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 , 11억명 부자가 부담해라

조홍섭 2009. 07. 27
조회수 75646 추천수 0
개인 상한제 둬 초과분은 인구 15%가 책임지게
빈곤층 배려 방안…연 1t 미만 배출인구는 면제
 
 
Untitled-7 copy.jpg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5달 뒤 열릴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의 핵심 쟁점은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이 지구온난화를 누그러뜨리기 위한 부담을 누가 얼마나 지느냐이다.
 
선진국은 이미 개도국이 선진국만큼 이산화탄소를 방출하고 있는데다 증가속도가 더 빠르다는 점을 들어 중국, 인도 등의 고통분담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반면, 개도국은 지난 100년 동안 화석연료를 태워 먼저 발전을 이룩한 선진국이 개도국의 성장 억제를 요구할 도덕적 권리는 없다고 맞선다.
 
2004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미국이 6기가t(1기가t은 10억t)인데 비해 중국 5기가t, 인도 1.3기가t으로 중국과 인도의 배출량도 만만치 않다.
 
그러나 인구 1인당 배출량으로 따지면 얘기는 달라진다. 미국의 2004년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중국의 5.4배, 인도의 17배였으며, 방글라데시에 비해서는 68.7배 많았다.
 
선진국은 국가별 배출량을, 개도국은 개인별 배출량을 들이밀며 논란을 벌인다.
 
2012년 이후 기후변화체제를 구축하는데 최대의 걸림돌이 될 형평성 논란을 잠재울 대안은 없을까.
 
세계 인구 20%가 전력 65%·종이 84%·차량 87% 소비
 
국가가 아니라 개인에게, 빈자가 아니라 부자에게 부담을 지우자는 방안을 미국과 유럽 연구자들이 내놓아 눈길을 끈다.
 
쇼이발 차크라바티 미국 프린스턴 환경연구소 연구원 등 저자들은 최근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에 실린 논문에서, 10억 명의 부자들이 지구의 온실가스 감축 부담을 안으면 가장 가난한 사람들에게 문명의 혜택을 누리도록 하면서도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논문의 핵심은 기후변화 대책의 원칙인 ‘공통의 차별화된 책임’을 국가가 아닌 개인 차원에서 지도록 하자는 것이다.
 
주 저자인 차크라바티는 “2008년 세계 배출량의 절반은 7억 명의 부자들에 의한 것”이라며 “어느 나라에 살던 이들은 비행기로 여행하고 자동차를 운전하며 냉·난방이 되는 큰 집에 사는 공통의 생활양식을 지닌다”고 말했다.
 
볼프강 작스는 세계 인구를 ‘지구화한 부자’와 ‘지역화한 빈자’로 나누고, 부자 나라의 대다수 시민과 빈국의 엘리트 층이 지구화한 부자를 이룬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은 세계 인구의 20%가량을 차지하면서 전 세계 육류의 45%, 전력의 65%, 종이의 84%, 차량의 87%를 소비한다.
 
상한설정 copy.jpg

연구진은 개인이 넘어서면 안 되는 세계 공통의 연간 이산화탄소 방출량 상한을 설정하자고 제안했다. 개인이 상한보다 많이 내보내는 양을 모두 합치면 국가의 삭감 목표량이 된다.
 
연구진은 2030년까지 화석연료 연소로 인한 세계의 이산화탄소 방출량은 43기가t으로 예상되는데, 이를 30% 줄인 30기가t의 방출량을 달성하는데 개인별 상한제가 어떤 결과를 낳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2030년 개인이 연간 방출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는 10.8t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11억 3천만 명이 상한을 초과해 감축의무 대상에 들어갔다. 전체 인구의 15% 이하만이 의무를 지는 셈이다.
 
빈곤층 제외해도 나머지 사람들의 추가 부담 작아
 
현재 전 세계 평균 방출량은 1인당 5t이며, 유럽은 10t, 미국은 그 두 배를 배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9.3t이다.
 
만일 2030년까지 훨씬 더 많은 배출량 삭감이 필요해, 20기가t을 목표치로 잡는다면 개인별 상한은 4.9t으로 낮아질 것으로 논문은 계산했다.
 
30기가t 목표일 때 부담을 지게 되는 11억 명은 미국, 미국을 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국, 중국을 뺀 나머지 개도국에 약 2억 5천만 명씩 고루 분포하게 된다.
 
이 방안은 상한과 함께 하한을 둬 빈곤계층을 배려한 것이 특징이다.
 
연간 1t 미만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인구는 2030년 세계 인구의 3분의 1인 27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들을 기후변화 대책에 따른 부담에서 면제시키자는 것이다.
 
이들은 “처음으로 전기를 끌어 전등을 켜고 텔레비전을 보며 배터리를 충전하려고 디젤 발전기를 설치하거나, 처음 차를 타보고 현대식 부엌에서 엘피지 가스를 쓰는 사람들”이라고 논문은 밝혔다.
 
빈곤층을 책임에서 면제시켜도 나머지 사람들의 추가부담은 작다고 논문은 주장했다. 30기가t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로 1.5기가t을 더 감축해야 하는데, 고 배출자의 상한은 종전의 10.8t에서 9.6t으로 줄어들 뿐이다.
 
미국 등 선진국 사람들은 이산화탄소를 조금 더 줄여야 하는 반면, 아프리카 등에선 훨씬 여유가 커진다.
 
이 논문에서 분석한 한국 통계를 보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03년 0.5기가t에서 2030년 0.7기가t으로, 인구는 4800만에서 5천만으로 늘어난다. 2030년 상한을 넘어서는 사람은 3천만 명이며 1t 이하의 배출자를 배려할 경우 감축의무를 지는 사람은 3400만 명으로 늘어난다.
 
이 연구는 무역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 의무의 전가나 이산화탄소 배출의 역사적 책임을 고려하지 않는 한계를 지난다고 논문은 밝혔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논문 원문 보러가기= www.pnas.org/cgi/doi/10.1073/pnas.0905232106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태그 : 기후변화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과열 양상 보이는 ‘100만 그루 나무 심기’

    조홍섭 | 2009. 05. 01

    경관·환경조절 기능 무시해 마치 ‘빈 터 메우기’ 같아풍속 기온 습도 등 영향력 대단해 인공적 조절은 문제    요즘 <워낭소리>라는 영화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모양이다. 노인과 소의 평생에 걸친 교감을 그린 영화라 하는데...

  • 어둠과 친구하면 별빛도 사랑하게 돼

    조홍섭 | 2009. 03. 26

    놀이로 깜깜함에 익숙해지기 훈련…에너지 절약에도 도움   내 연구실에 처음으로 들어서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이 한마디 한다. “왜 이렇게 어두워요?”  나는 불편하지 않은데 밖에서 들어오는 사람들은 그렇게 느낀다. 많이 듣다...

  • 화왕산 억새밭 불놀이, 해충만 태웠나화왕산 억새밭 불놀이, 해충만 태웠나

    조홍섭 | 2009. 02. 18

    비에 영양소 품은 흙 씻겨가 강 부영양화 촉진 유기물 탄소·이로운 생물도 해치워 ‘득보다 실’   경남 창녕 화왕산 억새밭 태우기 행사는 무고한 인명을 잃는 참사를 낳았다. 서울 미사리 갈대밭 태우기 행사에도 불안한 요소가 있다...

  • 황사엔 나무 심는 게 최선?황사엔 나무 심는 게 최선?

    조홍섭 | 2009. 02. 04

    중국 정부의 식목사업과 가축차단 정책적은 강우량에 나무 심으면 오히려 하천 유량 줄어초식동물, 미생물 분해 촉진해 초지생태계 지속가능  1960년대 이후 황사 발생에 따른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그림 1). 우리나라의 황사 발생은 중국...

  • 겨울 논에 물 대 생명 공간 늘리자겨울 논에 물 대 생명 공간 늘리자

    조홍섭 | 2009. 01. 23

    새들 찾아와 놀고, 덩달아 관광객도 북적지하수 채워주고 강바닥 적셔 생물 ‘삶터’  논은 인공습지다. 물이 고여 있는 땅이니 당연히 습지다. 벼를 키우기 위해 물을 채워놓은 논에서는 여름 내내 습지가 가진 기능이 발휘되고 있는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