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어닥치는 어린 죽음, 동물구조센터의 ‘잔인한 봄’ | 야생동물 구조 24시
2018.04.26
|소쩍새, 수리부엉이, 삵, 고라니…여름 전쟁터 앞둔 폭풍 전야충돌, 둥지 파괴, 납치 등 어린 생명의 고통과 죽음 몰려들어꽃샘추위가 지나고 벚나무는 꽃잎을 떨어뜨려 푸릇한 요즘 새들은 저마다 둥지를 짓느라 분주하고, 여름 철새는 하나둘 돌아와 여름이 다가옴을 알린다. 4월은 여름이라는 폭풍의 전...
-
돈 받고 지식 파는 ’청부과학자’를 믿을 것인가 [1]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8.04.20
|불확실성 이유로 유해화학물질 '사전예방' 가로막아잘 모를수록 미리 조심하는 것이 피해 막는 근본 해법로마제국의 멸망이 왕이나 귀족이 납으로 만든 수도관이나 술잔을 사용하면서 납중독으로 미치게 됐기 때문이라는 주장부터 시작해서&...
-
석유화학공단에 지진이 나도 우리는 안전할까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8.04.06
|전국 11만여 화학시설, 사고 예방 못하면 '지뢰'주거지역과 안전거리 확보 등 재구조화 시급산업단지(산단)의 잇따른 폭발사고와 누출사고로 주민이 불안하다(그림 1). 2017년 7월 여수산단 안 롯데케미칼 제1공장의 폴리프로필렌 저장고(사일로)에서 폭발음과 함께 화재가 발생했다. 2017년 5월 30일에는 여수...
-
다이어트할 것은 내 몸이 아니라 생활방식 [1] | 영화로 환경 읽기
2018.03.30
|영화로 환경 읽기 27. <다운사이징>사람 몸을 10분의 1로 줄이면 자원과 에너지를 10배로 쓸 수 있을까인류는 이미 지구 1.5개 필요, 생활 그대로면 지구 100개라도 모자라살 빼는 데 쓰는 돈이면 모든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를 지원할 수 있다?7조 6000억원! 2017년 우리나라 다이어트 시장 규모이...
-
고농도 미세먼지 긴급대책 이렇게는 안 된다 [1]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8.03.26
|화물·덤프차 추가, 소각·직화구이 전면 규제해야‘중국발’과 ‘국내발’ 다른 대책, 수도권 참여 필요봄을 여는 화창한 주말이 미세먼지로 얼룩졌다. 26일 아침엔 수도권에 안개까지 겹쳐 뿌연 시가지에 마스크를 끼고 걷는 사람이 부쩍 늘었다. 스모그가 심한 중국의 대도...
-
미세먼지 걱정된다면 경유가 인상 불가피하다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8.03.22
|경유차 연내 1000만대 돌파…수도권 최대 배출원내 경제적 부담 이유로 다른 사람 건강권 침해 권리 없어■ "걱정스럽다" 69%봄철이 돌아왔다. 온화한 날씨에 새순이 돋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하지만 다시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지나 않을지 걱정스러워 다가오는 봄이 적이 두렵기도 하다. 다른 계절에...
-
몸에 좋고 맛도 좋다? 겨울잠 깬 뱀들의 수난시대 | 야생동물 구조 24시
2018.03.14
|좁은 덫에서 서로 짓눌려 죽고, 독사 섞여 풀기도 힘들어잘못된 보신 문화 여전…인공증식 핑계로 단속도 힘들어가을에서 겨울로,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뱀을 구조해 달라는 신고가 들어오면 센터 직원들은 바짝 긴장합니다. 뱀을 다루는 것이 무서워서가 아니라, 적게는 수십 마리에서 많게는 ...
-
세계 유일 ‘냉전 생태계’ DMZ, 보전과 활용 논의하자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8.03.09
|별천지 자연 생태계 아닌 교란과 파괴 현장이자 피난처생태·문화·역사 가치 높은 곳 찾아 지속가능한 보전해야지난 2월 25일 17일간 세계인의 관심을 모았던 평창 동계올림픽이 막을 내렸다. 오늘부터 18일까지 패럴림픽이 이어진다. ...
-
가상화폐 채굴에 싱가포르 규모 전력 쓴다 [2]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8.02.14
|대규모 채굴업체, 세계 53위 국가 수준의 전기 소비중국선 석탄 화력발전소로 채굴, 미세먼지 등 원인■ 가상화폐를 둘러싼 뜨거운 논란요즘 가상화폐(이하 암호 화폐와 병용)가 세계적으로 화제이다. 특히 우리나라 20~30대가 투자수단...
-
해상풍력, 떠다니는 발전소가 대안이다 [1]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8.02.08
|구조물 물에 띄우고 케이블로 바닥 고정경관 침해와 어업피해 막고 입지 제한 적어2030년이 되면 우리가 쓰는 전기의 20%를 재생에너지가 공급하게 된다. 지난 연말 산업통상자원부가 내놓은 ‘재생에너지 2030 이행계획’의 목표치이다. 계획에서 정부는 2016년 기준으로 7% 수준인 재생에너지의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