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울에 번식 나서는 홍도 괭이갈매기 미스터리 [5] | 환경뉴스
2013.05.24
|1월초 홍도에 들러 둥지 손보고 짝 찾아…번식 여러달 전에 왜 하는지는 의문 고양이 울음소리에 새우깡 좋아하는 익숙한 새는 '수수께끼의 새'이기도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에만 분포하는 괭이갈매기는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바닷새이다. 주로 작은 물고기나 연체동물, 갑각...
-
지난해 발견 1만 8000 신종 중 '톱 10’ [2] | 환경뉴스
2013.05.24
|지구 생물 10종 중 8종은 아직 모른다…생물다양성 인식 확산 위해 6년째 선정 지난해 새로운 학명 얻은 1만 8000종 가운데 재미나고 기상천외한 종 반딧불이처럼 밤에는 빛을 내는 바퀴벌레, 하프처럼 생긴 포식성 해면, 사회 관계망 서비스를 통해 신종으로 밝혀진 나비 등이 2012년 이후 세계에서...
-
사바나 수사자는 '나쁜 남자' 아니다 | 조홍섭
2013.05.23
|세렝게티와 달리 크루거 수사자는 암컷 못지않은 사냥 성공률 보여 암컷은 트인 곳서 협동사냥, 수컷은 덤불 속에서 들소, 임팔라 사냥 밝혀져 사자의 사냥은 구보로 시작된다. 멀리서 먹이 동물을 보고 빠른 속도로 접근한 다음에는 집요하게 목표에 다가서는 ‘스토킹’에 접어든다. 눈을 먹...
-
매머드 절멸 원인은 4개 대륙 바위 녹인 외계 천체 충돌 | 환경뉴스
2013.05.22
|1만 2800년 전 외계 천체 대기권 폭발…급격한 한랭화로 대형 척추동물 멸종, 인류 농경 시작4개 대륙서 바위 녹인 탄소 알갱이 확인, 나노다이아몬드 형성…미 국립학술원회보 논문 250만년 전부터 지구는 처음엔 4만년, 나중엔 10만년을 주기로 빙하기와 간빙기가 교대하는 기후변동을 ...
-
수백만 어린 두꺼비, 위험한 연례 이동 시작했다 [1] | 환경뉴스
2013.05.21
|전국 최대 산란지 대구 망월지서, 200만마리 새끼 두꺼비떼 대이주 시작비오는 날 떼지어 숲으로 숲으로…청주 등지에선 봄철 이상고온으로 자취 감추기도 전국 최대 규모의 두꺼비 산란지로 유명한 대구 수성구 욱수동의 망월지에서 새끼 두꺼비떼가 이동을 시작했다. 망월지에서 태어난 새끼 ...
-
나비 번데기 탈바꿈, 해부 않고도 속 본다 | 사진
2013.05.20
|영국 연구진, 엑스선 시티 촬영으로 번데기 탈바꿈 3차원 영상 얻어 번데기 첫 날부터 기관계 형성 드러나…해부 않고 발달 연구 길 열어 징그럽던 벌레가 어느 날 꼼짝 않고 번데기가 되더니 화려한 나비로 탄생한다. 동물의 탈바꿈(변태) 가운데 가장 극적인 장면이다. 그렇다면 ...
-
유럽에 간 무당벌레가 황소개구리 된 사연은 | 조홍섭
2013.05.17
|아시아 무당벌레의 진딧물 퇴치능력 알려져 100여년 전부터 세계에서 가져가 몸속엔 치명적 원생동물 보유…외국 토종 무당벌레만 위협하는 생물무기 무당벌레는 아이들이 정원에서 처음 접하는 예쁜 곤충이다. 바가지를 뒤집어 놓은 모양의 반짝이는 주황색 등딱지가 고운데다 다양한 무늬와 점이...
-
'1박2일 털게'는 그 털게가 아니었다 | 생생 수산물 이야기
2013.05.15
|생생 수산물 이야기 ① 털게 은지원 홀딱 반한 맛 털게는 왕밤송이게가 맞아 꽃게나 대게는 명함도 못 내밀 최고의 맛, 마리당 2만원 호가 ■ 연재를 시작하며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잡은 수산물은 주로 수협에 위탁판매를 하는데,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에서는 120여 개소의 주요 항구에 수산...
-
80만년만의 최고치 기록 CO₂…안면도 감시센터 가보니 | 환경뉴스
| 2013.05.14
지구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 400ppm 돌파, 태안 센터에선 427ppm 중국·인도 영향으로 높아…반도체 산업 배출 육불화황 급증 주목 지난 2일 미국 하와이의 마우나로아 화산 꼭대기에서 측정한 대기 속 이산화탄소 농도가 사상 최초로 400ppm(ppm은 100만분의 1을 나타냄)을 돌파했다. 사람의 영향을 ...
-
전주물꼬리풀의 아름다운 '귀향' | 사진
2013.05.14
|전주서 발견해 이름 얻었지만 자생지 사라져…멸종위기 습지식물 국립생물자원관이 3천포기 증식해 오송제에 식재키로 올여름 전주 송천동 오송제 습지에서는 낯선 붉은 보랏빛 습지식물을 볼 수 있게 된다. 개발과 훼손으로 자생지가 사라진 전주물꼬리풀이 복원되는 것이다. 이 식물은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