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아마존 인턴’의 6주…“뱀, 개구리 덕분에 꿈 같았죠”‘아마존 인턴’의 6주…“뱀, 개구리 덕분에 꿈 같았죠” | 인터뷰

    조홍섭 | 2019.10.29

    ‘아마존 탐사기’ 낸 전종윤씨일손 부족한 연구기관에 지원페루 열대우림서 생태조사 열대동물 이렇게 예쁠 줄이야손바닥 크기 바퀴벌레와얼굴만 한 개구리도 만나 모기 뜯기고 폭우에 인터넷 없지만꿈꾸고 원하던...

  • ‘잠자리 사냥꾼’ 비둘기조롱이가 왔다‘잠자리 사냥꾼’ 비둘기조롱이가 왔다 | 환경뉴스

    윤순영 | 2019.10.28

    한강 하구 들른 나그네새…잠자리·땅강아지 배 채우고 아프리카로비둘기조롱이는 시베리아 남동부, 중국 동북부 그리고 북한의 고산지대에서는 적은 수가 번식한다. 올해도 번식을 마치고 기나긴 이동에 나선 비둘기조롱이를 9월 19일 한강 하구의 논 습지에서 관찰했다. 예년보다 일주일 정도 빠르다. 나그...

  • 8천년 전 신석기 시대 중국서 잉어 양식8천년 전 신석기 시대 중국서 잉어 양식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10.23

    번식기 물가서 포획, 일부 살려 논이나 연못서 길러선사시대에는 손때 묻지 않은 강과 호수에 물고기가 넘쳤을 것 같다. 그러나 신석기 시대 초인 8000년 전 중국에서는 이미 잉어를 양식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나카지마 쓰네오 일본 비와 호 박물관 학예사 등 국제 연구진은 중국 허난 성의 신석기...

  • 마지막 매머드는 외딴섬서 어떻게 멸종했나마지막 매머드는 외딴섬서 어떻게 멸종했나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10.22

    식수 오염에 ‘아이싱’ 이상기상으로 굶어 죽었을 가능성이집트 고대왕조가 피라미드를 한창 건설하던 약 4000년 전, 북극해에 있는 러시아 브란겔 섬(랭글섬)에서는 선사시대 대형 포유류인 털매머드가 마지막 숨을 몰아쉬었다. 가장 최근 빙하기였던 10만∼1만5000년 전 사이 스페인에서 알래스카까지 ...

  • 기후변화 책임, 지금 묻지 않으면 우리 아들딸 떠안아기후변화 책임, 지금 묻지 않으면 우리 아들딸 떠안아 | 환경상식 톺아보기

    이수경 | 2019.10.21

    세대갈등은 계층갈등 감추는 포장…기후변화와 부의 불균형은 한 뿌리9월 23일 유엔총회 ‘기후행동 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은 파리협정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녹색기후기금 공여액을 두 배로 늘리고, 녹색성장을 위한 국제연대 포럼인 ‘피포지’(P4G) 정상회의를 내년에 한국에서...

  • 잠 못 자는 초보 부모, 뒤영벌도 마찬가지잠 못 자는 초보 부모, 뒤영벌도 마찬가지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10.18

    제 새끼 아닌데도 잠 줄여 돌봐…수면 길이 융통성 사례첫 아기를 얻은 부모는 기쁨은 잠깐이고 수시로 깨 보채는 아기를 돌보느라 잠을 제대로 못 자는 고통에 시달린다. 다른 동물도 예외가 아니어서, 쥐 등에서도 육아로 인한 수면 부족이 보고됐다. 나아가 무척추동물인 뒤영벌도 그렇다는 사실이 ...

  • 멧돼지도 도구 사용한다-나무껍질로 '삽질'멧돼지도 도구 사용한다-나무껍질로 '삽질'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10.17

    번식 둥지 만들 때 코 대신 사용…동료와 새끼에 지식 전파도사람만이 도구를 사용한다는 생각은 깨진 지 오래다. 침팬지 등 영장류는 물론 까마귀와 일부 물고기도 도구를 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런 동물 목록에 멧돼지도 오르게 됐다.메레디스 루트-베른슈타인 프랑스 인류박물관 연구원 등 프랑스 ...

  • 인간 음주의 기원은 발효 과일 먹는 원숭이일까인간 음주의 기원은 발효 과일 먹는 원숭이일까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10.16

    거미원숭이 실험 결과, 알코올 선호 맞지만 주요 칼로리 원 못돼과일이 너무 익으면 알코올이 생긴다. 과육의 조직이 무너지면서 효모가 침투해 과일 내부의 탄수화물을 발효시켜 에틸알코올을 만들기 때문이다.과일을 많이 먹는 동물들이 종종 알코올을 섭취하는 이유이다. 영장류, 새, 아프리카코끼리, 쥐...

  • 서·남해 갯벌서 푸른곰팡이 96종 발견서·남해 갯벌서 푸른곰팡이 96종 발견 | 환경뉴스

    조홍섭 | 2019.10.15

    신종 후보 17종 포함…차세대 항생제 개발, 치즈 생산 등에 활용꼭 90년 전 알렉산더 플레밍은 깜빡 잊고 뚜껑을 덮지 않은 배지에 날아든 푸른곰팡이가 세균 성장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곰팡이에서 생산한 페니실린 덕분에 제2차 세계대전 때 수많은 병사가 감염에서 목숨을 건졌다.푸른곰팡...

  • 겨울철새 이동 시작…큰기러기 한강하구 도래겨울철새 이동 시작…큰기러기 한강하구 도래 | 윤순영의 자연의 벗

    윤순영 | 2019.10.11

    해마다 찾는 '약속의 땅', 농경지는 자꾸만 매립돼 간다9월 19일 올해도 어김없이 큰기러기가 한강 하구에 도착했다. 작년보다 5일 정도 이르다. 가을의 전령사 큰기러기가 월동을 위해 먼 길 왔다.이들이 찾을 농경지는 지속적으로 매립돼 갈수록 터전은 줄어들고 있다. 벼 이삭에 푸른 기운이 남...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