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당 얼음판에 메기, 동태, 돼지고기…비뚤어진 자연 사진가 [7] | 윤순영의 자연의 벗
2017.02.14
|참수리, 흰꼬리수리 등 사진 찍으려고 자연에 없는 먹이 던져 생태계 교란한강 상수원, 먹이 투기는 오염이나 쓰레기 투기와 마찬가지로 불법 행위팔당대교와 팔당댐 사이 한강은 수도권의 상수원이자 자연이 잘 보전돼 생태환경이 뛰어난 곳이다. ...
-
가습기 살균제 참사가 ‘안방 세월호’인 이유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7.02.13
|어떤 부서도 피해자 편에 서지 않고 무능과 무책임으로 사고 덮기 급급정부 관계자 처벌도 전무…피해배상은 피해시민의 힘겨운 노력 덕분가습기 살균제로 인해 이미 천 명이 넘는 사망자를 포함해서 수천 명에게 건강피...
-
에너지 효율 높고 천리안 지녀야 ‘청소동물 자격’ | 환경뉴스
2017.02.10
|사람과 육식공룡도 한때 ‘청소동물’이었다모든 육식동물은 정도 차 있지만 모두 청소 행동육식동물 가운데 청소동물의 이미지는 좋지 않다. 죽은 초식동물의 뱃속에 얼굴을 처박고 게걸스럽게 먹는 하이에나나 독수리의 모습이 떠오르기 때...
-
가족애 강한 큰고니, 다양한 언어로 소통 | 사진
2017.02.10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팔당 큰고니집합, 경고, 위협, 비상, 사랑의 소리…평화로운 동물이지만 가끔 영역싸움서로 날개와 목 추어올리며 힘자랑몸무게는 8~12㎏으로 꽤 무거워수면 박차고수십m 달려야 겨우 이륙해마다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새 가운데 큰고니는 가장 크고 기품 있다. 게다가 대도시 근...
-
비행기 착륙 30분 전쯤 “소독”, 외래종과의 전쟁 | 환경뉴스
2017.02.08
|'살아있는 진화 실험실' 갈라파고스를 가다 ② 비상 걸린 고유종 1535년 첫 ‘발견’ 이후 사람 발길육지 동식물 따라 들어와 경쟁자와 천적이 없는 생태 ‘취약’염소 3마리가 20여년 뒤 4만마리로 1억8000만마리 쥐 없애기 위해 쥐약 22t을 헬기로 살포도 외래 식물은 800종 넘어구아버 블랙베...
-
새도 바다사자도 가까이 다가가도 본체만체 [1] | 환경뉴스
2017.02.07
|'살아있는 진화 실험실' 갈라파고스를 가다 ① 진화론 낳은 동물들1835년 26살 다윈이 5주간 머물렀다24년 뒤 진화론으로 세상을 뒤집었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1호에콰도르에서 1000㎞, 12개 큰 섬 도착 즉시 만난 첫 손님은 ‘다윈 핀치’200만년 전 남미서 와 15개 종 진화 항구 주변 ...
-
입춘이 반가운 겨울나비, 네발나비와 각시멧노랑나비 [2] |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노트
2017.02.03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 노트 <3> 눈속에 나오는 네발나비, 각시멧노랑나비어른벌레로 겨울 나다 이맘때 양지바른 낙엽 위에 나와붉은점모시나비, 애벌레는 추위 견디고 알은 더위 이겨 겨울 끝자락인 입춘 즈음...
-
꼭꼭 숨은 넙치 '숨소리'도 잡아내는 물범 수염 | 환경뉴스
2017.02.01
|예민한 물범 수염, 바닥에 숨어있는 넙치 아가미 방출 물살도 감지위협 느낀 물고기는 일시 호흡 중지로 대응하기도, 물속 '감각 전쟁'바닷물 속에서 이리저리 유연하게 헤엄치는 물범은 꼭 노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결과를 보...
-
침묵의 사냥꾼 쇠부엉이, 저공비행 ‘달인’ | 윤순영의 자연의 벗
| 2017.01.20
유연하게 파도처럼…빠르게 급강하, 역회전 등 자유자재밤 활동하는 부엉이와 달리 낮에 사냥하는 유일한 부엉이쇠부엉이는 부엉이 중에서 크기가 작아 작다는 뜻의 순우리말 쇠자가 붙었다. 겨울철이면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볼 수 있던 새지만 이제는 쉽게 볼 수 없는 겨울철새로 천연기념물 제324-4호로...
-
살아있는 빙하기 생물화석으로 ‘태양의 신’ |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노트
2017.01.20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 노트’<2> 대한의 붉은점모시나비 생물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심미적으로도 뛰어나알속 애벌레로 173일 ‘여름잠’ 자며 추위 기다려 20여 년 강원도 깊은 산 속에서 살다 보니 문득 도인이 된 듯 자연이 흐르는 대로 몸을 맡기면 생명의 움직임과 자연의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