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토기는 하루살이를 타고 이동한다-1600만년 전 증거

조홍섭 2012. 10. 19
조회수 45354 추천수 0

호박 속 화석, 정밀 입체 촬영으로 드러나

소형 토양동물 톡토기의 장거리 확산 수수께끼 풀리나

 

 Dr Dave Penney2, The University of Manchester.jpg » 하루살이 성충 몸에 붙은 채 화석이 된 톡토기(화살표). 사진=데이브 페니, 맨체스터 대학

 

정원의 낙엽이나 화분을 들치면 길이가 2~3㎜인 작은 벌레가 톡톡 뛰어 달아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세계 어디나 흔하게 분포하는 톡토기라는 토양 곤충이다. 그런데 화산활동으로 새로 생겨난 섬에도 이 곤충이 곧 생겨난다. 톡토기가 어떻게 확산해 나가는지를 두고 해류를 탄다거나 공중을 날아다니는 플랑크톤을 이용할 것이란 가설은 있지만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진드기 같은 작은 곤충이 거미나 나비 등 다른 큰 곤충에 편승해 이동하는 현상은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하루살이 애벌레에 ‘무임승차’하기는 쉽지 않다. 주로 물속에서 살다 물 밖으로 떼지어 날아오르는 하루살이 성충은 종에 따라 한 시간 이내에서 기껏 며칠 동안밖에 살지 못한다. 소화기관도 없는 하루살이 성충은 이 짧은 기간 동안 짝짓기에 몰두한다. 따라서 하루살이 성충은 편승하기에 좋은 숙주가 아니다.

 

Author Sharadpunita _800px-Ephemeroptera.jpg » 하루살이 성충. 물 밖에선 아주 짧은 기간만 생존한다. 사진=샤라드 푸니타, 위키미디어 코먼스

 

Christian Fischer_644px-SminthuridesAquaticus.jpg » 하루살이에 편승한 것과 같은 과에 속하는 톡토기. 사진=크리스천 피셔, 위키미디어 코먼스

 

그런데 하루살이의 날개 아래에 톡토기가 들러붙어 이동하는 생생한 모습이 드러났다. 그것도 1600만년 전에 일어난 일이 고스란히 보존된 상태로 발견됐다.
 

페니 맥네일 영국 맨체스터 대학 생물학자 등 영국 연구진은 최근 온라인 학술지 <플로스 원>에 실린 논문에서 이 대학이 보관중인 도미니카공화국에서 출토된 호박에서 하루살이에 편승한 톡토기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송진 등 나뭇진이 굳은 광물인 호박에는 종종 나뭇진에 묻혀 죽은 뒤 썩지 않고 보존된 다양한 곤충 화석이 발견된다.
 

연구진은 약 1600만년 전 신생대 마이오세 때 호박에 하루살이 애벌레가 들어있었는데, 그 오른쪽 날개 기부의 계곡처럼 움푹 패인 부위에 톡토기가 더듬이를 이용해 붙어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 부위는 하루살이가 날더라도 몸에 들러붙어 있을 수 있는 곳이다.

 

bug1.jpg » 하루살이 화석의 엑스선 시티 사진. 오른쪽 위 날개 아래에 톡토기가 있다. 사진=플로스 원

 

bug2.jpg » 하루살이와 톡토기의 확대 사진. 사진=플로스 원

 

bug3.jpg » 톡토기가 더듬이로 하루살이에 몸을 붙인 모습. 정교한 엑스선 시티 촬영으로 화석의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분석이 가능해졌다. 사진=플로스 원   

 

논문은 “이 호박 화석은 톡토기가 날개 달린 곤충을 이용해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첫 사례”라면서 “1600만년 전 모습이지만 현재도 살아있는 톡토기와 하루살이 사이에서 이런 편승 행동이 벌어지고 있을지 모른다”고 밝혔다.
 
■ 관련기사: 5000만년 동안의 ‘무임승차’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Penney D, McNeil A, Green DI, Bradley RS, Jepson JE, et al.
Ancient Ephemeroptera?Collembola Symbiosis Fossilized in Amber Predicts Contemporary Phoretic Associations.
PLoS ONE 7(10): e47651. doi:10.1371/journal.pone.0047651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