리는 매력 [2] | 조홍섭
2012.10.19
|최근 3년새 고양이 입양 대부분, 깔끔한 성격에 손 덜가 가축화 역사 짧아 독립적 포식자 형질 남아 고양이를 반려동물로 기르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조사업체 엠브레인이 지난해 조사한 바로는 인구 10명 가운데 3명이 애완동물을 기르고 있는데 개가 83%로 압도적이고 고양이는 12.5%를...
-
톡토기는 하루살이를 타고 이동한다-1600만년 전 증거 [1] | 사진
2012.10.19
|호박 속 화석, 정밀 입체 촬영으로 드러나 소형 토양동물 톡토기의 장거리 확산 수수께끼 풀리나 정원의 낙엽이나 화분을 들치면 길이가 2~3㎜인 작은 벌레가 톡톡 뛰어 달아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세계 어디나 흔하게 분포하는 톡토기라는 토양 곤충이다. 그런데 화산활동...
-
돌고래, 15일 이상 긴장 상태 유지할 수 있다 [2] | 환경뉴스
2012.10.18
|뇌 절반씩 교대로 자면서 생긴 '초 집중력'…15일간 한 순간도 긴장 놓지 않아 폭풍으로 실험 중단, 얼마나 더 집중력 유지하는지는 몰라 포유류인 고래는 육지를 떠나 바다로 감으로써 거추장스런 중력을 부담을 털어내고 마음껏 몸집을 불릴 수 있었다. 그러나 바다에서의 삶은 대가를 요...
-
열대 나비가 바다 고둥의 독 보유 밝혀져 | 환경뉴스
2012.10.16
|화려한 동남아 나비 날개에 포식 고둥의 맹독 포함돼 독성물질 공유 이유는 아직 수수께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와 호주에 널리 분포하는 흰나비과의 나비가 있다. 날개 끝의 주황색 반점이 도드라지는 이 나비(학명 헤보모이아 글라우시페)는 아름다운 만큼 날개에 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