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챙이 낳는 개구리, 구르는 사막 거미…10대 신종 [3] | 환경뉴스
2015.05.21
|국제생물종탐사연구소, 지난해 발견 1만8천종 중 특이한 10종 발표 추정 생물종 1200만종 중 200만종만 밝혀져, 신비와 가치 관심 촉구 지난해 학계에 새로 보고된 1만 8000종의 생물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10가지가 선정됐다. 미국 뉴욕주립대 환경 임학 대학(ESF)의 국제 생물종 탐사 연...
-
`검은 황금'을 땅속에 묻어둘 수 있을까 | 조홍섭
2015.05.21
|확인된 화석연료 다 태우면 인류에 허용된 온실가스 용량 3배 배출 화석에너지 기업 투자철회 운동 활기, 정부는 화석 연료 기반 정책 고수 앨런 러스브리저는 194년 역사의 영국 권위지 <가디언>에서 20년째 편집국장을 맡고 있다. 올여름 퇴임을 앞두고 후회할 일이 없나 돌아봤다. ...
-
100마리로 불어날 우포 따오기, 겨울엔 뭘 먹지? | 환경뉴스
2015.05.20
|인공증식까지는 순조로웠지만 서식환경 조성과 방사 이후 관리 난제 전문인력·예산 부족 지자체 역량 한계, “앞으론 환경부가 직접 총괄해야” 우포늪의 아침은 소란스러웠다. 일찍 잠자리에서 빠져나온 파랑새, 붉은머리오목눈이 등 새들의 지저귐, 존재감을 드러내는 중저음의 황소개구리 울음, 산란...
-
개미귀신 함정 가뿐히 탈출하는 ‘점프 개미’ [1] | 환경뉴스
2015.05.19
|180도 벌어지고 시속 200킬로로 닫히는 큰턱 반동으로 튀어나가 먹이사냥 등 위해 진화한 큰턱을 방어용으로, 진화의 '재활용' 사례 명주잠자리과 곤충의 유충은 모래밭에 고깔 모양의 함정을 파놓고 개미가 빠지기를 기다린다. 바로 개미귀신이다. 고깔 중앙의 모래 ...
-
오염시키고 나 몰라라 미군, 책임 못 묻고 쉬쉬하는 정부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5.05.18
|미군은 SOFA에 기대어 무책임하고 비협조적, 정부는 오염자 부담 원칙도 포기할 판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과 퍼내 연료로 쓸 만큼 심각한 유류오염, 비공개로 문제 키워 지난 3월18일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반환 미군기지의 오염정화는 “기본적으로 정화가 핵심으로, 누가 정화하느냐는 두 번째...
-
2m 거대 바다어 붉평치 ‘온혈’ 첫 확인…항온 비밀도 풀려 | 환경뉴스
2015.05.15
|가슴지느러미 움직여 열 만든 뒤 0.8㎝ 두께 지방조직으로 감싸아가미 ‘역방향 열교환’이 비결…더운 혈관이 찬 혈관 감는 얼개 끝없는 대양, 그것도 차고 희미한 빛밖에 들어오지 않는 깊은 바다에 사는 물고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많지 않다. 그런 물고기 가운데 ‘붉평치’(학명 Lampri...
-
우리 동네 반경 5㎞ 유해물질 위험 한 눈에 | 환경뉴스
2015.05.13
|환경련 등 27개 시민단체 제작 ‘우리동네 위험지도’ 무료 앱 공개 거리별 유해물질 종류와 독성 등 보여줘, 일부 사업장 대상 한계 몇 해 전부터 사업장 유해화학물질 누출 사고가 잇따르면서 주변 공장들을 불안한 눈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늘었다. 사고로 대피하는 주민들의 모습을 언론을...
-
파랑비늘돔의 '마법', 산호 깨뜨려 산호섬 만든다 | 환경뉴스
2015.05.12
|산호섬 형성하는 퇴적물의 85%는 파랑비늘돔이 배설하는 산호 부스러기 기후변화 취약하는 산호섬 지키는 효자 물고기, 화려한 무늬로 성 전환도 열대와 아열대 얕은 바다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물고기의 하나가 파랑비늘돔이다. 초록이나 파랑 바탕에 분홍빛 무늬가 선명한 이 물고기는 색깔...
-
집에 새 둥지를 틀었다면, 딱 3주만 모른척 하면 돼 [4] | 야생동물 구조 24시
2015.05.11
|길어야 3~4주만 기다리면 되는데, 아쉬운 생명 경시 황조롱이, 딱새도 둥지 틀어, 불편 참으면 잊지못할 경험 “우리 집에 새가 둥지를 틀고 새끼를 기르고 있어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누군가 이렇게 물어온다면 어떻게 대답해야 할까요. 만약 둥지가 굉장히 아슬아슬한 위치에 있어 바로 어...
-
신부 예물 목걸이 만들려 돌고래 집단 살육 [6] | 환경뉴스
2015.05.08
|솔로몬제도 전통 돌고래 몰이 사냥, 2013년 한 철에 1700마리 죽여 돌고래 이 값 급등이 사냥 재개 불러…일본, 페루, 페로스제도 등서도 사냥 남태평양 서부에 위치한 솔로몬 제도에서는 전통적으로 돌고래를 잡아왔다. 돌고래 떼를 발견하면 카누 20~30척이 U자 모양으로 둘러싼 뒤 여러 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