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천불의 미소와 천탑의 기원엔 억겁의 내력 녹아 있다천불의 미소와 천탑의 기원엔 억겁의 내력 녹아 있다 [1]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조홍섭 | 2015.12.23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1-2> 무등산권-운주사     와불이 누워있는 까닭은 뭘까     불상들 눈 코 귀는 왜 닳았을까       화산으로 생긴 응회암에 비밀이 있다       폭발적 분출과 조용한 분출이     오랜 시간 동안 섞바뀌면서 &n...

  • “백령도 점박이 물범을 구하라” [1] | 환경뉴스

    물바람숲 | 2015.12.22

    정부가 백령도에 사는 점박이물범을 지키기 위한 활동에 나섰다.21일 해양수산부는 한국과 랴오둥만(보하이만), 산둥반도를 오가는 점박이물범을 보호하기 위해 ‘종합관리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을 보면, 앞으로 정부는 △점박이물범 숫자 변화 감시와 감소 원인 밝힘 △인공 사육, 증식 기술 개발과 서...

  • 길 한복판, 머리 없는 타조길 한복판, 머리 없는 타조 | 환경뉴스

    남종영 | 2015.12.21

    '호주 타조' 에뮤 도로 한가운데서 머리 몸속에 파묻고 주저앉아 동물은 자극에 반응하는 단순 기계 아냐, 공포와 혼란은 우리와 같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있었던 일이다. 우리는 그때 샤크베이에서 돌고래를 만나고 하룻길을 달려 퍼스로 오고 있었다.   지평선을 보고 달리는 도로에 자...

  • 물 불평등 심각, 대도시 공급하느라 지방은 고통물 불평등 심각, 대도시 공급하느라 지방은 고통 [1] | 환경상식 톺아보기

    이수경 | 2015.12.18

    서울 자급률 63%에 단수율 0.2%, 충남 자급률 325%에 단수율 15% 지역 간 물 불평등 심각, 서울 등 대도시 자연재해 대비 자급률 높여야    올해는 작년부터 이어진 가뭄으로 한 해 내내 물 부족에 시달렸다. 강원, 경기부터 시작된 가뭄이 충청 등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지역마다 단수를 하거나 ...

  • 불덩이와 얼음이 8500만년 동안 빚은 ‘어머니 산’불덩이와 얼음이 8500만년 동안 빚은 ‘어머니 산’ [3]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조홍섭 | 2015.12.16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1-1> 무등산권-주상절리대     입석·서석·광석대 등 주상절리    육각 바위기둥이 병풍처럼     대폭발 동반한 대규모 화산활동    장기간 지속된 흔적의 고갱이    최고 7m 폭 바위기둥 11㎢ 이어져  ...

  • “알고 보니 보통 산 아니었지만, 아는 게 거의 없어”“알고 보니 보통 산 아니었지만, 아는 게 거의 없어”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조홍섭 | 2015.12.16

    이창열 전남대 교수가 말하는 무등산      전국의 명산에 수많은 탐방객이 찾지만 기암괴석의 비경을 놓고 “어떻게 이런 모양이 생겼느냐”고 물을 때 답변이 준비된 곳은 거의 없다. 무등산도 마찬가지다. 화산활동으로 주상절리가 산꼭대기에 병풍처럼, 기둥처럼 서 있다고 어렴풋이 알고 있었을 뿐...

  • “공룡시대 실제 보듯 생생…지구비밀 찾는 재미 쏠쏠”“공룡시대 실제 보듯 생생…지구비밀 찾는 재미 쏠쏠” [1]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조홍섭 | 2015.12.16

    현장 동참한 화순고 김영진군  지질공원은 교육장이기도 하다. 유네스코는 지질공원의 보전과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지질 명소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라고 권고한다.   <한겨레>의 지질공원 기획에 한국지구과학교사협의회가 공동기획에 참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무등산권 지질...

  • 철퍼덕 꿀꺽, 지저분하지만 정교한 개 물먹는 비결철퍼덕 꿀꺽, 지저분하지만 정교한 개 물먹는 비결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5.12.15

    혀 뒤로 젖혀 물에 넣은 뒤 빠른 속도로 빼낼 때 생긴 물기둥을 덥썩 물어 개와 고양이는 물기둥 만드는 것 같아, 고양이는 물표면 미는 동작 차이     고양이와 달리 개가 물을 마시는 모습은 어딘가 서투르고 성급해 보인다. 사방에 물을 흩트리며 소리를 요란하게 내는 행동이 효율적인지도 ...

  • 온실가스 감축 5년마다 검증…'저탄소 경제' 전환 서둘러야온실가스 감축 5년마다 검증…'저탄소 경제' 전환 서둘러야 | 환경뉴스

    김정수 | 2015.12.14

    지구온도 '1.5도 상승으로 제한', 금세기말까지 '탄소 중립' 문구 들어가 실천 따르지 않으면 말잔치 불과, 우리나라 "화력발전 증설 재검토해야"     12일(현지시각) 채택된 파리협정은 선진국과 후진국 구분 없이 모든 나라가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기로 한 첫 포괄적 협약이라는 점에서...

  • '화석연료 세계'의 종말은 시작됐나'화석연료 세계'의 종말은 시작됐나 [3] | 조홍섭

    조홍섭 | 2015.12.11

    올해 세계 경제 3.3% 성장 온실가스 0.6% 감소, 탈 동조화 조짐지난해 신규발전 60%가 재생에너지, 세계는 저탄소로 한국은 모르쇠   파리 기후회의 막바지 협상이 한창이던 9일(현지 시각)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회의장에서 연설을 했다. 그는 “지구촌이 고탄소 경제로부터 전환을 이루지 못한다면...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