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냥, 탈취, 방어…한강은 흰꼬리수리 사관학교 [1] | 사진
2017.03.24
|어린 새끼에게 사냥에 필요한 모든 기술 전수물속에 피한 오리 기다려 협동 사냥 등도 연습눈앞에 보인다고 그게 전부는 아니다. 자연을 꾸준히 관찰하다 보면 선입견으로 알지 못했던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된다. 흰꼬리수리의 먹이 쟁탈전과 다툼을 늘 지켜 보았다. 그런 동물이려니 하고 눈에 보이...
-
들에서 자란 냉이와 달래를 먹어야 하는 이유 [2]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7.03.22
|닐하우스서 화학비료 줘 기른 것보다 비타민, 미네랄 풍부자연 천적 대항 위해 생리활성물질 많아, 요즘 상추는 안 졸려전세계 젊은이들이 가장 일하고 싶어 하는 직장이 구글이라고 한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포털사이트 구글은 유명하다. 구글은 좋은 직장 환경을 제공해 주는 회사로 또한 유...
-
'붉은 나비는 가짜 봄, 흰나비는 진짜 봄' [1] |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노트
2017.03.20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 노트 <6> 춘분개구리 알 낳자 올챙이 주식인 물장군도 잠 깨어나생태계 먹이사슬 톱니바퀴 착착 맞물리는데, 인간만 철없어봄은 ‘보임’의 준말이라던가. 은밀하게 태동을 준비하던 모든 생물이 불같이 일어나 일제히 활동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어 봄이라 했다....
-
지구 최대 포식자는 거미, 연간 곤충 등 8억톤 먹어 | 환경뉴스
2017.03.17
|사람이 먹는 고기와 수산물 합친 양과 맞먹어포식의 대부분은 숲과 초지에서, ㎡당 1000마리까지 살아거미가 지구상에 처음 출현한 것은 고생대 데본기인 약 4억 년 전이다. 현재 4만5000종 이상의 거미가 극지방부터 사막까지 지구 표면에 넓게 분포한다.다리가 여덟 개 달린 이 포식자는 잘 발달한 감...
-
영화라 다행이다, 미리 알려줘 고맙다 [1] | 영화로 환경 읽기
2017.03.15
|영화로 환경읽기 18. <판도라>후쿠시마 사고 6돌, 판도라의 희망은 핵 없는 사회로 갈 기회 잡는 것돈보다 사람과 안전 우선 세상 돼야, 40년 쓰자고 10만년 부담 남겨서야이 글은 2016년 12월 개봉해 약 450만 명(누적 관객수, 영화진흥위원회)이 관람한 영화 <판도라>의 등장인물과 줄거리...
-
캄보디아 농촌에 웃음꽃 피우는 적정기술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7.03.14
|'국경 없는 과학기술자회'의 캄보디아 빈민 적정기술 지원 현장 보고우물, 정수처리, 화장실 등 지역사회 기반 기술로 기후변화 적응 도와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라고 들어본 적이 있는가? 적정기술이란 되도록 해당 지역사회의 재료를 사용하면서 소규모 분산적 노동집약적인 속성을 지니는 지...
-
서해안 찾은 저어새, 가마우지 등쌀에 번식지 잃을라 | 사진
2017.03.13
|서해안이 유일한 번식지인 세계적 멸종위기종, 번식지 부족 심각온순한 성격 탓 김포 유도 번식지 민물가마우지에 빼앗겨, 대책 시급순백색 몸 깃털에 밥주걱을 닮은 큰 부리, 부리가 얼굴까지 폭넓게 연결 되어 마치 검은 가면을 쓴 것 같은 모습…. 저어새다. 3월 중순이면 동남아 월동지에서 우리나라...
-
공룡시대 바다 괴수의 이빨이 오징어·문어 낳았다 | 환경뉴스
2017.03.10
|어룡·상어 등 새 포식자 대응 패각 버리고 민첩한 형태로 진화패각 고집한 암모나이트는 멸종…오징어, 문어 특별한 이유 밝혀져머리와 다리가 붙어있다 해서 ‘두족류’라고 불리는 오징어와 문어, 갑오징어 등은 그런 체형 말고도 여러 가지 점에서 특이한 동물이다. 피부의 무늬와 색깔을 자유자재로 ...
-
경찰 상징 참수리 머리에 웬 물새 댕기깃? [2] | 윤순영의 자연의 벗
2017.03.08
|수리류 뒷머리엔 댕기깃 없고 비오리, 해오라기 등에나 있어2005년 독수리서 참수리 바꾼 문양 실제 모습과 많이 달라창설 60돌을 맞은 경찰은 2005년 경찰의 상징을 기존의 독수리에서 참수리로 바꿨다. 썩은 고기를 먹는 독수리보다는 최고의 사냥꾼인 참수리가 경찰의 이미지에 맞다는 판단에서였을 것이...
-
경칩 햇살에 '깜짝', 호랑나비 번데기'겨울 탈출' 시동 |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노트
2017.03.06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 노트 <5> 경칩6개월째 기다린 호랑나비과 나비 번데기, 껍질 속에서 발육 시작나비에 중요한 생식기와 나비 만들며 껍질 속에서 비상 준비갑작스러운 기상 변화라면서 한 밤중에 대낮처럼 환하게 밝힌 번개와 큰 천둥소리에 놀란 시민들이 소방안전본부에 걱정하는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