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나무를 죽이는 풀…전국 하천에 '덩굴 대란'나무를 죽이는 풀…전국 하천에 '덩굴 대란' [3]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10.08

    외래식물 가시박 비상…4대강 사업 이후 급격히 확산, 내년 대발생 우려 옥수수밭 등 농작물 피해도 속출, 강변에서 철도와 경작지로 확산    ■ 가시박 병풍 친 내성천 낙동강 지류인 내성천이 크게 휘돌아 흐르는 경북 예천군 용궁면 회룡포는 ‘모래 강’으로 유명하지만 동시에 국내에서 생태계 교...

  • 맹금류 황조롱이, 소박한 메뚜기 밥상맹금류 황조롱이, 소박한 메뚜기 밥상 [1] | 사진

    조홍섭 | 2013.10.08

    추수 끝난 논에서 메뚜기로 포식, 아파트 둥지 트는 융통성 뛰어난 맹금류 희귀 매 새홀리기도 양발에 잠자리 잡고 공중에서 먹는 모습 '찰칵'     날카로운 부리와 발톱을 지니고 육식을 하는 맹금류 가운데서도 매과의 새들은 진정한 킬러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폭이 좁고 긴 날씬한 날개와...

  • 서울 땅 54%가 콘크리트와 시멘트, 물 안 빠져서울 땅 54%가 콘크리트와 시멘트, 물 안 빠져 [2] | 환경뉴스

    김정수 | 2013.10.07

    전국 땅은 7.9%…청계천은 71.5%나, 지자체 가운데는 부천시가 61.7%로 최고 1970년대 비해 2.6배 늘어, 도시침수·열섬화·수질고갈 불러…선진국은 빗물요금제 등 대책       우리 국토의 7.9%가 건물, 콘크리트, 아스팔트, 보도블록 등으로 덮여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는 ‘불투수 지면’인 것으로...

  • 지키고 적 내쫓고, 딱정벌레 지극 모정지키고 적 내쫓고, 딱정벌레 지극 모정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10.04

    중미 열대림 잎벌레, 새끼에 접근하면 뛰어나와 발 구르고 잎 흔들어 위협 아 사회성 행동 새 사례…식물 독 나올쎄라 잎맥 씹고, 양떼처럼 몰고 다니기도      곤충은 대개 알을 많이 낳지만 알에서 깬 유충을 돌보지도 않는다. 뱃속에서 적은 수의 태아를 길러 낳은 뒤 정성껏 기...

  • 4대강 공사로 이사 간 단양쑥부쟁이 어디 갔지?4대강 공사로 이사 간 단양쑥부쟁이 어디 갔지? | 환경뉴스

    김정수 | 2013.10.04

    3년전 여주 자생지 불법훼손돼 제방에 옮겨 심어, 경쟁 취약한데 관리 않고 방치단양쑥부쟁이 대신 쑥대밭으로, 환경운동가 “공사 영향 정밀조사를"     2010년 봄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가 4대강 사업 남한강 공사현장에서 발견된 멸종위기 식물 단양쑥부쟁이를 옮겨 심은 대체 생육지 일부가...

  • 지구 해빙 가속화…2100년 해수면 최대 82㎝ 상승지구 해빙 가속화…2100년 해수면 최대 82㎝ 상승 | 환경뉴스

    김정수 | 2013.10.02

    IPCC 기후변화 평가 5차 보고서 발표, 감축 노력 없으면 2100년 3.7도 상승 가능성 해수면 상승예상폭 6년새 40% 늘어, 온난화 둔화 현상 곧 끝날 듯         대기와 해양의 온난화, 지구 전체 물순환의 변화, 적설 면적과 빙하의 축소, 지구 평균 해수면의 상승, 일부 기후 극한 ...

  • 구조한 새끼 수달 물에 담아 두면 큰탈 나구조한 새끼 수달 물에 담아 두면 큰탈 나 [1] | 야생동물 구조 24시

    김영준 | 2013.10.01

    새끼 수달 털은 방수능력 없어 저체온증 빠질 우려 커 두 마리 중 한 마리는 폐사, 한 마리는 재활 치료 중   지난 8월18일 경북 상주에 위치한 한 동물병원 원장님으로부터 다급한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새끼 수달 2마리를 구조해 데리고 있는데 후속조처를 부탁하는 내용이었죠. 늦기는 했지만...

  • 태평양 한가운데, 문명 쓰레기장태평양 한가운데, 문명 쓰레기장 [6] | 조홍섭의 책꽂이

    조홍섭 | 2013.09.30

    육지서 수천㎞ 떨어진 망망대해에 한반도 두 배 쓰레기 지대 맨눈 안 보이는 작은 플라스틱이 주성분, 먹이사슬 거쳐 생태계 피해       서해나 남해의 외딴섬 한적한 해변에서 우리는 어김없이 절경의 앞자락을 장식하는 쓰레기 더미를 확인한다. 모든 쓰레기는 결국 가장 낮은 곳, 바다로 가게...

  • 호랑나비의 마지막 비행호랑나비의 마지막 비행 [2] | 사진

    윤순영 | 2013.09.27

    초가을 코스모스 위로 호랑나비 마지막 향연 고즈넉한 하늘로 사랑의 비행      추석이 지난 뒤에도 무더위가 지속되자 코스모스도 예년보다 일주일 정도 일찍 만개하였다.     호랑나비는 화사한 봄날 처음 출현했고 여름을 지나 이제 가을 햇살을 맞으며 찬란한 마지막 비행을 하고 ...

  • 무분별한 논 매립, 한강 하구 습지가 위험하다무분별한 논 매립, 한강 하구 습지가 위험하다 [1] | 윤순영의 자연의 벗

    윤순영 | 2013.09.26

    불법 물류창고, 아파트, 도로 짓느라 논 급속히 매립해 습지 생태계 단절 한강하구 습지보호구역 지정하고 손 놔, 후속 관리대책 시급     한강 하구가 습지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 7년이 지났다. 우여곡절 끝에 2006년 4월17일 김포대교에서 강화군 송해면에 이르는 김포시, 고양...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