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에서 어떤 증상이 가장 먼저 나타나는 부위는 얼굴입니다.
얼굴에는 몸 상태, 마음 상태가 쓰여 있어서
좋은 의사는 얼굴만 봐도 그 사람의 몸 상태, 마음 상태를 알아챕니다.
그러니 날마다 거울을 볼 때 세심하게 관찰해 보세요.
얼굴에 신호가 나타나면 의통 명상으로 오장육부를 잘 닦아주시면 됩니다.
이상 있는 장부를 잘 닦음으로써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지요.


눈, 얼굴을 볼 때 제일 중요한 것은 눈입니다.
눈이 침침하고 시력이 떨어지고 눈자위에 푸른 기운이 돈다면 간에 이상이 있는 경우입니다. 눈 밑이 깊이 파이고 푸르죽죽한 분은 담에 이상이 있는 경우입니다.
텔레비전 보면 가끔 그런 분이 나오더군요.
귀, 청력이 떨어져 소리가 잘 안 들리고, '윙윙' 소리가 난다면
신장 기능에 이상이 있습니다.


코, 코의 길이가 적당하면 대장이 건강하게 태어난 상태입니다.
콧잔등이 움푹 파인 분 있죠?
태어날 때는 그렇게 태어나지 않았더라고 점점 코가 가라앉아 안으로 푹 파인 분도
계시는데, 삼초에 이상이 있는 경우입니다.


콧구멍이 위로 향해서 비 맞게 생긴 분들은 방광이 약한 분들입니다.
태어날 때는 안 그랬는데 방광에 이상이 생겨서 콧구멍이 점점 하늘을 향하는 것이지요.
콧구멍이 작고 예쁘게 태어났는데,
나이가 들면서 숨이 차고 점점 콧구멍이 커지는 분은 폐에 이상이 있는 경우입니다.
입술, 입술이 가늘고 푸르죽죽하고 인중이 짧은 분은 소장에 이상이 있습니다.
소장에 이상이 있으면 또 영양분 관리를 잘 못하고 설사를 잘 합니다.
입 주위는 비장과 관계가 있습니다.
입안이 잘 허는 것도 마찬가지로 비장에 이상이 있는 경우입니다.
볼, 볼이 움푹 패인 분은 위의 소화기능이 약합니다.


혀, 혀 짧은 분 있잖아요?
혀가 짧아서 안으로 말리고 백태가 자주 끼는 분은 심장에 이상이 있는 경우입니다.
백태도 여러 가지 형태가 있어서 하얀 색, 누런 색, 검은 색에 따라
아픈 부위가 다릅니다.
눈썹, 눈썹이 성글고 희미하고 잘 빠지는 분은 심포에 이상이 있습니다.


그리고, 얼굴색을 잘 관찰하면 의사가 아니더라도 장부의 이상을 알 수 있습니다.
우선 청색, 얼굴 전체가 청동색을 띄면서 눈자위가 푸르죽죽하다면
간에 이상이 있는 안색입니다.


홍색, 불콰하게 홍색을 띠는 얼굴도 있죠?
사람들이 ‘혈색이 좋습니다’라고 얘기하는 술 한 잔 한 것 같은 얼굴색입니다.
광대뼈가 부위인 양 볼이 아주 빨갛기도 하고요. 심장에 이상이 있는 안색입니다.
백색, 얼굴색이 피부 속이 다 들여다보일 정도로 하얗다면 폐에 이상이 있는 안색입니다.
누런 색, 누렇게 뜬 얼굴은 비장에 이상이 있는 안색이고요.
검은 색, 처음에는 볼 주위와 이마가 검다가 나중에는 얼굴전체가 구릿빛을 띄는데,
신장에 이상이 있는 안색입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19 매일 잠자리에 들기전에 해야 할일 (무심 6) pumuri 2011-08-25 163841
18 여유 6 pumuri 2011-08-26 174775
17 사람마다 각각 다른 불균형이 있다, (건강하게 사는 법 6) pumuri 2011-08-27 175224
16 바다는 ...(명상편지 7) image pumuri 2011-08-28 144132
15 마음이 맑아지는 비결 (무심 7) pumuri 2011-08-29 140677
14 여유 7 pumuri 2011-09-01 145768
13 성격으로 나타나는 오행 불균형 (건강하게 사는 법 7) pumuri 2011-09-04 225852
12 지금 이대로의 내가 좋아 (명상편지 8) pumuri 2011-09-06 161841
11 내가 없어야 (무심 8) pumuri 2011-09-10 142781
10 여유 8 pumuri 2011-09-15 149299
» 얼굴에 나타나는 오행 불균형 (건강하게 사는 법 8) pumuri 2011-09-21 203653
8 원하는 걸 하도록 내버려 두라 (명상편지 9) pumuri 2011-09-21 176500
7 오해가 생겼을 때 (무심 9) pumuri 2011-09-24 155437
6 여유 9 pumuri 2011-09-26 174162
5 몸으로 나타나는 오행불균형(건강하게 사는 법 9) pumuri 2011-09-27 160927
4 혼자있는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가? (명상편지 10) pumuri 2011-09-28 161792
3 정약용과 정조의 대화 (무심 10) pumuri 2011-09-29 200523
2 여유 10 pumuri 2011-09-30 171277
1 날씽와 관련된 오행 불균형 (건강하게 사는 법 10) pumuri 2011-10-02 193763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