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 거냐 말 거냐", 분열 부르는 MB식 소통

신창현 2011. 06. 22
조회수 49400 추천수 0

지고 이기는 문제가 되면 타협책 불가능

새만금, 동강에서 실패했고 장항갯벌에서 성공한 분쟁조정


 

문제 속에 답이 있다는 말이 있다. 그런데 우리는 답을 찾기 어려운 문제를 내고 답을 찾으라고 요구한다. 동강댐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 새만금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 4대강 사업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 모두 답을 찾는 질문이 아니라 싸움을 붙이는 질문이다.

 

하는 쪽으로 결론이 나면 말자는 쪽이 지고, 마는 쪽으로 결론이 나면 하자는 쪽이 지는 질문이다. 대화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하면서 정작 대화의 주제는 하느냐 마느냐 양자택일, 한쪽이 이기면 다른 쪽이 지는 질문을 의제로 던진다.

 

그런데 지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가. 밤샘 토론을 해서라도 상대방을 설득하려고 하지만 지고 이기는 문제는 토론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어느 쪽도 지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saemangeum.jpg

 

새만금 문제의 경우, 국무조정실 수질개선기획단에서 찬성, 반대 전문가 동수로 공동조사단을 구성해 1년 6개월 동안 조사활동을 벌였지만 결과는 10 대 9로 찬성, 반대 입장은 바뀌지 않았다. 왜 그랬을까? 1년 6개월이나 같이 만나 대화하고 현장을 확인하며 자료를 검토했다면 처음에 찬성하던 사람이 반대하는 쪽으로 생각이 바뀔 수도 있고, 반대하던 사람은 찬성하는 쪽으로 바뀔 수도 있는데 왜 한 사람도 바뀌지 않았을까?

 

새만금 공동조사단에 참여한 전문가들과 개별, 직접, 비밀 면담조사를 통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많은 전문가들이 수질오염, 해양오염, 경제적 타당성 등 각론에서는 자신의 당초 의견을 수정하거나 보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새만금 사업을 계속할 것인가 중단할 것인가에 대한 총론에서는 찬성, 반대 입장에 변화가 없었다.

 

그 이유는 새만금 사업을 할 것이냐 말 것이냐, 지고 이기는 질문이였기 때문이다. 의제를 지고 이기는 질문으로 설정하면 찬성 측에서 추천한 전문가는 자신을 추천한 기관, 단체를 배신할 수 없기 때문에 찬성 입장을 고수하고, 반대 측 전문가 역시 자신을 추천한 기관, 단체를 배신할 수 없기 때문에 반대 입장을 고수할 수밖에 없다.

 

 sapaesan.jpg

 

동강댐의 경우에도 찬반 동수로 공동조사단을 운영했지만 찬반 입장이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김대중 대통령이 백지화의 결단을 내렸다. 서울 외곽순환고속도로 사패산 터널 문제도 공동조사단을 구성했지만 찬반 입장이 바뀌지 않자 노무현 대통령이 반대하는 조계종을 찾아가 협조를 구했다. 경인운하의 경우도 찬반 동수로 구성하여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결정하기로 운영규칙을 정하고 1년 동안 공동조사를 벌였으나 찬반 입장이 바뀌지 않아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모두 의제를 하느냐 마느냐의 지고 이기는 질문으로 설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충남 서천군의 장항갯벌은 매립이냐 아니냐의 질문 대신에 지역발전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로 질문을 바꾸었기 때문에 갯벌은 보존하고 내륙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사회적 합의가 도출됐다.

 

 janghang.jpg 

 

지고 이기는 방식이 아니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질문부터 바꿔야 한다. 새만금의 경우 전라북도의 발전을 위해서 새만금 갯벌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로 질문을 바꿨다면 매립이냐 아니냐의 양자택일이 아니라 좀 더 다양한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개방형 질문으로 의제가 설정되었을 것이다.

 

지고 이기는 질문이 아니라 양쪽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대안을 찾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로 질문을 바꾸면 이해관계에 따라 찬성, 반대로 나뉘는 갈등관계 대신에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협력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질문을 바꾸면 답을 찾는 방법이 바뀌고, 방법을 바꾸면 결과도 바뀔 수 있다. 그런데도 이명박 정부는 아직도 하느냐 마느냐의 지고 이기는 질문을 계속하고 있다. 4대강 개발을 할 것이냐 말 것이냐, 무상급식을 할 것이냐 말 것이냐, 반값 등록금을 할 것이냐 말 것이냐...

 

어느 한쪽이 지고 이기는 질문으로 끊임없이 국민들에게 찬성과 반대를 강요하고 진보와 보수로 편가름하며 사회갈등을 부추기고 있다. 대통령이 소통을 강조하지만 현장에서 소통이 되지 않는 이유는, 대통령이 이기고 국민이 지는 일방통행의 소통만 고집하기 때문이다.

 

신창현/한겨레 물바람숲 필진, 환경분쟁연구소장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신창현 환경분쟁연구소 소장
환경분쟁연구소장. 갈등과 분쟁이 있어야 먹고 사는 분쟁 전문가. 복잡한 환경분쟁을 명쾌한 논리와 합리적인 대안 제시로 풀어나간다.
이메일 : green@bunjaeng.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bunjaeng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제주 해군기지 갈등, 관광민항부터 지어야 풀린다제주 해군기지 갈등, 관광민항부터 지어야 풀린다

    신창현 | 2011. 09. 14

    제주 해군기지 갈등은 2002년 화순항에서 시작됐다. 화순주민들은 왜 해군기지를 반대했나? 지역발전 때문이다. 국방부는 하와이, 괌 등의 미 해군기지를 예로 들며 관광객이 더 많이 찾아올 것이라고 홍보했다. 남원 주민들은 왜 반대했나? 평화의...

  • 이명박 정부의 갈등관리가 낙제점인 이유이명박 정부의 갈등관리가 낙제점인 이유

    신창현 | 2011. 05. 29

     누가 물었다. “이 정부는 갈등관리 정책이 없는 것인가? 동남권 신공항 건설갈등, LH공사 이전갈등, 과학벨트 지정갈등 어느 하나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사실은 없는 게 아니고 잘못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정부는 회피, 강행...

  • 환경운동의 종교화는 바람직한가환경운동의 종교화는 바람직한가

    신창현 | 2011. 05. 20

     우리나라의 환경운동은 이제 종교인들이 주도하고 있다. 단체의 공동대표를 맡아 정신적인 지주 역할을 하던 간접적 방식에서 직접 문제를 제기하고 각종 시위와 집회에 앞장서는 현장주도 방식으로 바뀐 것이다. 뒤에서 지원하던 종교인들이 왜 전...

  • 난지 하수처리장 악취, 오세훈의 이기적 침묵난지 하수처리장 악취, 오세훈의 이기적 침묵

    신창현 | 2011. 05. 11

    편익은 서울시가 누리면서 고통은 고양시에내가 하면 애향심, 남이 하면 지역이기주의?   서울에서 강변북로를 타고 서쪽으로 가다 자유로에 들어서면 어김없이 차 안으로 역겨운 냄새가 파고 든다. 서울시가 운영하는 난지 하수처리장에서 나오는 악취...

  • 최초로 국립공원에 골프장을 허용하는 나라?

    신창현 | 2010. 11. 30

    환경부가 국립공원에 케이블카 설치를 허용하고, 국립공원 구역을 축소하는 것도 모자라 이제는 골프장까지 허용하려 하고 있다. 청와대 홈페이지의 ‘100대 국정과제’를 보면 35번째 과제로 생태공원을 확충하여 녹색한반도를 만들겠다는 내용이 있다...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