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님 댁에 왕귀뚜라미 보내드려야겠어요~”

물바람숲 2015. 10. 28
조회수 32331 추천수 0
농촌진흥청 “울음소리, 노인 우울증 치료에 도움”
뇌 활성도도 높아져…연구 결과 국제 학술지에 실려
144600958614_20151029.JPG » 귀뚜라미. 한겨레 자료 사진.왕귀뚜라미의 울음소리가 노인들의 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가을에 쉽게 들을 수 있는 왕귀뚜라미의 울음소리가 65살 이상의노인들의 우울증을 치료하고 인지 능력을 높이며 정신 건강을 개선한다는 점을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고 28일 밝혔다. 농진청은 이번 연구에서 심리 검사와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등을 사용했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제런톨로지>(노인병학)에 실렸다고 전했다.


농진청은 65살 이상의 노인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왕귀뚜라미를 2달 동안 키우게 하고, 다른 그룹은 키우지 않게 했다. 그 결과, 귀뚜라미를 키운 그룹은 우울증 지수가 낮아지고 인지 기능 지수는 높아지고 정신적 삶의 질(건강) 지수가 높아졌다. 그러나 키우지 않은 그룹은 변화가 없었다. 또 자기공명영상으로 이들 두 그룹의 뇌를 찍어보니 키운 그룹에서 뇌 활성도와 임무 수행 정확도가 모두 높아졌다.

왕귀뚜라미는 고려 때부터 궁중의 여인들이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키웠다는 기록이 있고, 시나 산문에도 귀뚜라미 소리를 소재로 한 경우가 있다. 최근에도 가수 안치환씨가 ‘귀뚜라미’라는 노래를 불렀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왕귀뚜라미는 우리가 가을에 흔히 볼 수 있는 바로 그 귀뚜라미다. 자연에서는 1년살이 곤충으로 가을에 소리를 내어 짝짓기를 한 뒤 알을 낳고 죽는다. 알은 겨울 휴면 기간을 거치고 봄여름에 깨어나 2달가량 어린벌레(약충)로 지낸 뒤 늦여름에 어른벌레(성충)가 돼 2달가량 노래를 부른다. 그러나 인공적으로 기르면 휴면 기간이 없이 알에서 바로 어린벌레, 어른벌레로 자란다.

다만 어른벌레로서 소리를 내는 기간이 인공에서도 2달에 불과하고 그 뒤에 바로 죽어버리기 때문에 이것이 노인들에게 또다른 심리적 충격을 가져올 수 있다고 농진청은 밝혔다. 농진청 강필돈 곤충산업과장은 “개나 고양이 같은 보편적 반려동물 외에 왕귀뚜라미와 같은 곤충을 키우는 것도 사람들의 정신 건강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반려·애완 벌레로는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배추흰나비, 호랑나비 등이 있다.

세종/김규원 기자 che@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물바람숲
‘물바람숲’은 다양한 분야와 전문성을 지닌 필자들이 참여해 펼치는 환경 담론의 장이고자 합니다. 이곳은 환경 이슈에 대한 현장 보고, 사진과 동영상, 논평, 뒷 얘기, 문제제기, 토론과 논쟁이 소개되는 마당입니다. 필자들은 환경 담론의 생산자로서 더 많은 사람들이 논의에 참여하도록 이끄는 ‘마중물’ 구실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