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박2일’이 몰랐던 것…탐조의 미학은 ‘추적’ 아닌 ‘기다림''1박2일’이 몰랐던 것…탐조의 미학은 ‘추적’ 아닌 ‘기다림' [12]

    윤순영 | 2012.02.07

    방송 뒤 탐조객 몰려 두루미 먹이 못 먹고 잠자리서도 쫓겨 하루 낱알 6000개 먹어야 체온 유지, 한 번 날면 300개 보충해야   며칠 전 전춘기 한국두루미보호협회 철원군 지회장으로부터 연락이 왔다. 지난 연말 KBS 2TV의 '1박2일' 프로그램에서 김종민이 두루미 가족의 사진을 찍는 내용이 ...

  • 폭 15킬로 나이 12만 살 해초가 지중해에 산다폭 15킬로 나이 12만 살 해초가 지중해에 산다

    조홍섭 | 2012.02.04

    복제 통해 개체수 늘리는 지중해 바닥의 해초밭 포시도니아 오세아니카 빙하기 거치며 살아남아, 최근 기후변화와 해양오염으로 감소 일로   ▲15㎞에 이르는 ‘포시도니아 오세아니카’ 해초밭. 사진=산 펠릭스, <플로스 원>.   지중해 바다 밑에는 푸른 초원처럼 해초밭이 폭넓게 펼쳐져 ...

  • 이끼가 지구에 맹추위 불러왔다, 고생대 때이끼가 지구에 맹추위 불러왔다, 고생대 때 [2]

    조홍섭 | 2012.02.03

    최초의 식물인 이끼가 암석 무기물 녹여내 대기중 이산화탄소 격감, 바다엔 부영양화 수백만년 걸린 일, 현재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은 못해    ▲바위 위에 난 이끼. 각종 유기산으로 바위의 무기물을 녹여낸다. 사진=P. 스미스, 위키미디어 커먼스.    최초의 식물이 육지에...

  • 중국이 코끼리를 삼키고 있다중국이 코끼리를 삼키고 있다

    조홍섭 | 2012.02.02

    톰 밀리컨 TRAFFIC 코끼리 밀렵감시 전문가 심층 인터뷰, 지난해 2500마리 분량 압수 현지 주민과 중국인, 조직범죄 단체, 중국·타이의 소비시장 잇는 유통망 확고     2011년은 상아의 국제거래가 금지된 1989년 이래 상아의 압수량이 가장 많았던 해였다. 압수된 상아는 무려 23t, 아프...

  • 한 번 물면 심장마비…세계에서 가장 지독한 쥐한 번 물면 심장마비…세계에서 가장 지독한 쥐 [8]

    조홍섭 | 2012.02.01

    동아프리카 갈기쥐, 포식자 보면 독물 저장 옆구리 공격 유도 원주민 코끼리 사냥에 쓰는 협죽도과 식물에서 독물 구해 털에 발라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등 동아프리카에만 사는 갈기쥐는 쥐 같지가 않다. 몸 길이만 36㎝에 이르고 북슬북슬한 긴 털은 고슴도치 비슷하다.   그러나 야행성에 채...

  • 내가 만든 난로 어때요, '나는 난로다' 공모전 성황내가 만든 난로 어때요, "나는 난로다" 공모전 성황 [1]

    이유진 | 2012.01.31

    담양 장평서 첫 자작 난로 콘테스트…오븐 겸용 난로, 가스통 난로 등 아이디어 백출겨울철 난방문제 풀 '적정기술'로 주목             ▲로켓 매스히터의 원리를 활용했다는 출품작 '구불이'. 원료 거치대만 교환하면 장작, 펠렛, 톱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

  • '돈이 되나 약이 되나, 잔인한 밀렵 왜?'"돈이 되나 약이 되나, 잔인한 밀렵 왜?" [11]

    윤순영 | 2012.01.30

    두루미의 '눈물 없는 눈물'…밀렵과 구조 현장 2박3일의 기록 밀렵 의심 차량 출현, 독극물 중독된 재두루미 모녀 발견, 응급실 사투   ▲독극물에 중독된 재두루미. 그 눈에 어린 것은 공포일까 분노일까.  지난 1월26일 평소처럼 동이 틀 무렵 재두루미의 먹이 터인 경기도 김포 홍도평을 찾았다...

  • ‘4대강’ 크기는 댐인데 설계는 보 ‘모래성’…보강도 땜질만‘4대강’ 크기는 댐인데 설계는 보 ‘모래성’…보강도 땜질만 [8]

    김성만(채색) | 2012.01.27

    암반 위 건설 안해 모래 유실되면 '두 동강' 물 속에 콘크리트 붓거나 자갈망태 넣기만    얼마 전 생명의 강 연구단에서 4대강 사업현장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며 '보가 두 동강 날 수도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은 사실이 아니라며 '고발하...

  • 바다 산성화로 물고기가 ‘미친다’바다 산성화로 물고기가 ‘미친다’ [1]

    조홍섭 | 2012.01.26

    금세기 말 산성도 바닷물에서 뇌와 중추신경계 손상, 포식자에 쉽게 잡혀 바다 산성화 해역마다 달라 당장 피해 우려도, 2011년은 9번째로 더운 해   ▲산성화된 바닷물에서 중추신경계 손상을 보인 흰동가리. 사진=제임스 쿡 대학.    오늘 아침 내가 타고 온 승용차가 내뿜은 이산화탄소가 기...

  • '녹색 정치' 기지개, 국회 입성 싹 틔울까'녹색 정치' 기지개, 국회 입성 싹 틔울까

    남종영 | 2012.01.25

    원전 폐기, 4대강 복원 등 녹색의제로 기성 정치권 도전 녹색당 창당, 3% 득표 비례대표가 목표    ▲녹색당 창당을 이끄는 하승수 변호사(왼쪽부터)와 영화감독 임순례씨, 서형원 과천시의회 의장이  최근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신규 원전을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녹색당 창당준비위원회...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