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낡은 해상 인공구조물, “철거보다 놔두는 게 낫다”낡은 해상 인공구조물, “철거보다 놔두는 게 낫다”

    조홍섭 | 2018.08.17

    석유·가스·해상풍력 등 세계 수천곳 해체 예정멸종위기종·수산자원 위한 인공어초 기능 확인1995년 영국 석유회사 셸은 북해에서 해상 석유 플랫폼인 ‘브렌트 스파’가 용도를 다하자 심해에 폐기하기로 결정했고 정부의 승인을 받았다. 그러자 그린피스 등 환경단체가 시설물에 남은 석유의 유해물질 등을...

  • 동물은 먹을 만큼만 사냥? 퓨마의 ‘과잉살해’ 수수께끼동물은 먹을 만큼만 사냥? 퓨마의 ‘과잉살해’ 수수께끼

    조홍섭 | 2018.08.16

    손쉬운 먹이가 한꺼번에 닥치는 특별한 상황이 초래, 폭풍우 때 잦아피해 과장, 과잉 전파 경향…농부 공포와 분노 불러 포식자 보전 저해살생을 일삼는 사람을 탓할 때 흔히 ‘동물도 제 먹을 것만 죽인다’고 한다. 그러나 상당수 척추동물 포식자는 종종 배를 채우는 것을 넘어 많은 수의 먹이 동...

  • 어린 고래상어는 장거리여행을 싫어해?어린 고래상어는 장거리여행을 싫어해?

    조홍섭 | 2018.08.13

    해마다 1만㎞ 이동하지만, 어린 개체는 이동 않고 먹이터 모여1980년대 이후 개체수 절반 감소…집결지마다 보호조처 시급 고래상어는 다 자라면 길이 20m 무게 40t까지 자라는 세계에서 가장 큰 물고기다. 따뜻한 대양 표면을 유유히 헤엄치면서 덩치에 걸맞지 않게 주로 작은 플랑크톤을 커다란 입...

  • 출산휴가·정년보장 ‘벌목 노동자’ 코끼리는 행복할까출산휴가·정년보장 ‘벌목 노동자’ 코끼리는 행복할까

    조홍섭 | 2018.08.10

    미얀마 국영 벌목장 5천마리 ‘노동’…절반은 야생 포획수명 3~7년 짧아…포획 부상·트라우마·가족단절 원인멸종위기에 놓인 아시아코끼리의 최대 서식지는 인도이고 그다음이 미얀마이다. 다른 멸종위기 대형 포유류처럼 아시아코끼리의 3분의 1은 동물원 등 인위 시설에서 살아간다. 그러나 특이하게도 사람...

  • 동박새 경기 북부 번식 첫 확인, 기후변화 영향 추정동박새 경기 북부 번식 첫 확인, 기후변화 영향 추정 [2]

    윤순영 | 2018.08.10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남부지방 권역에만 흔한 텃새이제는 옛말 중부내륙에서도 번식지난 6월 경기도 포천의 광릉숲에서 동박새 부부를 어렵게 만난 적이 있다(▶관련 기사: ‘살아있는 보석’ 동박새, 광릉숲에 자리 잡았나...

  • 먼바다 섬에는 머리 좋은 새가 산다먼바다 섬에는 머리 좋은 새가 산다

    조홍섭 | 2018.08.08

    뉴칼레도니아까마귀 등 본토 친척보다 두뇌 훨씬 커변화무쌍한 섬 환경 유연한 적응 위해 큰 두뇌 선택받아이솝우화에 나오는 영리한 까마귀는 목이 긴 물병에 반쯤 담긴 물을 마시기 위해 잔돌을 병 속에 집어넣는다. 그저 꾸며낸 이야기가 아니다. 실제로 뉴칼레도니아까마귀는 수위를 높여 물을 마시는...

  • 사람과 범고래는 왜 중년에 폐경 하나사람과 범고래는 왜 중년에 폐경 하나

    조홍섭 | 2018.07.30

    침팬지는 죽기 전까지 출산하는데인간과 고래 3종은 폐경 뒤 오래 살아1957년 ‘어머니 가설' 이후 논란 지속진화생물학 60년 못 푼 수수께끼큰돌고래에서 찾은 폐경의 기원“늦둥이는 빨리 죽을 확률 커서수유기간 길고 오래 돌본다늦게 낳느니 기존 새끼 돌보는 게 나아”자연계 최고의 미스터리 가운데...

  • 허리케인 분 뒤, 도마뱀 발바닥이 넓어진 까닭은?허리케인 분 뒤, 도마뱀 발바닥이 넓어진 까닭은? [1]

    조홍섭 | 2018.07.27

    눈앞에서 벌어진 자연선택카리브해서 허리케인 ‘어마’ 상륙 직전과 직후 도마뱀 측정치 비교바람 덜 날려갈 형질 갖춘 도마뱀 더 많이 생존…다윈핀치 사례 유사찰스 다윈이 발견한 진화론에는 ‘자연선택에 의한’이란 수식어가 붙는다. 자연에 잘 적응한 개체가 더 많은 자손을 남기고, 결국 그런 형질...

  • 반려견은 왜 흐느끼는 주인 얼굴 핥아 주나반려견은 왜 흐느끼는 주인 얼굴 핥아 주나

    조홍섭 | 2018.07.25

    공감 넘어 곤경 빠진 주인 돕는 행동 실험으로 밝혀져‘달려라 래시’ 드라마처럼 주인 감정 느끼고 도움 줘‘래시’는 미국에서 1954∼1973년 동안 600회 가까이 이어진 텔레비전 드라마의 주인공 티미의 콜리 품종 개이다.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은 것이, 1970년대와 1990년대에 수시로 ‘래시 구조대’ ...

  • 뻐꾸기는 알 맡길 상대를 어떻게 고를까뻐꾸기는 알 맡길 상대를 어떻게 고를까

    조홍섭 | 2018.07.23

    각인된 어미 새와 낯익은 둥지 어느 쪽을 찾을까 오랜 논란중국서 현장 연구 결과 ‘뻐꾸기는 숙주 어미를 기억한다’ 결론많은 새가 둥지를 틀어 새끼를 기르는데 엄청난 에너지를 소비한다. 이를 회피하면서 자손을 퍼뜨리는 기생이 남의 둥지에 알을 맡겨 기르게 하는 탁란이다. 뻐꾸기는 개개비나 붉...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