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뻐꾸기와 뱁새는 오늘도 ‘진화의 군비경쟁’ 중뻐꾸기와 뱁새는 오늘도 ‘진화의 군비경쟁’ 중 [2] | 조홍섭

    조홍섭 | 2013.06.19

    뱁새는 위조지폐 방지하듯 색깔·무늬·크기 변경, 뻐꾸기는 새매 위장 알 크기 소형화와 색깔 변화로 일단 뱁새 우위, 그러나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숲에서 뻐꾸기 우는 소리가 들리면 이제 봄이 가고 여름이 시작됐구나, 하고 실감하게 된다. 아동문학가 윤석중은 동요 <뻐꾸기>의 노랫...

  • 생물시계 째깍째깍 하룻새 생물종 1689종 찾았다생물시계 째깍째깍 하룻새 생물종 1689종 찾았다 [2]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6.18

    횡성 청태산서 네번째 바이오블리츠 대회 열려…일반인과 전문가 420명 참가 멸종위기 급박 인식 확산 위해 단시간 '협동 작전'…내년엔 서울과 평창서 동시 열려     지구는 인간에 의한 ‘제6의 대멸종’을 겪고 있다. 자연의 속도보다 1000배 빠르게, 15분에 한 종꼴로 생물이 사라지고 있...

  • 길고양이 여러분, 주민센터 앞에 밥과 물을 준비했어요길고양이 여러분, 주민센터 앞에 밥과 물을 준비했어요 [3] | 인터뷰

    최우리 | 2013.06.16

    서울 강동구 만화가 강풀, 캣맘, 구청 힘모아 새로운 길고양이 대책 시행 관내 주민센터 등 18곳에 길고양이 급식소 설치 운영, 다른 지자체 확산 기대      서울시 강동구에서는 사람과 길고양이가 함께 동사무소(주민센터)를 이용한다. 할아버지는 주민등록등본을 떼러 동사무소에 가고, 길고양이는...

  • '먹을 걸 먹었어야지', 어느 황조롱이의 실수"먹을 걸 먹었어야지", 어느 황조롱이의 실수 | 야생동물 구조 24시

    김영준 | 2013.06.14

    아파트 베란다 출생 어린 황조롱이 쥐 먹다 목에 걸려 삼키지도 뱉지도 못하다 구조…치료 뒤 어미와 해후   지난 5월 31일 충남 서산에서 황조롱이 한마리가 구조되었습니다. 상태는 입 안에 쥐 다리가 걸린 상태로 먹이도 먹지 못하고 있는 것을 아파트 주민이 신고하셔서 조류보호협회 서산지회에서...

  • 치타의 치명적 무기는 빠른 속도 아닌 급감속치타의 치명적 무기는 빠른 속도 아닌 급감속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6.13

    근육 파워 우사인 볼트의 4배, 한 걸음에 시속 14㎞ 감속 가능 정밀 측정으로 최고 속력 93㎞ 확인…영 과학자 <네이처> 논문     치타는 고양이과의 어떤 포식자보다도 사냥 성공률이 높다. 그 비결은 흔히 치타의 빠른 속력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치타가 얼마나 빨리 달리느냐는 ...

  • 시청사 옥상에 흰뺨검둥오리 둥지 틀어시청사 옥상에 흰뺨검둥오리 둥지 틀어 | 사진

    김영환 | 2013.06.12

    부천시청 옥상정원에 새끼 11마리 번식 밝혀져 "길조, 무럭무럭 자라다오" 미꾸라지 공급 등 극진한 대접     부천시청 4층 옥상정원에 흰빰검둥오리 어미와 새끼 11마리가 둥지를 틀어 성공적으로 번식한 사실이 알려져 시민들이 반기고 있다.   부천시는 지난 10일 옥상정원 서쪽 수풀에 무리지어 ...

  • 산갈치는 서서 헤엄친다, 수수께끼 심해어 정체 드러나산갈치는 서서 헤엄친다, 수수께끼 심해어 정체 드러나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6.12

    최대 경골어답게 천적 없는 듯, 무인 잠수정에 놀라지 않아 알려진 것만큼 심해어는 아니야…도마뱀처럼 꼬리 자를 가능성도 제기     종종 해변에 죽은 채 밀려와 발견되는 산갈치는 신비로운 물고기다. 얼핏 갈치처럼 생겼지만 거대한 몸집과 기다란 볏이 달린 머리 등 범상치 않은 모습에...

  • 반갑다 소똥구리야…너의 경단 언제까지 볼 수 있을까반갑다 소똥구리야…너의 경단 언제까지 볼 수 있을까 | 환경뉴스

    김정수 | 2013.06.11

    국립생물자원관 20여년만에 긴다리소똥구리 강원 영월서 공식 확인 1990년 강원 철원과 양구서 마지막 관찰 뒤 사라져, 기본적 생태도 몰라      소똥으로 경단을 만들어 굴리는 소똥구리류 3종이 우리 주변에서 거의 사라진 가운데 곤충학자들로부터 생존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지목받아온 긴다...

  • 추운 땅이 그리운 붉은점모시나비, 영하 48도에도 견딘다추운 땅이 그리운 붉은점모시나비, 영하 48도에도 견딘다 [3]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6.10

    대표적 한지성 멸종위기종, 한겨울 알에서 깨 5월말 나비로 홀로세생태연구소 밝혀, 10일 삼척 서식지에 30쌍 인공 방사     날씨가 더워지면서 나비가 날아다니는 모습이 눈에 많이 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기후 온난화 때문에 추운 곳에 적응한 한지성 나비는 점점 더 살 곳을 잃어가고...

  • 새들은 어떻게 ‘남성’을 잃어버렸나새들은 어떻게 ‘남성’을 잃어버렸나 [5]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6.07

    오리 등 물새와 타조 등 원시조류 뺀 97% 수컷 외부 생식기 축소 또는 사라져 배아 단계서 '세포 자살'  신호 작동해 생식기 '싹' 없어져, 암컷 통제 강화 위한 진화 설명     동물진화에서 가장 큰 수수께끼의 하나는 대부분의 새 수컷에게 생식기가 없거나 아주 작게 축소됐다는 사...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