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꿀벌 진드기는 피 아닌 ‘간’ 빤다, 50년 만에 잡힌 오류꿀벌 진드기는 피 아닌 ‘간’ 빤다, 50년 만에 잡힌 오류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01.16

    꿀벌응애 표적은 체액 아닌 지방체…방제 방식 바뀔 듯꿀벌을 가장 크게 위협하는 요인은 크기 1㎜ 남짓한 진드기다. 꿀벌응애라 불리는 이 절지동물은 세계적으로 양봉산업에 가장 심각한 피해를 준다. 우리나라에도 꿀벌에 만성적으로 기생하며, 특히 처음 양봉을 시작하는 사람들을 실패로 이끄는 가장 ...

  • 북극토끼는 청소동물, 스라소니와 동족 사체 먹어북극토끼는 청소동물, 스라소니와 동족 사체 먹어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01.15

    먹이 부족한 혹한기 죽은 동물 사체 일상적으로 먹어평소 천적인 스라소니, 동족 토끼, 뇌조 깃털도 메뉴에‘다람쥐는 도토리를 먹고, 토끼는 풀을 먹고…’ 초식동물에 관한 이런 통념이 깨지고 있다. 다람쥐는 애벌레가 많아지는 봄이 오면 이 영양가 풍부한 먹이를 놓치지 않는다. 초식성 소화기관을 ...

  • 외모보다 똑똑한 게 낫다, 암컷 앵무의 ‘변심’외모보다 똑똑한 게 낫다, 암컷 앵무의 ‘변심’ [2]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01.14

    다윈의 ‘성 선택으로 지적 능력 진화’ 가설 직접 실험으로 입증문제풀이 능력 본 뒤 외모로 정한 선택 번복…먹이 찾는 능력과 직결찰스 다윈은 1871년 성 선택이 동물의 지적 능력을 진화시켰다는 가설을 처음으로 제기했다. 암컷이 더 똑똑한 수컷을 선택하고, 그런 수컷이 더 많은 자손을 낳아 번...

  • 새해 첫날, 눈앞에서 벌어진 멸종새해 첫날, 눈앞에서 벌어진 멸종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01.10

    하와이 고유 나무 달팽이 마지막 개체 ‘조지’ 증식장서 숨진 채 발견화한 장식하던 아름답고 풍부하던 종…외래종과 기후변화로 잇단 멸종한 생물 종이 사라지는 것을 목격하기는 쉽지 않다. 모리셔스 섬에서 저녁 요리로 먹기 위해 날지 못하는 도도 한 마리를 붙잡은 선원이나, 한때 수십억 마리가 ...

  • 제 똥 먹는 토끼, 이유 있었다제 똥 먹는 토끼, 이유 있었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01.09

    단단한 똥 말고 무른 똥 섭취…단백질, 비타민 등 영양분과 미생물 풍부못 먹게 하면 성장 억제, 영양실조…소가 되새김질하는 것과 같은 원리토끼에게는 자기 똥을 먹는 독특한 식습관이 있다. 오래전부터 알려진 이런 행동의 이유가 밝혀지고 있다. 토끼는 자기 똥을 먹어 성장과 발달에 꼭 필요한 영...

  • 밀폐 장소 연소는 일산화탄소 중독 시작밀폐 장소 연소는 일산화탄소 중독 시작 [1] | 환경상식 톺아보기

    장영기 | 2019.01.08

    밀폐공간 연소는 자살 행위…두통, 어지럼증 이미 위험 단계일산화탄소는 보이지도 냄새도 없어…소리없이 질식사 유발2018년 12월 우리는 강릉에 여행 갔던 고등학생들이 숙소에서 겪은 안타까운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소식을 들었습니다. 소식을 듣고 2018년 1월 환경상식 톺아보기에서 썼던 “미세먼지 비상...

  • 자궁 속 헤엄치며 먹이 찾는 상어 태아자궁 속 헤엄치며 먹이 찾는 상어 태아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01.07

    어미가 자궁에 낳은 ‘영양란’ 찾아 먹는 행동…수중 초음파로 확인최고 52개 무정란 먹고 자라, 태어나기 전 머리 내밀고 밖 탐색도태평양과 인도양의 얕은 바다에서 주로 문어를 잡아먹고 사는 황갈색수염상어(학명: 네부리우스 페루기네우스)의 독특한 번식행동이 밝혀졌다.일본 오키나와 추라시마 재단과...

  • 축구장 100배, 2500살…세계 최대 ‘괴물버섯’의 놀라운 실체축구장 100배, 2500살…세계 최대 ‘괴물버섯’의 놀라운 실체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01.05

    미국 미시간 주 숲 속 곤봉뽕나무버섯 균사체, 무게 400t 추정복제 거듭해도 돌연변이 극도로 드물어…암 억제 응용 가능성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처’는 1992년 4월 2일 “세계에서 가장 크고 나이 많은 생물이 발견됐다”는 제목의 논문을 실었다. 언론을 통해 크게 화제가 된 그 주인공은 곤봉뽕나무...

  • '공 가져와' 돼지도 한다…우리가 몰랐던 돼지의 인지능력"공 가져와" 돼지도 한다…우리가 몰랐던 돼지의 인지능력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01.03

    행동·심리학 연구로 드러난 능력들밥 주는 사람, 실험실 연구자 구별조이스틱으로 컴퓨터 다루는가 하면먹이 뺏길까봐 강자 속이는 전략도고기와 산업 부산물 연구만 하면서돼지의 지적, 사회적 능력 간과“개, 침팬지, 돌고래와 인지능력 비슷”돼지가 재발견되고 있다. 고기 생산과 의학·산업 연구는 많았지...

  • 물고기는 멍청한가? 물총고기 보면 생각 달라진다물고기는 멍청한가? 물총고기 보면 생각 달라진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8.12.31

    입을 ‘움직이는 노즐’로 물줄기 세기 정밀 조절해 ‘백발백중’가까운 먹이는 점프로 사냥, 바닥 퇴적층에 쏘아 먹이 잡기도개울에서 물고기를 잡으려다 허탕 쳐 본 사람이라면 물과 공기의 굴절률 차이를 안다. 보이는 것과 실제 있는 곳은 많이 다르다. 그러나 물총고기는 물속에서 물줄기를 뿜어 물...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