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단한 이 표면은 원시 물고기 피부에서 왔다 | 환경뉴스
2015.09.25
|사람 이 에나멜질은 4억년 전 고대어 비늘과 턱 보강 위한 피부고대어 화석 정밀분석과 동갈치 유전체 분석으로 이 기원 밝혀 사람 몸에서 가장 단단한 부위는 이 표면을 감싸고 있는 에나멜질(법랑질)이다. 인산칼슘이 주성분인 에나멜질은 어디서 왔을까. 중국과 스웨덴의 고생물학자와 유전체학자...
-
차고 캄캄한 북극해 겨울에도 생물은 잠들지 않아 | 환경뉴스
2015.09.25
|4달 동안 밤만 계속되는 스발바르 북극해 3년간 잠수 조사 결과번식하고 사냥하고…여름보다 생물다양성 더 높은 생물도 있어 북위 79도에 위치한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는 늦가을부터 넉 달 동안 밤이 계속된다. 혹한이 계속되는 육지에서 생명 활동은 멈춘다. 그러면 바다는 어떨까. 차고 ...
-
안양서 발견된 1천만 마리 '개미제국', 개발로 사라지나 | 환경뉴스
2015.09.23
|연말 이전 축산검역본부 정원서, 50년전 시작된 일본왕개미 초군체 “생태계 전시와 보전 가치 높다”, ‘제국의 운명’ 안양시 선택에 달려 경기도 안양시 만안경찰서 사거리와 현충사거리 사이에 있는 농림축산검역본부 구내 정원은 아름드리 벚나무에서 흐드러지게 피는 벚꽃으로...
-
‘바다의 포르셰’ 참다랑어, 양식장 그물과 충돌 사고 | 황선도 박사의 물고기 이야기
2015.09.22
| 참치로 알려진 다랑어, '맛의 백화점' 인기 독차지속도광이자 멸종위기종 참다랑어는 완전양식 길 열려 ‘참치’란 이름은 동해 지역 사투리 뭐라 해도 가장 값비싼 횟감으로는 ‘다랑어’를 꼽을 수 있다. 일반인들에게는 ‘참치’라고 알려졌고, 영어로는 ‘튜나(tuna)’라고 부른다...
-
헤밍웨이의 그 바다와 고기를 찾아서 | 황선도 박사의 물고기 이야기
2015.09.21
|'노인' 산티아고의 실존인물 그레고리오 후엔테스 104세 타계 헤밍웨이 집필실 호텔에 보존, 말레콘 저 멀리 새치 어장 아련히 2004년 난생처음 미국 여행길에 올랐다. 방문연구원 자격으로 미국 서부 샌디에이고 근처의 라 호야(La Jolla)에 있는 미국립해양대기국(NOAA)에 딸린 남서수산과학센터...
-
이누이트와 피그미처럼, 인류의 진화는 계속될까 [2] | 조홍섭
2015.09.18
|최근의 잇단 화석 발견, "인류를 종착점으로 한 진화란 없다"문화적 영향, 기술발전, 기후변화로 미래 인류진화 방향은 미궁에 인간은 외로운 동물이다. 사람은 포유동물강, 영장목, 사람과, 사람속(호모)에 속한 유일한 종(호모 사피엔스)이다. 사람과에는 침팬지속, 오랑우탄속, 고릴라속, 사람(호모...
-
논아 고맙다, 쌀 빼고 생태계 서비스 연 13조원 [2]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5.09.17
|환경상식 톺아보기-벼농사의 가치전국 논의 홍수조절량 춘천댐 24배, 지하수 함양 소양댐 8배여름철 냉각효과와 오염물질 정화, 산소 생산, 습지 생태계 구실도 이제 열흘 뒤면 추석이다. 추석에 우리는 햅쌀로 밥을 지어 조상께 올린다. 밥은 우리나라 사람의 주식이다. 밥은 쌀에 물을 부어서 조리...
-
'생태도시' 꿈꾸는 울산의 거대 화단은 외래종 천국 | 환경뉴스
2015.09.16
|태화강대공원 ‘바이오블리츠’서 1011종 확인외래식물 많고 전시용 도입종도 포함한 집계 아쉬움 “넷, 셋, 둘, 하나!” 12일 오후 2시 울산광역시 태화동 태화강대공원. 카운트다운이 끝남과 동시에 공원 안 느티마당 가운데 무대 스크린 속 디지털 타이머가 24시간에서 1초씩 줄어들었다. ‘바이...
-
천적 피해 더 센 놈 옆에 둥지 트는 벌새 | 환경뉴스
2015.09.16
|참매 둥지 근처에 벌새 천적 어치 얼씬도 못해 안전지대 형성참매 둥지서 170m 이상 떨어지면 번식성공률 절반 이하로 떨어져 최상위 포식자는 먹이를 잡아먹어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한다. 그러나 직접 잡아먹는 것 말고도 중간 포식자의 행동을 제한하는 등 간접적인 효과도 크다는 사실이...
-
황새를 남북 화해 전령사로, 연백평야에 복원할만 | 조홍섭
2015.09.15
|충남 예산 복원 황새 8마리 적응 순항 중…일본 도요오카 방사 수컷도 '환영' 방문연백평야는 한반도 최대 번식지, 황새 복원으로 동아시아 평화와 지속가능 발전 기대 충남 예산에서 방사한 황새 8마리가 자연에서 잘 적응하고 있다고 한다. 절반인 네 마리는 전북 남원과 완주, 경기도 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