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명적 개구리 감염병 돌자 열대 뱀 멸종 사태

조홍섭 2020. 02. 26
조회수 19160 추천수 0
파나마 열대림서 구체적 확인…먹이 75% 줄자 종 다양성 3분의 2로

s1.jpg » 나뭇잎 위에 낳은 개구리 알을 먹는 열대 뱀. 양서류 곰팡이 돌림병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카렌 워켄틴 제공.

동아시아에서 세계로 퍼져나간 항아리곰팡이 감염병이 양서류의 대규모 멸종 사태를 빚자 그 파급효과로 열대지역 뱀의 생물 다양성이 급속히 줄어든 것으로 밝혀졌다. 먹이사슬을 통한 생물 종의 멸종 사태가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은 드문 일이다.

항아리곰팡이는 20세기 초 한반도 등 동아시아에서 인위적으로 유럽에 옮겨진 무당개구리 등이 퍼뜨린 병원체로, 1970년대부터 아메리카와 호주 대륙 등 세계적으로 개구리와 도롱뇽 등 양서류 90종을 멸종시키고 500종이 감소하는 피해를 일으킨 사상 최악의 곰팡이이다.

엘리스 지프킨 미국 미시간 주립대 생물학자 등 미국 연구자들은 14일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에서 “양서류가 감소한 뒤 뱀 집단이 붕괴한 것은 종종 눈에 띄지 않게 벌어지는 생물 다양성 위기를 잘 드러낸다”며 “눈에 보이지 않은 채 사라지는 희귀종과 연구가 되지 않은 종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s2.jpg » 개구리와 도마뱀을 잡아먹는 덩굴 뱀. 양서류 감소 이후 개체수가 줄지는 않았지만, 몸의 에너지 비축이 주는 등 몸 상태가 나빠졌다. 케빈 엥게 제공.

이번 연구가 가능했던 것은 항아리곰팡이가 밀려오기 전인 1997년부터 중미 파나마의 엘 코페 인근 국립공원에서 양서류를 7년 동안 자세히 조사한 데이터가 있었기 때문이다. 2004년 말 항아리곰팡이가 들이닥치자 몇 달 안에 감염된 개구리들이 개울가에 즐비하게 널브러졌다. 2006년부터 다시 6년 동안 조사가 벌어졌다.

그러나 열대림의 뱀은 워낙 희귀한 종이 많아 주요 먹이인 양서류가 감소한 영향을 조사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주 저자인 지프킨은 “관찰한 뱀 36종 가운데 12종은 13년 동안의 현장연구를 통틀어 단 한 번씩만 목격했을 뿐”이라며 “애초 희귀하거나 은밀한 종은 너무나 빨리 줄어들기 때문에 모르는 사이에 멸종하기 쉽다”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연구자들은 이 지역 뱀의 주요 먹이인 양서류의 75%가 곰팡이 감염으로 사라지자 열대 뱀 종 수가 30종에서 21종으로 줄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모든 종의 서식실태를 일일이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장조사 결과와 통계학 모델을 이용해 85% 확률로 추정한 수치이다.

뱀의 종 다양성만 준 것이 아니라 개체수 자체도 줄었다. 연구자들은 “5회 이상 자주 관찰되던 뱀 17종 가운데 9종이 출현율이 떨어졌다”고 밝혔다. 영양 상태도 나빠져, 감염 전후를 비교한 6종 가운데 4종이 비쩍 마른 상태였다. 

뱀은 종에 따라 1년에 한 번 사냥하고도 버티기 때문에, 먹이가 사라진다고 곧바로 죽지는 않는다. 연구자들은 “뱀들은 양서류가 사라지자 다른 먹이로 교체하기 위해 안간힘을 썼지만 큰 타격을 입었다”며 개구리 알이 주식인 시본 아르구스 종을 예로 들었다.

s3.jpg » 몸과 목이 극단적으로 가는 열대 뱀. 개구리와 도마뱀이 주 먹이이나 개구리 감소로 인해 영양 상태가 악화하고 있다. 앤드루 하인 제공.

양서류의 돌림병은 개구리뿐 아니라 도마뱀 등 먹이사슬의 다른 구성원도 교란했고, 상위 포식자인 맹금류와 포유류에도 영향을 끼친다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지프킨은 “생태계 교란은 다수의 패자와 소수의 승자를 낳겠지만, 종국적으로는 세계적으로 생태계의 균일화, 곧 어디 가나 점점 비슷한 생태계가 나타나는 현상을 부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슬픈 일이지만 생물다양성 위기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심각하다. 왜냐하면 평가할 자료가 부족한 종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였다.

인용 저널: Science, DOI: 10.1126/science.aay5733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