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수리의 추락엔 이유가 있다 | 환경뉴스
2011.10.13
|독수리는 하늘의 제왕이라 불립니다. 창공에 높이 올라 3미터에 이르는 날개를 활짝 펴고 날갯짓도 없이 기류를 따라 선회하며 천천히 고개를 움직여 먹잇감을 찾는 매서운 눈매를 보면, 독수리를 하늘의 제왕이라 부르는 것에 토를 달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하...
-
'삘기꽃' 한반도 | 사진
2011.10.12
|심민택 작품,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생물들' 사진 공모전 대상 수상 ▲대상작인 '한반도 지형의 삘기꽃'(심민택). 사진=환경부 갈대와 비슷한 여러해살이 풀인 띠의 어린 꽃이삭을 가리키는 삘기꽃이 한반도 모양으로 핀 모습을 포착한 '한반도 지형의 삘기꽃'이 제 5...
-
연인 위해 목숨 바치는 동물, 귀뚜라미 수컷 [4] | 환경뉴스
2011.10.12
|천적 오면 암컷 먼저 대피시키느라 사망률 4배, '기사도 곤충' 영국 연구진, 대규모 현장연구 결과 '암컷 괴롭힌다' 기존이론 뒤집어 ▲연구 대상이 스페인 초원의 귀뚜라미. 이 귀뚜라미는 여러 개의 굴이 연결된 서식지에 산다. 사진=엑시터 대 실험실에서 귀뚜라미의 생식...
-
울릉도서 용오름 현상 관측 [1] | 동영상
2011.10.11
|오전 9시50분부터 11분간, 바다 표면 끓어오르는 격렬한 회오리 기둥 1980년 이후 여섯번째, 대기 불안정 때 발생 ▲자료 제공=환경부 급격한 대기 불안정이 일으키는 기둥모양의 회오리 바람인 용오름이 울릉도에서 관측됐다. 기상청은 11일 오전 9시50분부터 ...
-
땅위에서 팔딱이는 물고기가 진화 역사 새로 쓴다 | 환경뉴스
2011.10.11
|킬리피시 등 잘 조절된 '꼬리 튕기기' 동작 구사 드러나 다리 진화 이전에도 물고기 육상 진출 가능했다 물고기 가운데는 짱뚱어나 말뚝망둥어처럼 물과 뭍을 자유자재로 오가는 것들이 있다. 갯벌처럼 특별한 환경에 적응해 진화한 종들이다. 그런데 완전히 물속...
-
섬진강 위에서 어울린 해금과 첼로의 선율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1.10.11
|세상엔 알 수 없는 일들이 참 많다. 하늘에 별이 몇 개인지, 바닷가 모래가 몇 알인지를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세상엔 정확히 몰라도 그냥 느낄 수 있는 일들도 많다. 엄마 품에 안긴 아이, 가난하지만 나눌 줄 아는 이웃의 마음은 ...
-
깊은 산 속 옹달샘, 새가 와서 먹지요 | 김성호의 자연 곁에서 거닐다
2011.10.10
|몇 해 전, 1,200여 편의 동시를 영원한 선물로 남겨주시고 세상을 떠나신 분이 계십니다. 아동문학가 윤석중 선생님이십니다. 남기신 동시의 숫자도 상상을 훌쩍 뛰어넘지만 동시 중 동요의 노랫말이 된 것 또한 무려 800여 편이나 됩니다. 그러니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동요가 ...
-
외래종 ‘괴물 메기’의 예상 못한 위협, 배설물 [6] | 환경뉴스
2011.10.07
|프랑스 론강, 사람 크기 거대 메기 수십 마리가 강물 속에 모여 빙빙 돌아 배설물 속 다량의 질소와 인 부영양화 등 생태계 예기치 않은 영향 우려 ▲길이 234㎝ 무게 98㎏의 웰스 메기. 이탈리아 포강에서 2007년에 잡힌 개체이다. 사진=왈러 칼레 유럽의 큰 강에는 오...
-
홍도평 터줏대감 재두루미, 흰목이네 부부의 힘겨운 겨울나기 | 환경뉴스
2011.10.07
|변함없는 약속을 지키는 흰목이네 부부 김포시, 고양시, 파주시 한강하구 주변의 농경지가 매립되면서 재두루미 서식지의 급격한 환경변화로 김포에서의 마지막 월동이 될지도 모르는 재두루미가 경인아라뱃길과 각종 공사와 위험한 환경 속에 홍도평야 지역에 날아들었다. ▲무르...
-
그 많던 4대강 철새는 어디 갔을까 [1] | 환경뉴스
2011.10.06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홍희덕 의원(민주노동당)이 ‘2011년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보고서(초안)을 공개했다. 이 보고서는 매우 놀랍고 흥미롭다. 앞으로 한반도 철새가 어떻게 될지 가능성을 담고 있는 문건이기 때문이다. 조류 동시 센서스는 한반도 전역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