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과 모래 비빈 콘크리트 같은…세월이 뚫은 구멍 숭숭 [2]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2016.01.06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2-1> 무주·진안권-마이산 국내 드물고 세계적 규모의 역암산 잔돌 자갈 바위가 홍수 휩쓸려 쌓여 땅속 깊은 곳에서 굳어 암석으로 땅 위 노출돼 풍화로 돌 빠져나와 초대형 타포니 이뤄 벌집처럼 역암층 깊이...
-
고치 속 맵시벌 애벌레, 위험 어떻게 알고 튈까 [1] | 환경뉴스
2016.01.05
|알팔파바구미에 기생하는 생물방제 일꾼, 고치속 애벌레 그늘로 이동 고치속 10달 걸려, 천적 피하고 최적 환경 찾아…체중 감소 대가 지급 곤충은 방어나 도피수단이 별로 없는 애벌레일 때가 가장 취약하다. 포식자에게는 영양 많고 부드러운 먹이인 이때 살아남는 방법이 없을까. 주변 상황...
-
한탄강·임진강 적벽, 국가지질공원 됐다 [1] | 환경뉴스
2016.01.05
|7번째…주상절리 등 가치 높아포천시 “지역경제·유산보존 도움”경기도 포천시와 연천군 한탄강·임진강 일대(766.68㎢) 적벽과 협곡, 주상절리가 국내 7번째 국가지질공원이 됐다.포천시는 연천군과 공동으로 추진한 한탄·임진강 국가지질공원이 지난달 18일 국가지질공원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31일 환경부로부터 ...
-
쫓고 쫓기는 발자국들, 육식공룡 적벽대전 치렀나 [1]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2015.12.31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1-3> 화순 적벽 동복호 상류 호수의 끄트머리 엄청난 절벽이 시루떡처럼 층층이 퇴적층 하나하나 벗겨내 보면 지층마다 1800여개 공룡 발자국들이 움푹움푹 7㎞에 걸쳐 노루목, 보산, 창랑, 물염 적벽 최대인 노루목 적벽은 폭 30...
-
2015년 ‘슈퍼 지구’에서 기후회의까지 | 조홍섭
2015.12.31
|올해 가장 큰 관심 대상은 지구와 '또 다른 지구' "신비롭고 위험하지만 생명 지탱하는 유일한 집" 지구 올해는 인류가 우주의 신비를 한층 가깝게 들여다보고 동시에 지구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었던 해였다. 미국항공우주국(나사)은 올 초 1천번째 ‘슈퍼 지구’를 발견했다...
-
쓰레기 배출량 거의 ‘0’…10년째 음식물 종량제봉투 딱 1개 [6] | 인터뷰
2015.12.30
|‘노 임팩트’ 삶 실천하는 김월금씨비닐봉지 안 쓰고 물 재활용하고…지구 폐 안 끼치는 생활 몸에 배껍질째 먹을 수 없는 과일 안 사고 지렁이가 못 먹는 육류·생선 멀리해 수송 거리가 짧은 로컬푸드만 먹기, 전기나 화석연료로 움직이는 탈것 이용하지 않기, 일회용품 사용하지 않기, 쓰...
-
왜 우리는 가습기 살균제에 분노하지 않는가 [1]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5.12.28
|확인된 피해자 530명 사망자 143명, 불매운동은 잠잠 800만 사용자 중 어떤 피해 나올지 몰라, "분노하고 행동하라"가습기 살균제 사태, 그 시작과 현재 2011년 임신부와 영유아들이 잇따라 숨지면서 널리 알려지게 된 가습기 살균제 사태가 시작된 지 벌써 4년이 지났다. 하지만 이 일은 여전히 ...
-
‘황새’ 때문에 일본에 화난 사람들 [1] | 환경뉴스
2015.12.24
|한국 황새 산황이(K0008)가 지난 10월26일 전북 군산시 회현면 만경강변을 거닐고 있다. 이 황새는 지난달 일본 오키노에라부 공항에서 숨진 뒤 소각 처리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한국황새생태연구원 제공한국황새생태원서 키운 산황이일본서 사고사 뒤 무단 소각돼연구원, 일본쪽에...
-
한 폭 산수화 같은 조개, 밟히면 '바지락 바지락' [1] | 생생 수산물 이야기
2015.12.24
|바지락은 잡힐 때 놀라 펄 흡입, 가리비는 하루 500m까지 '깡충' 쫄깃하고 시원하며 감칠맛 나는 조개, 조리법과 먹는철 제각각 시원한 칼국수 국물 맛 책임지는 바지락 바지락은 한국, 사할린, 일본, 중국,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 연안에 분포하나 서해안에 ...
-
2016년 첫 해돋이는 아침 7시26분 [1] | 환경뉴스
2015.12.23
|독도서…서울은 7시46분께날 좋아 전국서 해맞이 가능병신년인 2016년 가장 일찍 떠오르는 해는 바다에서는 독도, 뭍에서는 울산 간절곶과 방어진에서 볼 수 있을 전망이다. 또 기상청이 새해 1월1일 날씨를 ‘구름 조금’으로 예보해 해맞이는 전국에서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한국천문연구원은 22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