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년 검토’ 허드슨강도 ‘발암’…후다닥 4대강은? [2] | 환경뉴스
2010.03.09
|미 업체 “최선 기술 총동원했지만 오염 못 막아”한국, 공동조사 요구 묵살한 채 ‘마구잡이 공사’ 강바닥에 쌓인 오염 퇴적토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확산되는 예상치 못한 사태가 미국 허드슨강에서 발생했다. 허드슨강 준설사업은 ‘역사상 가장 비싸고 복잡한 준설’로...
-
기후변화 ‘나이테’ 또렷, 온난화의 ‘미래’ 증언 [2] | 한반도는 살아있다
2010.03.03
|<10> 단양 에덴동굴의 비밀40만년 동안 각각 6차례 빙하기·간빙기 흔적고대국가들 주요 멸망 원인으로 유추 가능해 ■ 시리즈 차례 ■제1부 격변의 시대 1. 북한산의 기원 2. 이동과 충돌 &...
-
‘악당’ 진딧물, 치명적 약점은 뱃속 | 환경뉴스
2010.03.02
|단백질 못 만들어 몸속 박테리아 없인 못살아생존 무기는 적에 대항할 무기보다 빠른 생식 진딧물과 개미의 공생은 잘 알려져 있다. 개미는 진딧물을 천적으로부터 지켜주고 진딧물이 배설해 주는 당분을 얻어먹는다. 그러나 정작 진딧물은 자신의 몸속에 사는 박테리아와 ‘죽고 못사는’...
-
법정 선 4대강, 정부쪽 전문가 ‘삽질 발표’ | 환경뉴스
2010.02.25
|행정소송 참관기중금속·흙탕물 오염 우려 등에 ‘비전문적’ 견해자기과시 발언하다 제지도…<사이언스> 취재 “강물에 흙탕물과 중금속이 아무리 많아도 응집제를 주입해 정수하면 아무 문제 없다.”“보 건설로 지하수위가 상승해 농지가 습지화되는 건 좋은 일이다.”“4대강 사업이 끝나고...
-
법정 선 4대강, 정부쪽 전문가 ‘삽질 발표’ | 4대강의 거짓과 진실
2010.02.25
|행정소송 참관기중금속·흙탕물 오염 우려 등에 ‘비전문적’ 견해자기과시 발언하다 제지도…<사이언스> 취재 “강물에 흙탕물과 중금속이 아무리 많아도 응집제를 주입해 정수하면 아무 문제 없다.”“보 건설로 지하수위가 상승해 농지가 습지화되는 건 좋은 일이다.”“4대강 사업이 끝나고...
-
4대강 바닥의 다이옥신도 조사해야 | 신창현의 분쟁닷컴
2010.02.23
|국토해양부는 낙동강 바닥의 흙 속에 비소와 수은 등의 오염실태를 제대로 조사하지 않았다. 강바닥을 파헤치면 이러한 유해물질들이 정수장에 유입되어 수돗물을 오염시키거나 생태계를 파괴할 위험성도 확인하지 않았다. 뒤늦게 잘못을 인정한 것은 다행이지만, 준설을 계속하면서 조사를...
-
멸종위기종 산양, 올무에 걸려 숨진채 발견 [2] | 사진
2010.02.18
|산양 서식지 삼척서…빠져나오려 몸부림친 흔적들 주변 곳곳에산림청 반대로 특별보호구역 지정 못해…한쪽엔 인공복원 사업 ▲ 올무에 걸려 죽은 채 발견된 산양. 국내 최대의 산양 서식지의 하나인 강원도 삼척시...
-
한민족과 함께 태어나고 자란 서해안 갯벌 [1] | 한반도는 살아있다
2010.02.17
|제2부 <9> 곰소만의 ‘떠다니는 섬’ 5천년 전 해수면 상승속도 줄며 퇴적물 쌓여하굿둑-댐에 가로막혀 ‘영양실조’ 걸릴 위기 ■ 시리즈 차례 ■제1부 격변의 시대 1. 북한산의 기원 2. 이동과 충돌 &...
-
한국호랑이 과연 살아있을까 [4] | 환경뉴스
2010.02.10
|별도 아종으로 분류 기회없이 아무르호랑이로 통합 한 집단 생존에 경기도 면적 숲 필요…남한엔 없다 범띠해가 다가오면서 다시금 한국범에 관한 핵심적 질문이 나온다. 남한에 한국호랑이나 표범이 과연 살아있을 가능성이 있는가, 라는 질문과 도대체 한국호랑이란 것이 존재하긴...
-
‘송사리 똥’이 바꾼 생태 환경 [1] | 환경뉴스
2010.02.09
|‘구피’ 2종, 먹이 등 똑같은 인공개울서 실험배설물 성분 다르고 생태 구조·기능 큰 차이 서울쥐와 시골쥐가 다른 것은 그들이 사는 환경이 달라서다. 시골쥐가 서울에 산다고 서울이 달라지지는 않는다. 생태계는 그 속에 사는 생물이 어떻게 진화할지를 결정한다. 그러나 진화론의 이런 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