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익은 자연, 텃밭 풍경

윤순영 2011. 09. 26
조회수 23740 추천수 0

이웃과 나, 자연을 아우르는 넉넉함이 있는 곳

호박과 수세미, 맨드라미와 과꽃이 피는 고향의 정겨움

 

 _7202.jpg 

▲울타리 안에 장독대와  텃밭이 보인다.

 

시골 텃밭은 집 울타리 안이나 집 가까이 있어 언제든지 간단한 농작물 등을 기를 수 있습니다. 

   
7436.jpg

▲텃밭에 걸려있는 빨래.

 

_7196.jpg

▲배추,호박,오이, 고추 등 다양한 농작물들이 자라고 있다.

 

사람 손을 타는 식물은 사람의 발자국 소리를 듣고 자란다고 하였습니다.

 

 _7275.jpg  

 ▲반찬거리로 깻잎을 따는 아주머니 가방이 풍요롭다.

 

 7291.jpg

 ▲"물이 다 떨어졌네…." 물통을 점검하고 있는 할머니.

 

 7404.jpg

▲열무를 다듬고 있다.


가까이 두면 보살피기 쉽고 언제든지 신선한 먹거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_6965.jpg 

▲잡초를 말끔히 뽑아 정성껏 관리한 텃밭의 모습.

 

틈새의 시간과 여유의 공간이 있는 곳입니다.

 

7252.jpg

잘 정돈 된 텃밭. 손길이 자주 가고 있음을 느끼게 한다.


어릴 적 시골 동네의 풍경은 이랬습니다. 집 뒤에는 산소가 자리 잡은 산이 있고, 집 앞마당엔 작은 꽃밭이 있는데 울타리 넘으면 텃밭과 논이 있고, 그 앞엔 개울물이 흐르지요. 저 멀리 황소가 풀을 뜯는 모습과 미루나무가 서있는 정겨운 모습이 펼쳐졌던 기억이 납니다.

 

6493.jpg 

▲이웃이 소통하는 텃밭.

 

 6487.jpg

▲저마다 바쁜 일이 있지만 곧 함께 모여 이야기를 나눕니다.

 

_7131.jpg

▲담장 밖으로 뻗어나온 수세미 넝쿨이 정겹다.


여유로움과 넉넉한 마음이 일구어 놓은 텃밭은 자연과 이웃이 소통을 하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_7326.jpg

 ▲저무는 여름을 아쉬워하는 붕숭아꽂. 올해는 누구의 손톱을 물들였을까.

 

_7189.jpg

▲여름을 훌쩍 넘겨 피어있는 백일홍과 이제부터 제 철인 과꽃. "누나는 과~꽃을 좋~아했지요"란 노래가 생각난다.

 

텃밭에 맨드라미, 분꽃, 백일홍, 봉숭아, 답싸리꽃등을 심어 피곤함을 달래는 소박한 감각이 멋스럽습니다.



 _277.jpg 

장갑이 고추 지지대에 걸려 있다.

 

_7261.jpg

▲한가로운 밀집모자

 

지금도 시골이 아니더라도 옥상, 베란다 등 손바닥 만한 땅이 있으면 텃밭으로 일군 곳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7256.jpg

▲농작물을 가꾸는데 쓰는 기구들.

 

_7258.jpg

▲모종삽과 어린 배추

 

_7259.jpg

▲호미, 삽, 지지대



7324.jpg

▲물을 주면서 싱싱하게 자란 배추를 보며 흐믓한 표정을 짓고 있다.



아마도 우리 마음 속 깊숙한 곳엔 어릴 적 친구이기도 했던 텃밭이 자리 잡고 있는 것 같습니다.

 

7410.jpg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정성을 다해 배추벌레를 잡고 있다.

7289.jpg 



텃밭엔 나눔과 여유, 이웃과 나 그리고 자연을 아우르는 자그마한 심성이 자리 잡고 있는 것 같습니다.

 

7296.jpg

▲텃밭에서 다듬은 고구마 줄기.

 

7280.jpg 
▲풀 숲에 숨어 늙어버린 호박.

 

윤순영/ 한겨레 물바람숲 필진,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