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가창오리 어디 갔나 했더니…삽교호서 32만마리 확인가창오리 어디 갔나 했더니…삽교호서 32만마리 확인 [5] | 환경뉴스

    윤순영 | 2013.04.02

    탐조객 기다리던 천수만 건너뛰어 남해로 직행…`실종' 논란 일어 지난 4~11일 삽교호서 집결 무리 확인, 먹이와 기후변화 영향 받아      해질 무렵 가창오리가 펼치는 환상적인 군무를 볼 수 있는 곳은 세계에서 단 한 곳, 우리나라뿐이다. 전 세계 가창오리의 95%가 한국에...

  • 고라니 주검 뜯으며…철원평야 삵의 겨울나기고라니 주검 뜯으며…철원평야 삵의 겨울나기 [7] | 사진

    윤순영 | 2013.04.01

    굶주린 삵 살리는 얼어붙은 고라니 주검, 사람이 접근하자 눈에서 불꽃이 일었다 최상위 포식자 등극, 철원에선 두루미의 주요 천적…야행성이나 낮 사냥도 불사     삵은 밤보다 낮에 오히려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밤에는 빛을 반사하는 동공을 볼 수 있지만 낮에는 배경 속으로 털무늬가...

  • 남의 새끼 입양은 실수인가 전략인가남의 새끼 입양은 실수인가 전략인가 | 조홍섭

    조홍섭 | 2013.03.30

    아프리카 나미비아 사자 빈번한 '외도'로 우두머리 바뀌었을 때 새끼 살해 막아 민물고기 시클리드도 위험 분산 위해 남의 둥지에 자기 새끼 옮겨     수컷 사자처럼 욕 많이 먹는 동물이 있을까? 그 큰 덩치로 좀 도와줘도 좋으련만, 암컷들이 힘든 사냥을 마친 뒤에야 어슬렁거리며 나타나 비...

  • 노루의 땅을 침범하다노루의 땅을 침범하다 [1] | 환경뉴스

    남종영 | 2013.03.29

    한라산 노루 '유해조수' 지정, 인간과 공존할 길은 없는 것인가 50m 밖 눈치채는 예민한 청각, 달아나며 '컹컹' 짖어     제주도의 생태계는 육지와 다르다. 예부터 호랑이나 반달가슴곰 등 맹수가 살지 않았다. 육지의 '골칫 덩어리' 고라니도 없다.   멧돼지는 1900~1930년 사이에 멸종됐다가...

  • 아프리카 나미브사막 신비의 ‘요정 무늬’는 흰개미 작품아프리카 나미브사막 신비의 ‘요정 무늬’는 흰개미 작품 [2] | 사진

    조홍섭 | 2013.03.29

    식물 뿌리 갉아먹고 물 저장해 수백㎢ 걸쳐 규칙적 무늬 만들어 흰개미는 비버 능가하는 '생태계 공학자'…<사이언스> 논문     아프리카 서남부 해안에 있는 나미브사막에는 오래전부터 미스터리가 있었다. 사막 표면 수백㎢에 걸쳐 지름 10m가량의 원형 무늬가 끝없이 펼쳐져 있는 것이다. ...

  • 흑두루미 '휴게소' 천수만 북적북적흑두루미 '휴게소' 천수만 북적북적 | 사진

    윤순영 | 2013.03.28

    일본 이즈미서 겨울나고 시베리아 가다 3천여 마리 들러, 사람 경계 않는 습성 특이 낙동강 모래톱 망가진 뒤 부쩍 늘어…서식지 보전하면 월동개체 늘 듯      흑두루미의 이동을 관찰하기 위해 지난 3월16일부터 22일일까지 천수만에 머물렀다. 4대강 사업으로 낙동강 쪽 모래톱이 다 없어지면서...

  • 남한강 4대강 준설 지점에서 재첩 대량 폐사남한강 4대강 준설 지점에서 재첩 대량 폐사 [10]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3.27

    시민단체 4대강 조사위 잠수 조사, 남한강 강천보 상류 5㎞ 상류 강바닥서 떼죽음 어민들 "남한강 4대강 사업 다른 구간서도 발생", 누치 영양실조 현상도     4대강 사업을 하면서 모래를 쳐낸 남한강 구간에서 민물조개인 재첩이 대량으로 폐사하고 있다는 환경단체의 현장 조사결과가 나왔다.  시...

  • 어느 엄마와 아기를 위한 진혼제어느 엄마와 아기를 위한 진혼제 | 최예용

    최예용 | 2013.03.27

    2주기 맞은 가습기살균제 사망 산모와 태아 명복 빌어 "감기 걸리지 말라고 직접 넣어준 살균젠데…", 아들도 간질성 폐렴 후유증   유난히 눈이 많고 영하 10도 이하의 강추위가 계속된 겨울이었지만 입춘과 설이 지난 2월 중순의 햇살은 어느덧 봄이 가까이 오고 있음을 느끼게 해주었다. 충청북도 옥...

  • 하늘다람쥐는 인공 새집을 좋아해하늘다람쥐는 인공 새집을 좋아해 [1] | 사진

    조홍섭 | 2013.03.26

    덕유산국립공원 박새 관찰 위해 설치한 새집에 `진객' 입주 새집 25개 중 12개 차지…국립공원공단은 새 둥지 설치키로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11년 덕유산 국립공원에 조류 관찰용 인공 둥지 25개를 설치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박새나 곤줄박이가 언제 산란하는지를...

  • 죽음의 땅 후쿠시마 떠나지 못한 동물들죽음의 땅 후쿠시마 떠나지 못한 동물들 [4] | 조홍섭의 책꽂이

    이성실 | 2013.03.25

    후쿠시마에 남은 개와 고양이의 눈망울엔 그리움이 있었다 비정상 핵발전 사회를 바꾸지 않는 한 이런 고통 계속 돼        후쿠시마에 남겨진 동물들 -‘죽음의 땅’ 일본 원전 사고 20킬로미터 이내의 기록 오오타 야스스케 지음, 하상련 옮김/ 책공장더불어/ 1만1000원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