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안장꼴 거북 등딱지, 뒤집혔다 쉽게 일어나려 진화안장꼴 거북 등딱지, 뒤집혔다 쉽게 일어나려 진화 | 환경뉴스

    조홍섭 | 2017.12.05

    '진화 실험실' 갈라파고스서 최신 진화 연구 성과육지 거북 진화 새 가설, 다윈 핀치 신종 출현거친 용암 지대 사는 안장형 거북 에콰도르에서 1000㎞ 떨어진 적도의 섬 갈라파고스에서는 ‘살아 있는 진화 실험실’이란 별명처럼 찰스 다윈이 방문한 이래 진화와 생태 연구가 계속됐다. 최근 이곳...

  • 바닷속에서 찾은 ‘첨단 반사망원경’…가리비의 비밀바닷속에서 찾은 ‘첨단 반사망원경’…가리비의 비밀 | 환경뉴스

    조홍섭 | 2017.12.01

    좁쌀 크기 눈 안에 수백만개 거울이중 망막으로 선명한 상 확보세계 전역에 분포하는 가리비는 조개 가운데 특별하다. 다른 조개들이 땅속에 묻혀 있거나 바위 등에 들러붙어 거의 움직이지 않는 데 반해 대부분의 가리비는 깡충깡충 뛰어다니는 자유로운 존재다. 불가사리 같은 포식자가 접근하면 물을 ...

  • 경남 거대공룡은 코끼리 발바닥 지녔다경남 거대공룡은 코끼리 발바닥 지녔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7.12.01

    경남 함안서 세계 최대 발바닥 피부 자국 화석 발견벌통 모양 피부조직, 펄에서 미끄러짐 막기 위해 진화경남 함안에서 발바닥 피부의 자국이 선명하게 남아있는 대형 초식공룡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 이 화석은 이제까지 세계에서 발견된 공룡 발자국 내 피부 흔적 가운데 가장 크고 분명한 것으로...

  • 멸종 249년 만에 ‘바다소’의 완벽한 골격이 발견됐다멸종 249년 만에 ‘바다소’의 완벽한 골격이 발견됐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7.11.29

    러시아, 길이 6m 스텔러바다소 골격 발굴1741년 첫 발견…27년 후 남획으로 멸종지난 1만년 동안 지구에 생존했던 포유류 가운데 고래 다음으로 큰 동물은 아마도 스텔러바다소일 것이다. 듀공이나 매너티와 가까운 듀공과의 해양 포유류인 이 동물은 1741년 난파한 베링 해 탐험대에 의해 발견된 뒤 동...

  • ‘남한산성’과 공론화, 우리 미래는 우리가 결정한다‘남한산성’과 공론화, 우리 미래는 우리가 결정한다 [1] | 영화로 환경 읽기

    김희경 | 2017.11.28

    영화로 환경읽기 25. '남한산성'영화가 슬픈 건 인조 굴욕 아닌 멋대로 정한 백성 운명공론화 결론 아쉽지만 엘리트 독점 깨뜨린 것 의미김훈이 쓴 ‘남한산성’을 영화화한 작품이 얼마 전 개봉해 화제를 모았다. 익히 알려진 것처럼 1636년 청나라의 공격으로 발생한 병자호란 당시 임금과 조정이 남...

  • 진귀한 항라머리검독수리의 불안한 만찬진귀한 항라머리검독수리의 불안한 만찬 [1] | 사진

    윤순영 | 2017.11.27

    머리깃 곱고 부드러워 '항라' 이름 붙은 공포의 전천후 사냥꾼큰기러기 사체 뜯어 먹다가 검독수리 오자 미련 없이 떠나항라머리검독수리는 못 근처나 갈대밭,·하천·호수 부근의 활엽수림, 침엽수림이 혼재된 초원에 사는 매우 희귀한 통과 철새이다. 10월 중순께 우리나라를 찾아와 한 달 남짓 머물...

  • 한반도 고유종 다람쥐 프랑스 천덕꾸러기 된 까닭한반도 고유종 다람쥐 프랑스 천덕꾸러기 된 까닭 | 환경뉴스

    조홍섭 | 2017.11.24

    빙하기 고립 독립 종으로 진화, 남한 내에도 3개 집단 분화1980년대까지 수백만 마리 수출, 라임병 숙주로 골치꺼리다람쥐가 바쁜 철이다. 숲 바닥에 떨어진 밤톨이나 도토리, 씨앗 등을 볼주머니에 가득 채운 뒤 땅속 깊숙이 파 만든 저장 창고에 들락거린다. 기온이 떨어지고 눈이 쌓이는 다음 달 중...

  • 끝나지 않는 생리대·달걀 불안…소비자가 무슨 죄끝나지 않는 생리대·달걀 불안…소비자가 무슨 죄 | 환경상식 톺아보기

    이수경 | 2017.11.23

    불편 감수한 소비자 결단, 정부와 생산자는 손놓아‘살충제 계란’ `유해 생리대' ‘조류독감’ 등 미봉책만지난 3월 여성환경연대의 문제 제기로 시작된 생리대 유해성 논란이 해가 저물도록 해결되지 않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처음에는 여성환경연대의 발표를 신뢰할 수 없다고 했다가 여론과...

  • 영하로 떨어진 날씨에도 얼지 않는 계곡엔 물속 곤충영하로 떨어진 날씨에도 얼지 않는 계곡엔 물속 곤충 |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노트

    이강운 | 2017.11.22

    소설 아침 수은주는 영하 12도 ‘한겨울’강도래, 날도래…청정 계곡서 월동한다아침 기온이 벌써 영하 11.8℃. 텔레비전에서는 대관령이 영하 11.3℃를 기록하며 올 늦가을 가장 춥다고 방송하지만, 연구소 아침은 더 춥다. 가을을 보내기 싫어 자꾸 늦가을이라 하지만 겨울에 들어선 입동(立冬)이 지난 지...

  • 움직이는 돌덩이로 변한 너구리에 생명의 숨결을…움직이는 돌덩이로 변한 너구리에 생명의 숨결을… | 야생동물 구조 24시

    김봉균 | 2017.11.20

    너구리 치명적 기생충 개선충 감염사람도 감염되지만 위험하지 않아살아 움직이는 돌덩이가 있다면 누가 믿을까? 메두사의 눈을 마주하거나, 마법사가 나타나 살아있는 존재에게 돌로 변하는 마법을 부렸다는 신화 속에나 나올 이야기일 테니 당연히 믿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직접 보면 충분히 이해할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