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시베리아 영구동토 속 메탄가스 대규모 분출 불가피시베리아 영구동토 속 메탄가스 대규모 분출 불가피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2.25

    지구온도 1.5도 상승으로도 영구동토 녹은 증거 발견 시베리아 동굴 석순 분석 결과, <사이언스> 논문     극지방 가까운 곳에서 연중 얼어붙은 상태를 유지하는 토양을 영구동토라고 부른다. 여름 한두 달 동안 거죽이 질척하게 녹아 식물이 자라는 곳도 있지만 깊은 곳은 늘 얼어있는 곳...

  • 싸움 지존 참수리, 독수리 습격 사건싸움 지존 참수리, 독수리 습격 사건 [2] | 사진

    윤순영 | 2013.02.22

    고기 부산물 놓고 독수리와 한 판 승부…덩치 작지만 옆차기 일품 세계에 5천마리뿐 보호종, 멸종위기종 1급 흰꼬리수리와 함께 출현     참수리는 전세계에 남아있는 개체수가 5000마리에 불과할 정도로 희귀한 세계적 보호조이다. 하지만 강원도 철원은 우리나라에서 드물게 참수리 어린 새끼를 관찰...

  • ‘세계에서 가장 귀여운’ 사막 개구리 화제‘세계에서 가장 귀여운’ 사막 개구리 화제 | 동영상

    조홍섭 | 2013.02.21

    새끼 손톱 크기에 맑은 울음소리…나미비아 사막 모래언덕 서식 낮동안 모래속 은신하다 밤에 똥 속 벌레 사냥, 다이아몬드 광산개발로 멸종위기   Worlds Cutest Frog - Desert Rain Frog   작은 얼굴에 큰 눈, 괴상하게 생겼지만 맑고 귀엽게 우는 앙징맞은 사막 개구리가 인터넷에서 화제를 부...

  • 백령도 식물은 북과 남이 공존한다백령도 식물은 북과 남이 공존한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2.20

    추운 지방 식물과 따뜻한 지방 식물 모두 자라, 울릉도 능가하는 732종 분포 국립생물자원관 조사 결과 …강원도 석회암 지대와 함께 생물다양성 높아 주목     약 1만년 전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갑자기 따뜻해지자 한반도의 식물 분포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추운 날씨를 좋아하는 식물은 따...

  • 야생동물을 사람 병원에서 치료하면 곤란한 이유야생동물을 사람 병원에서 치료하면 곤란한 이유 [2] | 야생동물 구조 24시

    김영준 | 2013.02.19

    새 특성 무시한 시술로 새호리기 영구 장애…잘 감싸면 자연 치유 가능 제비 잡는 날쌘들이 새호리기, 전선에 충돌해 날개팔 골절    새호리기는 우리나라에는 여름에 찾아오는 조류로서 보통 6월에 번식을 합니다. 황조롱이보다 약간 더 늦게 번식하는 소형 맹금류입니다. 주로 제비처럼 작은...

  • 남해 바다녹화 현장…해적동물 득실 사막에 바다숲 일군다남해 바다녹화 현장…해적동물 득실 사막에 바다숲 일군다 [1] | 황선도 박사의 물고기 이야기

    황선도 | 2013.02.18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남해 마안도 해중림 조성사업 한창 불가사리, 성게 걷어내고 모자반, 감태 심고…'조림 성공' 바다서 못 하랴   겨울바다는 한가하다. 혹자는 겨울바다는 낭만이라 하지만, 사실 춥고 바람부는 한어기라 바다에 인적조차 없으니 한가할 수밖에.   그런데, 남쪽나라 남해에는 겨...

  • 물고기들에게 약 먹였습니까?물고기들에게 약 먹였습니까? [1] | 조홍섭

    조홍섭 | 2013.02.15

    미량 불안장애 약 성분도 민물 농어 큰 행동변화 불러, <사이언스> 논문 폐의약품, 화장품 등 화학물질 수천종 일상적으로 하천 유입…PCPPs 새로운 오염문제 떠올라      상쾌한 아침 샤워가 심각한 수질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샴푸의 세제 성분이나 물 낭비를 말하는 게 아니다. 몸...

  • 얼지 않는 남극 연못, 화성의 '강'과 판박이얼지 않는 남극 연못, 화성의 '강'과 판박이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2.14

    돈 후앙 연못, 지구에서 가장 짜 영하 50도에도 안 얼어 최근 발견된 화성의 물 흐른 흔적 설명할 지형으로 드러나     남극 대륙의 맥머도 드라이 밸리는 혹독한 추위와 건조한 날씨로 지구에서 가장 생물이 살기 힘든 곳이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곳의 환경은 생명체가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

  • 자연 학대 사진촬영은 이제 그만자연 학대 사진촬영은 이제 그만 [7] | 사진

    윤순영 | 2013.02.13

    둥지 노출, 새끼 유괴에 모성애 악용까지…전정가위와 톱, 사다리까지 동원 사진은 '기다림의 미학', 전문가 도움 받아야      지난해 한 사진가가 전시회에 내놓은 새 사진이 동물학대 논란에 휩싸였다. 작가가 새의 모습을 멋지게 담기 위해 날지 못하는 어린 새를 둥지에서 꺼내 연출...

  • 반세기 넘도록 계속된 고통, 탈리도마이드 피해자를 만나다반세기 넘도록 계속된 고통, 탈리도마이드 피해자를 만나다 | 환경뉴스

    최예용 | 2013.02.12

    마르기트 훈데마이어 피해자 대표 인터뷰, "어머니가 임신 때 약 한 알 잘못 먹어 이렇게 됐다" 2800여명 생존, 현재도 골수암 약으로 사용 중…한국 가습기 피해자에게 "연대하라" 조언     그녀의 이름은 마르기트 훈데마이어였다. 독일 남부 바덴뷔텐부르크 주 알멘딩엔에 있는 그의 집은 슈...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