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청소 새우가 먹히지 않는 비결 있다청소 새우가 먹히지 않는 비결 있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10.10

    포식자 고객에 청소 직전과 중간에 ‘앞다리 춤’으로 신호열대 태평양 산호초에는 큰 물고기의 아가미와 입속을 청소하는 작은 새우가 산다. 송곳니가 삐죽한 곰치 입속을 예쁜줄무늬꼬마새우가 드나들며 기생충을 잡아먹고 죽은 피부조직을 떼어먹는다. 곰치가 입을 닫으면 꼼짝없이 죽기 마련인 작은 새우...

  • 배추흰나비는 실크로드 따라 동아시아 왔다배추흰나비는 실크로드 따라 동아시아 왔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10.08

    전 세계 유전자 분석 결과…지중해 기원, 통일신라 때 작물과 함께 와배추흰나비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고 수도 많은 나비의 하나다. 생물 종으로 성공한 나비이지만,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농작물 피해를 일으키는 해충이기도 하다.시민 과학의 힘을 빌려, 남극과 남아메리카를 뺀 세계의 모든 배...

  • 유령게의 ‘으르렁’ 경고음, 위장 분쇄기관 소리였다유령게의 ‘으르렁’ 경고음, 위장 분쇄기관 소리였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10.07

    먹이 부수는 부위를 발성 기관으로 ‘재활용’, 상대에 경고 신호 전달집이나 먹이를 빼앗으려는 상대에게 유령게는 집게발을 휘두르며 낮고 거친 소리를 낸다. 마치 개가 으르렁거리는 듯한 경고음을 내는 곳은 놀랍게도 먹이를 잘게 부수는 위 앞부분의 분쇄기관이다.제니퍼 테일러 미국 스크립스 해양연...

  • 해상풍력 갈등, 지역 상생으로 풀자해상풍력 갈등, 지역 상생으로 풀자 | 환경상식 톺아보기

    육근형 | 2019.10.02

    국가사업이라도 개인 피해를 일부 현금보상만으로 해결할 수는 없어어민들의 시위와 민원, 해상풍력이 새 쟁점 “○○사업 중지! 지역 어민 다 죽는다.” 20년 전 대학교 교문 앞에서 머리띠를 두른 어민들과 마주쳤다. 그 때 그 어민들은 동해안 어딘가에 세워진다는 원전 때문에 상경했던 것으...

  • 다리 대신 터널…제2순환로 환경파괴 위험 여전다리 대신 터널…제2순환로 환경파괴 위험 여전 | 환경뉴스

    윤순영 | 2019.10.02

    육상 구간 논 습지 훼손 불보듯, 저감방안 대책 선행되야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가 한강을 건너는 구간은 애초 계획된 교량 설치 대신 지하터널 형태로 건설될 예정이다. 교량 건설로 인한 환경파괴를 우려한 문화재청이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 현상변경 허가를 부결했기 때문이다.문화재청은 "(교량 건...

  • 쥐도 사람과 숨바꼭질 놀이 즐긴다쥐도 사람과 숨바꼭질 놀이 즐긴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10.01

    초음파 소리 지르며 즐거워해…1∼2주 안에 배우고, 전략 수립도 숨바꼭질은 재미있지만 간단치 않은 놀이이다. 상대의 처지에서 생각하면서 전략적으로 숨고,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그러나 침팬지나 까마귀 같은 ‘똑똑한’ 동물 반열에 끼지 못하는 쥐가 숨바꼭질의 ‘선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동물의 놀이...

  • 대멸종 부른 소행성 충돌 첫날 무슨 일이 벌어졌나대멸종 부른 소행성 충돌 첫날 무슨 일이 벌어졌나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09.30

    첫 충돌지점 시추 조사 결과…암석 속 황 30억t 증발해 ‘핵겨울’ 불러신생대의 시작을 알린 6600만 년 전의 소행성 충돌로 새를 뺀 대부분의 공룡을 포함한 지구 생물의 75%가 멸종했다. 당시 지구에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는 세계 곳곳의 화석과 지질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잘 알려져 있다(▶관련 기사...

  • 멸종위기 토종 거북, 남생이 최대 서식지 발견멸종위기 토종 거북, 남생이 최대 서식지 발견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09.20

    경북 소형 농업용 저수지서 20여 마리 확인…경쟁자인 붉은귀거북이 큰 위협남생이는 자라와 함께 전국 하천과 저수지 어디서나 볼 수 있었던 토종 거북이었다. 그러나 붉은귀거북 등 외래종 유입과 서식지 파괴 등으로 대부분 자취를 감춰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다.국제자연보전연맹(IUCN...

  • 거대 공룡에 밟힌 쥐라기 거북은 어떻게 됐을까거대 공룡에 밟힌 쥐라기 거북은 어떻게 됐을까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09.19

    반쯤 으깨진 채 묻혀…공룡 이동하던 갯벌에 갇혀 밟혀바다거북 한 마리가 넓은 갯벌을 느릿느릿 가로지르고 있었다. 알을 낳기 위해서인지, 조류에 휩쓸려 길을 잃었는지는 모른다. 갯고랑에서 허우적대던 거북은 결국 죽었고 머지않아 펄에 뒤덮였다. 갯벌은 거대한 용각류 공룡 무리가 숲의 장애물을 피...

  • 장작·노천소각 미세먼지, 경유차 못잖다장작·노천소각 미세먼지, 경유차 못잖다 | 환경뉴스

    장영기 | 2019.09.18

    미세먼지 심한 겨울철과 봄철 생물성 연소 획기적 관리 절실미세먼지의 농도변화 추세최근 미세먼지 오염상태가 좋아지고 있는지, 나빠지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자주 받는다. 20여년간 전국 대기오염도의 변화 추세를 살펴보면 이산화황과 일산화탄소는 크게 감소하였고, 미세먼지(PM-10)는 그림1과 같이 20...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