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살모사, 죽음의 지네 식사…내장 파먹혀 두 동강살모사, 죽음의 지네 식사…내장 파먹혀 두 동강 [3] | 사진

    조홍섭 | 2014.04.18

    어린 살모사가 제몸 크기 지네 먹은 뒤 지네의 역습 받은 듯 뱀 껍질만 남고 내장은 지네에게 먹혀…뱀은 위험한 먹이 안가려       한 무리의 뱀 연구자들이 지난해 5월 마케도니아의 골렘 그라드 섬에서 뱀에게 무선추적장치를 다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 한 연구자가 돌을 들치자 전혀 예...

  • 바닷속 보이지 않는 플라스틱 알갱이의 위협바닷속 보이지 않는 플라스틱 알갱이의 위협 | 환경뉴스

    김정수 | 2014.04.16

    수십년 섞여든 플라스틱 미세 입자 수산물 내장서 잇따라 검출 한국 해역 오염 세계 최고 수준, 먹이그물 거쳐 인체 도달 가능성도     바닷물은 지구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유기물과 무기물의 ‘칵테일’이다. 해저 지각에서 녹아 나온 물질, 육지에서 바람에 날리거나 강물을 타고 흘러든 온갖 물질...

  • 바다의 풍운아 속도광 삼치, 치명적 질주본능바다의 풍운아 속도광 삼치, 치명적 질주본능 | 생생 수산물 이야기

    황선도 | 2014.04.15

    생생 수산물 이야기 ② 삼치와 방어 전속력 질주 끌낚시 멸치로 알고 물어 살살 녹는 삼치회, 씹지 않고 혀로 즐긴다      ■ 생생 수산물 이야기 ① 털게   ■ 상위 오르자마자 '젓가락 전쟁'  늦은 밤, 인천 삼치 골목 풍경. 타닥타닥 삼치 굽는 냄새가 사람들을 유혹한다. 연탄불 위에...

  • 일제의 조선 호랑이 사냥 이벤트, 시식회까지 한 달 기록일제의 조선 호랑이 사냥 이벤트, 시식회까지 한 달 기록 [9] | 조홍섭의 책꽂이

    조홍섭 | 2014.04.11

    조선 호랑이 포수 총동원 150명이 전국 뒤져, 호랑이와 표범 2마리, 승냥이 사냥 경성과 도쿄에서 요인 불러 호랑이 고기 시식회 열어…제국주의 이데올로기 확산 기여    일본 남아의 담력을 보여 주자루스벨트 그 무엇이랴호랑이여 오라호랑이 덤벼라 표범 덤벼라 늑대도 곰도 덤벼라안 나오면 쏘겠...

  • 나비, 여왕개미 행세…개미집서 봉양받아나비, 여왕개미 행세…개미집서 봉양받아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4.10

    여왕 대접 받으며 굴속에서 먹이 얻어먹거나 개미 새끼 잡아먹어 개미의 주 소통수단은 화학물질이나 최근 소리 중요성 밝혀져       육상 생태계의 지배자는 인간 아니면 개미이다. 사회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은 지구의 개미 무게를 다 더하면 인간무게만 할 것이라고 했을 정도다.  개미...

  • 골프장 진입로가 뭐기에…세계적 희귀식물 쫓겨날 판골프장 진입로가 뭐기에…세계적 희귀식물 쫓겨날 판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4.09

    여주서 미선나무 최북단 자생지 최근 발견, 골프장 건설로 이식 예정 전문가들 "유전다양성 확보 위해 자생지서 보전해야" 한 목소리      코끝을 스치는 향긋한 내음이 없었다면 영락없이 흰색 꽃이 달린 개나리 모습이었다. 도로 양쪽에 늘어진 가지에는 아직 잎이 돋지 않았지만 네 갈래 통꽃...

  • 얼룩말 줄무늬 비밀, 사자보다 흡혈파리얼룩말 줄무늬 비밀, 사자보다 흡혈파리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4.08

    얼룩말 줄무늬 150년 수수께끼 풀렸나, "흡혈파리 회피 가설이 가장 타당" 흡혈파리 하루 사람 헌혈량 만큼 피 빨아…멀리서 줄무늬 잘 못 봐       얼룩말이 줄무늬를 진화시킨 까닭을 둘러싼 논쟁은 150년째 계속되고 있다. 이 수수께끼를 두고 갖가지 가설이 나왔는데, 크게 5가지로 나뉜다...

  • 코끼리 고통 공감, 동료 입속에 코 쏙코끼리 고통 공감, 동료 입속에 코 쏙 | 환경뉴스

    조홍섭 | 2014.04.04

    힘들어 하는 상대와 고통 같이 느끼고 소리와 접촉으로 다독여 타이 코끼리 공원서 1년간 관찰 결과, 위로행동 첫 과학적 증거    힘들어 하는 동료 코끼리를 보면 주변의 코끼리가 다가가 소리와 접촉을 통해 상대를 다독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코끼리가 복잡한 사회적 행동을 하고 가...

  • 세계 사망자 8명 중 1명 대기오염으로 숨져세계 사망자 8명 중 1명 대기오염으로 숨져 | 환경뉴스

    김정수 | 2014.04.02

    2012년에만 700만명 생명 앗아가, 과거 추정치보다 2배 이상 많고미세먼지 빈발 한국도 남 일 아냐, “차량부제·배출원 통제 검토해야”    대기오염에 따른 건강 피해가 실제보다 크게 저평가돼 왔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최근 발표로 실내외 대기오염 문제가 새삼 주목을 받고 있다.   세계보건기...

  • 토종꿀벌 사라진 지리산은 '침묵의 봄'토종꿀벌 사라진 지리산은 '침묵의 봄' [1] |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하정옥 | 2014.04.01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① 자연의 경고, 사라진 꿀벌 지리산 재래꿀벌 95% 사라져, 눈에 안 보이는 장기 영향 우려 꿀벌도 가축처럼 사육하려는 세태가 문제, 근본적으로 AI와 마찬가지   지구에서 15분마다 생물종이 하나씩 영원히 사라질 정도로 생물다양성 감소는 기후변화와 함께 가장...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