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수중보' 논쟁, 나경원 의원 헛발질이 고맙다 [1] | 환경뉴스
2011.09.26
|서울시장으로 유력한 한나라당 나경원 의원과 박원순 변호사가 때아닌 '한강수중보' 논쟁을 하고 있다. 언론에 전해진 바에 따르면, 나경원 의원은 "보를 없앨 경우 옹벽들도 다 철거해야 하는데, 서울시민의 식수문제 뿐 아니라 또다른 대규모 토목공사를 수반하자는 이야기"라며 "한강을 ...
-
낯익은 자연, 텃밭 풍경 | 사진
2011.09.26
|소박한 정성이 깃든 작은 자연 텃밭 ▲울타리 안에 장독대와 텃밭이 보인다. 시골에 텃밭은 집 울타리 안에 있거나 집 가까이 있어 언제든지 가까운 거리에서 간단한 농작물 등을 기를 수 있습니다. ▲텃밭에 걸려있는 빨래 ▲배추...
-
딱정벌레 애벌레, 두꺼비 잡아먹어 ‘먹이의 반란’ [91] | 환경뉴스
2011.09.23
|더듬이와 집게 흔들어 양서류 유인한 뒤 산 채로 잡아먹어 이스라엘 과학자 논문, 먹이-포식자 역할 역전 밝혀 ▶애벌레를 잡아먹으려다 외려 혀를 물린 두꺼비. 결국 이 벌레에게 잡아먹혔다. 출처= 논문. 두꺼비나 개구리 같은 양서류는 벌레가 접근하면 ...
-
4대강 반대론자 침묵? 조선·중앙이 되레 침묵한 것들 [4] | 환경뉴스
2011.09.23
|중앙일보 손해용 경제부문 기자가 중앙일보 취재일기에 ' "틀렸다" 인정 않는 4대 강 반대론자들' 이란 제목의 글을 썼다. ["21일 직접 둘러본 한강 이포보는 기대 이상이었다. 4대 강 16개 보 가운데 유일하게 곡선형으로 디자인된 이포보는 백로를 형상화한 조형물과 ...
-
내장산에 꽃무릇 만개 | 사진
2011.09.22
|상사화처럼 꽃과 잎이 만나지 못하는 꽃 ▶백양사 들머리인 일광정~쌍계루 구간의 물가에 핀 꽃무릇. ▶천진암 구간에 핀 꽃무릇. 내장산국립공원 백양사 입구에 꽃무릇(석산)이 활짝 피었다. 꽃무릇은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 길이가 30-50cm이며 꽃이 떨어진 다음에 짙은...
-
심해 오징어의 이유 있는 ‘무차별 섹스’ 밝혀져 [3] | 환경뉴스
2011.09.22
|캄캄한 심해서 홀로 생활, 암수 가리려다 짝짓기 아예 못해 ‘빨리 살고 일찍 죽는’ 연체동물의 생존전략, 영국 왕립협회 학술지 논문 ▶미국 캘리포니아 몬테레이 캐년에 서식하는 심해 오징어. 출처=몬테레이 베이 수족관 연구소. 차고 캄캄한 깊은 바닷속 생물에 ...
-
멧돼지의 농가·도심 습격은 도토리의 저주 [5] | 김성호의 자연 곁에서 거닐다
2011.09.22
|세상 모든 일이 그러하듯이 우리의 땅에서 야생의 포유류를 만나고 그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는 것 역시 만만한 일은 아닙니다. 낮에는 어딘 가에 꼭꼭 숨어있다 주로 어두움을 틈타 움직이는데다 워낙 조심성이 많은 것도 그렇거니와 보고, 듣고, 냄새를 맡는 감각마저 ...
-
300년간 모래바람 막아준 국내 최대 해안솔밭 [1] | 한국의 숲
2011.09.21
|⑩ 관매도 해송림 300년간 모래바람 막아준 국내 최대 곰솔밭 ▶관매도 해송림 전경. 겨울 북서풍과 모래바람을 막기 위해 1600년대 조성한 방풍, 방사림이다. “폭풍을 피해 관매도에 배를 대고 솔숲에 들어갔더니 촛불이 꺼지지도 않더랍니다.” 부친이 어업을 하는 강양호 진도군청...
-
한강 하구에 첫 겨울철새 큰기러기 도착 | 환경뉴스
2011.09.20
|겨울철 새의 월동을 알리는 전령사 큰기러기 한강 하구에 약 1500여 마리의 큰기러기가 9월16일 관찰 되었다. ▲한강하구에 도착한 큰기러기 지난해 보다 20일 빠르게 찾아 왔다. ▲먼거리를 이동해 쉬고있는 큰기러기 &nbs...
-
수천㎞ 논스톱 비행 철새, 근육 태워 목 축인다 [3] | 환경뉴스
2011.09.19
|지방으론 비행 에너지 얻고, 단백질 분해해 수분 얻어캐나다 과학자 풍동 실험으로 밝혀, 논문 실려 ▶풍동에서 장거리 비행 실험 중인 북미산 개똥지빠귀. 출처= 수천㎞ 떨어진 대륙을 건너뛰고, 그것도 한 번도 내려앉지 않고 나는 철새들의 비행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