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꿀벌, 무법자 장수말벌 공처럼 말아 ‘열폭탄’ [39] | 동영상
2011.10.05
|공처럼 장수말벌 둘러싼 뒤 날개 근육 떨면 내부 온도 50도로 상승 열과 함께 탄산가스로 질식 효과도 드러나 ▲침입한 장수말벌을 공처럼 둘러싸 체온 공격을 감행하는 꿀벌 무리. 일본 요코하마 시내에서 2005년 촬영한 것이다. 사진=다카하시, 위키미디어 코몬스 몸...
-
계룡산의 '웰컴투 동막골' 상신마을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1.10.05
|* 이 글은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계간지 '초록숨소리' 2011년 가을호에 실린 글입니다. 국립공원 보전운동을 하는 나는 전국 곳곳에 산재한 국립공원을 다녀야 한다. 좋겠다는 사람도 있고, 힘들겠다는 사람도 있다. 둘 다 맞다. 좋고도 힘들다. 내가 사는 지리산국립공원이 ...
-
공기에서 물 짜내는, 사막 개구리의 생존법 | 환경뉴스
2011.10.04
|호주 북부 사막에 사는 나무개구리, 공기 속 습기로 건기 보내 변온동물이 추운데 돌아다니는 수수께끼 밝혀져 ▲오스트레일리아 나무 개구리. 코 위에 빛나는 물체가 수증기가 응결한 물방울이다. 사진=크리스 트레이시 불경기에 악착같이 절약하는 것을 흔히 '마른 수건 짜기...
-
물웅덩이에 외계인? [4] | 사진
2011.10.04
|부성애가 매우 강해 몸길이는 48~65mm이며 우리나라 노린재 무리 중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몸은 갈색이며, 앞다리리가 낫 모양으로 매우 튼튼하게 발달되어 있고 날카로운 발톱이 있다. 가운데 다리와 뒷다리는 헤엄다리로 넓쩍다리 마디와 종아리마디. 발목마디 까지...
-
멧새도 “아빠는 괴로워” | 환경뉴스
2011.10.03
|월동지에서 번식지로 이동 암컷보다 1주일 일러, 추위 무릅쓰고 목숨 건 경쟁철새연구센터 3년간 홍도 흑산도에서 조사, 국제학술지 <이비스>에 논문 실려 ▲노랑눈썹멧새(왼쪽이 수컷) 월동지에서 겨울을 보낸 철새들은 부지런히 체중을 불리면서도 초조하게 먼 길 떠날 기회를 노린다. ...
-
초보 버섯 연구자의 분투기 [1] | 김성호의 자연 곁에서 거닐다
2011.09.29
|2001년 어느 봄날, 생태학을 전공한 동료가 새로운 제안을 하나 하였습니다. 생태계조사가 있는데 버섯에 대한 조사를 할 마땅한 사람이 없으니 이 기회에 버섯의 세계에 한 번 들어서 보는 것이 어떠하겠냐는 제안이었습니다. 전체 8분야 중 이미 7분야에 대해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
-
'가시방석'에 앉은 참개구리 | 김성호의 자연 곁에서 거닐다
2011.09.27
|온 몸이 온통 가시로 뒤덮여 있는 동그란 모양의 가시연꽃을 볼 때마다 어김없이 떠오르는 것은 가시방석입니다. 앉아있기가 불편한 자리의 가시도 돋지 않은 가시방석이 아니라 위에 제대로 앉으면 정말 죽겠다 싶은 진짜 가시방석입니다. 그래서 나에게 아무리 큰 잘못을 한 사람이 ...
-
우리나라 대도시 미세먼지 세계 900등에도 못 미쳐 [6] | 환경뉴스
2011.09.27
|세계보건기구(WHO), 91개 국 1100개 도시 비교 발표 몽골, 파키스탄, 중국 등 개도국 대도시 심각, 연간 134만 명 조기 사망 ▶초록색이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 이하의 먼지 오염도이고 붉은색으로 갈수록 오염이 심한 상태를 가리킨다. 서울, 부산, 인천, 광주, 울산 등 우...
-
자식 사랑 지극정성 신종 식물 발견 | 환경뉴스
2011.09.27
|브라질 열대림서 아마추어 식물학자가 발견 척박한 환경서 자식 살아남도록 어미가 씨앗 심어주기도 ▶열매가 맺힌 가지를 땅으로 굽히는 신종 식물. 사진=알렉스 포포브킨 땅을 향해 머리를 조아리는 새로운 식물이 발견됐다. 생물다양성이 높기로 유명한 브라질의 대서양...
-
다람쥐 4형제의 마지막 호시절 | 사진
2011.09.26
|곧 독립해 헤어질 다람쥐 4형제의 마지막 놀이 도토리 흉년이어서 올 겨울 나기 힘들듯 치악산 상원사 주변 이깔나무 고목 구멍에 둥지를 튼 다람쥐 4형제가 카메라에 잡혔다. 올해 태어난 이들은 곧 어미 품을 떠나 독립할 것으로 보인다고 사진을 촬영한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