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없는 식물서 신경계 비슷한 방어 시스템 확인

조홍섭 2018. 09. 16
조회수 17644 추천수 0
동물 흔한 신경전달물질 글루타메이트가 칼슘이온 흐름 촉발
초속 1밀리 속도로 신호 전달, 수분 뒤 먼 잎에 방어물질 생산

pl1.jpg » 식물은 중추신경이 없어도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가 칼슘파를 형성해 위험 신호를 먼 곳까지 비교적 빠르게 전달한다. 글루타메이트를 가한 식물에서 칼슘이 형광을 내는 모습. 토요타 외 (2018) ‘사이언스’ 제공.

식물은 다리가 없어 천적이 공격해도 도망칠 수 없다. 그러나 애벌레가 잎을 맛있게 물어뜯으면 곧 그 사실을 식물의 멀리 떨어진 잎에까지 전달하고, 애벌레에 끔찍한 맛을 선사할 화학물질을 재빨리 만들어 낸다. 식물의 이런 방어 시스템은 많이 알려졌다. 최근엔 그 구체적인 메커니즘이 잇따라 밝혀지고 있다.

미국과 일본 연구자들은 이런 방어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방아쇠를 당기는 구실을 하는 것이 세포에 널리 분포하는 칼슘이란 사실을 밝혔다. 또 칼슘 주변에서만 형광을 내도록 돌연변이를 일으킨 식물(애기장대)을 이용해 식물의 방어 시스템이 마치 두뇌가 있는 동물의 신경계처럼 작동하는 모습을 시각적으로 보이는 데 성공했다.

연구자들은 실험실의 애기장대 잎에 애벌레를 올려놓았다. 애벌레는 잎 주변을 돌아다니다 뜯어먹기 시작했다. 마지막 한 입으로 잎자루가 줄기에서 떨어져 나가자 몇 초 뒤 형광이 다른 잎으로 퍼져나갔다.


연구에 참여한 사이먼 길로이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 교수는 “이제까지 식물의 한 부위에 상처를 입으면 다른 부위까지 방어 반응을 촉발하는 신호체계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지만, 무엇이 그 시스템을 작동하는지 몰랐다”라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연구자들은 동물에 많은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가 위협에 놓인 식물에서도 작용해 칼슘의 파문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밝혔다. 

공격을 받았다는 사실을 알리는 칼슘 신호는 꽤 빨랐다. 동물의 신경전달 속도와 견줄 수는 없지만, 그 몇 분의 일에 해당하는 초속 1㎜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상처를 입은 2초 뒤에 신호가 발생해 2분 뒤면 가장 먼 잎에 도달했다. 결국 애벌레의 공격을 받은 식물은 몇 분 뒤면 다른 잎에 포식자를 물리칠 독성물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pl2.jpg » 손상을 당한 식물에서 칼슘파가 전파되는 속도. 왼쪽부터 0초, 20초, 40초, 0초 뒤의 모습이다. 토요타 외 (2018) ‘사이언스’ 제공.

이번 연구는 식물이 흔히 알려져 있듯이 무기력한 존재가 아니라 동적으로 위협에 대처하는 것을 밝힌 지난 수십 년 동안의 연구와 맥을 같이한다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저널 ‘사이언스’ 14일 치에 실렸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Masatsugu Toyota et al, Glutamate triggers long-distance, calcium-based plant defense signaling, Science 14 September 2018, Vol 361 Issue 6407, http://science.sciencemag.org/cgi/doi/10.1126/science.aat7744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