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외래식물, 공항 항구 목장 미군기지에 모인다외래식물, 공항 항구 목장 미군기지에 모인다 [1] | 환경상식 톺아보기

    이은주 | 2017.06.07

    벼 도입과 함께 시작, 일본·중국 거쳐 이제는 원산지 직수입난개발로 생태계 교란 지역에 먼저 들어와, 생태 건강 악화 신호  여름이 되면서 꽃가루 알레르기로 고통을 받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꽃가루 알레르기의 주범으로 꼽히는 식물들은 대개 돼지풀 같은 외래식물이다. 외래식물이 눈...

  • 맨땅의 부상 연기, 흰물떼새는 새끼 위해 뭐든 한다맨땅의 부상 연기, 흰물떼새는 새끼 위해 뭐든 한다 [1] | 윤순영의 자연의 벗

    윤순영 | 2017.06.06

    영종도 바닷가 번식 물떼새, 작지만 영리하고 눈치 빨라침입자 새끼로부터 멀리 유인하려 날개 다친 척 완벽 흉내지금은 여름철새들이 한창 산과 들, 바닷가에서 번식하는 시기이다. 영종도 간척지는 흙, 모래, 자갈로 매립돼 있어 물새들이 여기저기 둥지를 틀었다. 전 세계의 온대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 암컷 배 밀봉, 붉은점모시나비의 이기적 사랑암컷 배 밀봉, 붉은점모시나비의 이기적 사랑 |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노트

    이강운 | 2017.06.05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 노트 <11> 망종배끝에 수태낭 만들어 다른 수컷과 짝짓기 차단'날개 달린 꽃' 붉은점모시나비의 화려한 변신  “꽃이 피면 같이 웃고 꽃이 지면 같이 울던” 봄날은 가고, 오늘은 차고 넘치는 망종(芒種). 30도를 오르내리는 때 이른 더위로 계절 구분...

  • 갈라파고스가마우지는 어떻게 날지 못하게 됐나갈라파고스가마우지는 어떻게 날지 못하게 됐나 | 환경뉴스

    조홍섭 | 2017.06.02

    게놈 분석 결과 사람에 심각한 발달장애 일으키는 유전자 돌연변이 축적천적 없고 먹이 풍부해 비행 불필요…몸집 커지고 부력 줄어 잠수에 유리하기도가마우지는 물속을 잠수해 물고기나 문어 등을 잡아먹는 비교적 큰 물새이다. 끝에 갈고리가 달린 부리와 몸 뒤쪽에 달린 물갈퀴 발로 물속에서 재빨리...

  • 1억원으로 베트남 유치원 11곳 안전한 물 마셔1억원으로 베트남 유치원 11곳 안전한 물 마셔 | 환경상식 톺아보기

    윤순진 | 2017.06.01

    개도국 기후변화 적응 지원은 기후정의이자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현하는 길’국경 없는 과학기술자회’, 타이응우옌에 적정기술 바탕으로 식수 공급장치 설치  2013년에 발표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5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를 보면, 대기 중에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15% 이상...

  • 길이 1㎞ 신곡수중보가 한강을 죽이고 있다길이 1㎞ 신곡수중보가 한강을 죽이고 있다 [2] | 윤순영의 자연의 벗

    윤순영 | 2017.05.30

    수중보 위는 녹조로 몸살, 아래는 물골 사라져철거해야 하중도, 백마도, 점박이물범이 돌아온다 ‘노루목’ 장항습지는 30여 년 전만 해도 없던 곳이다. 옛 지도에도 흔적이 없었다. 진경산수의 대가 겸재 정선은 전국의 산과 강을 돌아다니며 멋진 풍경을 그림에 담았다. 특히 양천 현령을 지내며 그린 ...

  • 고창 선운산서 국내 미기록 과의 포식성 파리 발견고창 선운산서 국내 미기록 과의 포식성 파리 발견 | 환경뉴스

    조홍섭 | 2017.05.30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7에 1200여명 참가, 하룻새 836종 확인2m 구렁이, 식충식물 끈끈이주걱, 북방계 희귀식물 두메애기풀 등 발견“바이오블리츠가 뭐다요?”전북 고창군에 있는 선운산을 등산하던 이가 ’바이오블리츠’란 글귀가 새겨진 티셔츠를 입은 조사단원에게 물었다. “미식축구에서 일제히 공격하는...

  • 회색곰은 기차 좋아하고, 표범은 녹차 좋아해회색곰은 기차 좋아하고, 표범은 녹차 좋아해 | 환경뉴스

    조홍섭 | 2017.05.26

    철길에 떨어지는 곡물 수송 화차의 낙곡, 치인 동물, 개미 등 선호인도 동북부 차나무 밭은 빽빽한 하층 숲이 은신처 제공, 표범 몰려대형 포식동물은 훼손되지 않아 먹이가 풍부한 곳, 다시 말해 인적이 드문 곳에 살기 마련이다. 그런데 꼭 그렇지는 않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사람이 바꾼...

  • 학대받는 가로수, 나무에도 행복할 권리가 있다학대받는 가로수, 나무에도 행복할 권리가 있다 [8] | 양형호의 재미있는 숲 이야기

    양형호 | 2017.05.25

    나무의 생장특성이나 주변 환경 고려 않고 심은 뒤 마구잡이 가지치기잘 심은 가로수 길 몇 십년 뒤 명품도시 선사…적합한 자생 수종도 많아어떤 나무가 행복할까? 사람에게 돈, 권력, 명예, 건강 같은 것이 행복의 조건이라면 나무는 과연 어떨 때 행복할까? 강가에 미루나무 세 그루가 서 있...

  • 빙하기가 거대고래 출현 불렀다빙하기가 거대고래 출현 불렀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7.05.24

    300만년 전 빙하 확장과 용승류 체계 확립돼 먹이 크릴 번성낮은 대사율, 장거리 이동에 유리…기후변화는 서식지 축소 위협우리는 현재의 지구가 지질학적인 시간으로 보아도 얼마나 특별한 곳인지 모르기 쉽다. 세계에서 가장 큰 포유류인 대왕고래(흰긴수염고래)는 지구에 여태까지 살았던 모든 동물 가...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