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 강정천 은어의 마지막 여름 | 동영상
| 2011.09.19
평화의 노래 따라 퍼득이는 은어의 은빛 도약, 내년에도 볼 수 있을까 생태계 보고도 지키지 못하면서 무슨 안보를 말하나 지난 9월 3일 해군기지로 갈등을 빚고 있는 제주 강정마을에선 해군기지 반대와 평화적 해결을 촉구하는 시민들의 자발적 행사인 ‘놀자 놀자 강정 놀자’...
-
국립공원, 라푸마에 점령 당했다 [17] | 취재수첩
2011.09.15
|국립공원을 방문하는 방문객수가 연간 4,200만명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 웬만한 국민들이라면 일년에 한번쯤 국립공원을 가보지 않은 분들이 없는 지경이다. 그런데 국립공원을 가다보면 대피소나 탐방안내소에 언젠가부터 아웃도어 업체인 라푸마 광고가 곳곳에 붙어 있는 것을 쉽고...
-
캄캄한 동굴 속 눈 잃은 물고기의 하루는 47시간 [1] | 환경뉴스
2011.09.15
|소말리아 사막 지하에서 200만년 고립된 물고기에서 확인느려진 생체 시계, 수백만 년 뒤엔 시간관념 완전히 사라질지도 ▶소말리아 지하 동굴에 200만년 동안 고립돼 시각을 완전히 잃은 물고기. 출처=빛 한 줄기 없는 캄캄한 동굴 속에서 시간이 가는...
-
바닷가의 작은 우주, 조수 웅덩이를 아시나요 | 동영상
2011.09.14
|수많은 생명 어우러진 제주 성산포 광치기 해안 조수웅덩이용암에 형성된 다양한 형태, 이국적 풍광과 어울어진 게와 고둥 모습 일품 밀물과 썰물이 들고 나는 곳을 조간대라 하는데, 물이 빠진 조간대의 움푹한 곳에 물이 고인 것을 조수...
-
제주 해군기지 갈등, 관광민항부터 지어야 풀린다 | 신창현의 분쟁닷컴
2011.09.14
|제주 해군기지 갈등은 2002년 화순항에서 시작됐다. 화순주민들은 왜 해군기지를 반대했나? 지역발전 때문이다. 국방부는 하와이, 괌 등의 미 해군기지를 예로 들며 관광객이 더 많이 찾아올 것이라고 홍보했다. 남원 주민들은 왜 반대했나? 평화의 섬 이미지 때문이다. 국방부는 제주 ...
-
'좀비' 유전자 밝혀졌다 [7] | 환경뉴스
2011.09.09
|집시나방 애벌레 나무꼭대기로 이끌어 '바이러스 폭탄' 뿌리게 해미국 연구자 <사이언스>에 논문, 도킨스 주장한 '확장된 표현형' 첫 실험 증거 제시 ▶집시나방 애벌레. 산림해충으로 유명하다. 출처=위키미디어 커먼스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곰팡이 가운데는 숙주를 '좀비'로 만들어 더 많은 기생생물...
-
지중해에서 온 불청객 갑각류 처음 발견 | 사진
2011.09.08
|화물선 밸러스트 워터 통해 동해안 유입 추정국립생물자원관, 지난해 미기록 무척추동물 113종 발견 지중해에만 사는 것으로 알려진 갑각류가 동해에서 발견됐다. 동해뿐 아니라 태평양에서 이 생물이 목격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크기 2밀리미터의 조그만 생물이 그토록 먼 거리를 헤엄쳤을 리는 없다. 이...
-
수탉 강압 물리치는 암탉의 섹스 전략, 정자 배출 [1] | 환경뉴스
2011.09.08
|정자 배출로 생식 통제 드러나, 영국 진화생물학자 연구 논문 서열 높은 수컷의 수정 가능성 높이도록 교묘하게 조절 ▶몸집이 큰 수탉은 암컷과 강압적으로 짝짓기를 하곤 하지만 암컷에겐 대응책이 있다. 출처= 닭은 문란하다. 암탉이든 수탉이...
-
죽은 왕들이 노니는 600년 참나무 숲 [1] | 한국의 숲
2011.09.07
|수령 300~400년 거목 즐비, 속세와 신의 세계 차단 일제 때 도로 뚫으면서 종묘 주산 응봉 주맥 잘라 ▶빽빽한 갈참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속세로부터 차단된 종묘 정전. 외대문을 넘어 종묘로 한 걸음 내딛으면 종로3가의 번잡함이 한 순간에 사라진다. 마치 깊은 산속에 ...
-
가을 숲길에서 '버림의 미학'을 배운다 | 김성호의 자연 곁에서 거닐다
2011.09.06
|잠자리의 날개가 윤기를 잃은 지 오래입니다. 이제는 고단한 날개를 접고 군데군데 깊게 찢겨나간 갈대 끄트머리에 앉아 한참을 그대로 있는 것을 보니 가을은 가을인가 봅니다. 가을이어도 먼 산을 가까이 데려와줄 만큼의 깨끗한 하늘을 만나는 것이 쉽지 않은데 지난 밤 비바람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