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회 지역에너지 학교

- 에너지 자립마을 어떻게 만들까? -


기후변화와 고유가로 인해 에너지 자립마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역에너지 네트워크와 녹색연합은 2011년 7월 20일(수)부터 22일(금)까지 통영 연대도에서 제1회 지역에너지 학교를 엽니다. 에너지 자립마을을 만들기 위한 기본 철학에서부터 계획, 적용 가능한 기술, 주민 참여, 행정과의 협력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룰 예정입니다. 강사진으로는 마을 현장에서의 경험이 풍부한 분들을 모셨습니다.


깊이 있는 워크숍을 위해 수강생들을 실제 에너지 자립마을을 계획 또는 준비하고 있는 지역으로 제한하였습니다. 교육 참가를 원하는 마을에서는 2~4명이 그룹을 만들어 신청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마을당 2인 이상). 교육생은 총 30명을 모집할 계획이고, 선착순으로 신청 마감을 합니다. 제 1회 지역에너지 학교가 에너지 자립마을 준비를 위한 정보 교류와 네트워크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제1회 지역에너지 학교는

- 에너지 자립마을 만들기의 생생한 경험을 배울 수 있습니다.

- 에너지 자립마을 현장, 통영 연대도에서 열립니다.

- 모두가 참여하고 서로 배우는 참여형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 힘과 의지가 되는 협력 네트워크를 만들어갑니다.


이름

직책 

김제남

녹색연합 녹색에너지디자인 운영위원장

김일환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전사무국장

김인택

부안 화정마을

김성원

흙부대생활기술네트워크

김정흠

임실 중금마을

변재수

사회적기업 노나메기 사업단장

이동근

대안기술센터 소장, 산청 갈전마을

이현민

부안시민발전소 소장, 부안 등룡마을

윤미숙

푸른 통영21 사무국장

신동철 

성미산 귀촌위원, 건축가

주대관

건축가, 문화도시연구소 소장, 인제 여럿이마을

제1회 지역에너지 학교 강사진은


 주최 : 지역에너지 네트워크, 녹색연합

 후원 : 에너지시민연대, 푸른 통영 21, 연대도 주민들


 일시 : 2011년 7월 20일(수)~22일(금) (2박3일)


 장소 : 통영 연대도 에코아일랜드 체험 센터


 참가대상 : 에너지 자립마을을 준비하는 지역(2인 이상 그룹을 만들어 신청), 지역 안배를 위해 참가인원의 조정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다른 지역과 기회를 나누기 위함이니 이해해 주시길 바랍니다. 최종 참가자 확정은 7월 10일입니다.


 참가비 : 1인당 5만원(달아 마을 선착장까지 오시는 교통비는 부담하셔야 합니다. 참가비는 현장에서 받고 영수증을 바로 발급합니다.)


 참가신청 방법 : 신청서를 작성해 팩스 또는 이메일 접수 

⦁ 팩스번호: 02-766-4180 / 이메일: leeyj@greenkorea.org

⦁ 담당 : 이유진 팀장 010-3229-4907 (참가 신청 후, 접수 여부를 알려주세요) 

 

마을 이름과 주소 

 

마을 소개

 

에너지 자립마을 준비 동기

 

진행 상황

 

참가자 명단

이름 

주민등록번호(보험용)

연락처 

 

 

 

 

 

 

 

 

 

교육에 바라는 점

 

참가자 대표

이름 (메일 주소 또는 연락처)

통영까지 오는 교통수단

자동차나 고속버스 등 교통수단과 출발지를 알려주세요. 카풀을 시도할 예정입니다.

 신청서 :

※ 신청서 내용을 자세히 적어서 보내주시면, 학교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신청서 내용은 자료집에 실을 예정입니다.

 

 강의주제 및 내용

7월 20일 <수>

시간

활동내용

강사

오후 1:00-2:00

1시까지 통영 달아마을 선착장에 모여, 배를 타고 연대도로!

2시까지 학교 도착과 숙소 배정을 마무리 함.

 

오후 2:00-4:00

워크숍 1. 에너지자립마을 만들기의 철학과 원칙

참가마을 소개- 왜 우리는 에너지 자립마을을 만들려고 하는가?

김제남

이현민 

오후 4:00-6:00

<답사> 연대도 주민들을 만나다

연대도 마을 조사지를 가지고 주민들을 만나 에너지 자립섬의 과정을 탐구해내는 작업

마을주민 

오후 6:00-8:00

식사와 산책

 

오후 8:00-10:00

워크숍 2. 에너지 자립섬 어떻게 만들었을까? 

: 참가자들이 먼저 토론을 한 다음 통영의제 21, 윤미숙 국장과 대화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 

1. 계획은 어떻게 세웠을까?

2. 주민들과 어떻게 협력했을까?

3. 행정은 어떤 일을 했나?

4. 예산은 어떻게 마련했을까?

윤미숙

10시 이후

취침 

 


7월 21일 <목>

시간

활동내용

강사

7:00-9:00

아침식사와 연대 지겟길 한바퀴

 

9:00-10:00

강의 1. 에너지 자립마을 디자인과 정책

: 어떤 정책이 있으며, 어떤 제도를 활용할 수 있을까?

이유진

10:00-12:00

강의 2. 농촌 마을과 저에너지 주택

: 에너지 자립마을을 만들 때 건축은 어떻게 고려해야 할까?

주대관

12:00-1:00 

식사 

 

오후 1:00-4:30

워크숍 3. 마을과 대안에너지 - 고수들의 만남

: 마을에 적합한 재생가능 에너지는?

: 적정기술 성공과 실패 이야기

김일환(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전사무국장), 김성원(흙부대생활기술네트워크), 이동근(대안기술센터)

 

김일환

김성원

이동근 

오후 4:30-7:00

식사와 휴식

 

오후 7:00-10:00

워크숍 4. 우리 마을 에너지 자립 계획 세워보기

 : 참가자들이 조언자들과 함께 조별로 계획을 세우고 토론을 진행함

 : 그룹당 분야별로 조언자를 선택할 수 있음.

김제남

김정흠

김인택

변재수

이현민

윤미숙

신동철

10시 이후

취침 

 


7월 22일 <금>

시간

활동내용

강사

7:00-9:00

아침식사

 

9:00-11:00

워크숍 5. 각 마을 에너지 자립마을 만들기 계획 발표

김제남

김정흠

김인택

변재수

이현민

윤미숙

신동철

11:00-12:00

워크숍 6. 평가와 지역에너지 네트워크 미래 토론

다함께

12:00-1:00 

식사  후 집으로

 


 찾아오시는 길

모든 참가자들은 7월 20일(수) 오후 1시까지 통영 달아

마을 선착장으로 오셔야 합니다. 배를 이용해 이동합니다. 절대 늦으시면 안 됩니다. 개인으로 이동할 경우 배편을 구하는데, 기름 값만 6만 원 정도가 듭니다. 대중교통으로 오시는 분들은 고속버스터미널에서 택시를 타야 하는데 시간은 30분 정도 걸리고 비용은 15,000원~17,000원이 나옵니다. 출발하기 전에 같이 모여서 택시를 타거나 카풀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참가자 알림 사항

- 집결시간: 7월 20일(수) 오후 1시까지 통영 달아마을 선착장

- 모든 참가자는 전체 일정(2박3일) 참가를 원칙으로 함

- 세면도구, 개인 컵 지참

- 강사 분들께는 따로 교통편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 제 1회 지역에너지 학교- 에너지 자립마을 어떻게 만들까?- 이유진 2011-07-04 19201
98 [토론회] 에너지 자립마을 길찾기 - 저탄소 녹색마을 정책의 바람직한 전환방향 imagefile 이유진 2011-07-04 24856
97 함께 걸어요! imagefile 윤주옥 2011-07-04 16566
96 수요 탈핵 교실 조홍섭 2011-07-01 15804
95 오는 6월 29일, 국립공원 정책포럼이 열립니다. 윤주옥 2011-06-29 17007
94 국립수목원, 식물교실 운영 조홍섭 2011-06-27 17902
93 우이령보존회 청년생태학교 참가자 모집 조홍섭 2011-06-27 15766
92 '위험 사회의 민주주의와 거버넌스' 학술토론회 조홍섭 2011-06-27 17066
91 천연모기약 만드는 법, 어떤가요? imagefile [4] sano2 2011-06-24 35115
90 약용식물 대중 강연회 조홍섭 2011-06-23 15715
89 저탄소카 보급 세미나 조홍섭 2011-06-20 18390
88 왜 이렇게 더울까요 imagefile [6] 조홍섭 2011-06-20 21250
87 한반도 생물자원 온라인 퀴즈대회 조홍섭 2011-06-20 17343
86 광릉 숲속 음악회 열려 김성호 2011-06-17 17043
85 ** 6월 19일 이른 9시, 섬진강 두 발로 건너자! ** imagefile 윤주옥 2011-06-16 18697
84 2011 꼭 지켜야 할 자연․문화유산 시민 공모 조홍섭 2011-06-15 15574
83 4대강 현장 실태 보고와 진단 토론회 조홍섭 2011-06-14 16800
82 우이령보존회 어린이 생태학교에서 함께 놀아요 조홍섭 2011-06-14 15481
81 인천만 조력발전 과연 타당한가 국회 토론회 조홍섭 2011-06-13 17846
80 맹꽁이 '공개 수배' imagefile 조홍섭 2011-06-13 31001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