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거제도 육지 연결 자연사 되살릴 어류 표본 발견거제도 육지 연결 자연사 되살릴 어류 표본 발견 | 환경뉴스

    조홍섭 | 2018.08.22

    지금은 ‘지역 절멸종’인 참쉬리와 꺽저기 표본 확인고 최기철 박사 기증 표본 37만점 정리하다 ‘발견’생물학자들은 기록되거나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종을 대개 야외에서 현장조사를 하면서 발견한다. 그러나 종종 이미 채집됐지만, 의미를 모른 채 박물관에 보관 중이던 표본 가운데 새로운 ‘발견’을...

  • 사고와 침식 막으려면 신곡수중보 당장 철거해야사고와 침식 막으려면 신곡수중보 당장 철거해야 [2] | 윤순영의 자연의 벗

    윤순영 | 2018.08.21

    가동보 전면 개방이 안전사고와 둔치 침식 불러수중보 상류엔 녹조, 하류엔 물골 사라져 '장판'화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신곡리에 자리 잡은 신곡수중보는 끊임없이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곳이다. 서울시가 신곡수중보 가동보의 전면 개방을 추진 중인 가운데 지난 12일 소방대원 2명이 목숨을 잃는 ...

  • 낡은 해상 인공구조물, “철거보다 놔두는 게 낫다”낡은 해상 인공구조물, “철거보다 놔두는 게 낫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8.08.17

    석유·가스·해상풍력 등 세계 수천곳 해체 예정멸종위기종·수산자원 위한 인공어초 기능 확인1995년 영국 석유회사 셸은 북해에서 해상 석유 플랫폼인 ‘브렌트 스파’가 용도를 다하자 심해에 폐기하기로 결정했고 정부의 승인을 받았다. 그러자 그린피스 등 환경단체가 시설물에 남은 석유의 유해물질 등을...

  • 동물은 먹을 만큼만 사냥? 퓨마의 ‘과잉살해’ 수수께끼동물은 먹을 만큼만 사냥? 퓨마의 ‘과잉살해’ 수수께끼 | 환경뉴스

    조홍섭 | 2018.08.16

    손쉬운 먹이가 한꺼번에 닥치는 특별한 상황이 초래, 폭풍우 때 잦아피해 과장, 과잉 전파 경향…농부 공포와 분노 불러 포식자 보전 저해살생을 일삼는 사람을 탓할 때 흔히 ‘동물도 제 먹을 것만 죽인다’고 한다. 그러나 상당수 척추동물 포식자는 종종 배를 채우는 것을 넘어 많은 수의 먹이 동...

  • 어린 고래상어는 장거리여행을 싫어해?어린 고래상어는 장거리여행을 싫어해? | 환경뉴스

    조홍섭 | 2018.08.13

    해마다 1만㎞ 이동하지만, 어린 개체는 이동 않고 먹이터 모여1980년대 이후 개체수 절반 감소…집결지마다 보호조처 시급 고래상어는 다 자라면 길이 20m 무게 40t까지 자라는 세계에서 가장 큰 물고기다. 따뜻한 대양 표면을 유유히 헤엄치면서 덩치에 걸맞지 않게 주로 작은 플랑크톤을 커다란 입...

  • 출산휴가·정년보장 ‘벌목 노동자’ 코끼리는 행복할까출산휴가·정년보장 ‘벌목 노동자’ 코끼리는 행복할까 | 환경뉴스

    조홍섭 | 2018.08.10

    미얀마 국영 벌목장 5천마리 ‘노동’…절반은 야생 포획수명 3~7년 짧아…포획 부상·트라우마·가족단절 원인멸종위기에 놓인 아시아코끼리의 최대 서식지는 인도이고 그다음이 미얀마이다. 다른 멸종위기 대형 포유류처럼 아시아코끼리의 3분의 1은 동물원 등 인위 시설에서 살아간다. 그러나 특이하게도 사람...

  • 동박새 경기 북부 번식 첫 확인, 기후변화 영향 추정동박새 경기 북부 번식 첫 확인, 기후변화 영향 추정 [2] | 환경뉴스

    윤순영 | 2018.08.10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남부지방 권역에만 흔한 텃새이제는 옛말 중부내륙에서도 번식지난 6월 경기도 포천의 광릉숲에서 동박새 부부를 어렵게 만난 적이 있다(▶관련 기사: ‘살아있는 보석’ 동박새, 광릉숲에 자리 잡았나...

  • 갯끈풀 ‘갯벌 사막화’ 불러, 조개·게·낙지 사라진다갯끈풀 ‘갯벌 사막화’ 불러, 조개·게·낙지 사라진다 | 환경상식 톺아보기

    육근형 | 2018.08.09

    연 50% 성장, 퇴치 어려워 세계적인 골칫거리문제는 시간 싸움, 미국에선 제초제 살포 결단우리의 경제발전이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빠르게 진행되었던 만큼 환경관 또한 급변했다. 여기에는 굵직한 환경 사건이 자리 잡고 있다. 2000년 초반 새만금 간척사업이, 후반에는 4대강 사업이 논란을 불렀다. 갯...

  • 먼바다 섬에는 머리 좋은 새가 산다먼바다 섬에는 머리 좋은 새가 산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8.08.08

    뉴칼레도니아까마귀 등 본토 친척보다 두뇌 훨씬 커변화무쌍한 섬 환경 유연한 적응 위해 큰 두뇌 선택받아이솝우화에 나오는 영리한 까마귀는 목이 긴 물병에 반쯤 담긴 물을 마시기 위해 잔돌을 병 속에 집어넣는다. 그저 꾸며낸 이야기가 아니다. 실제로 뉴칼레도니아까마귀는 수위를 높여 물을 마시는...

  • 불타는 입추, 매미 합창은 곧 물러갈 여름 알려불타는 입추, 매미 합창은 곧 물러갈 여름 알려 |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노트

    이강운 | 2018.08.07

    이강운의 홀로세 곤충기횡성 산골짜기도 41.4도 찍은 더위매미와 무궁화로 여름 절정 넘었다절절 끓는 지구로 절기가 무색하다.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7일은 입추. 그러나 진작부터 시작된 폭염이 한 달 이상 가면서 아직도 후끈 달아오른 대지에 대번에 숨이 막혀오고, 얼마나 햇볕이...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