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五行)이란 우주의 모든 곳에 존재하는 5가지 기운의 유형을 말합니다.
이 5가지의 완벽한 균형이 상호 조화를 이루어 합일된 것은 우주기(宇宙氣)입니다.
하지만 그 전 단계에서는 5가지 기운이 별개로 구분이 되어 있으므로 오행이라 불립니다.

완벽한 기운, 즉 우주기는 그 자체가 모든 방향성과 에너지가 갖추어진 상태로서
상하좌우로 360도 보다 훨씬 세밀한 36,000도의 전방위적 조망이 가능하며
따라서 완전구형으로 뻗칩니다.

이에 비해 오행을 구성하는 목, 화, 토, 금, 수는 불균형적인 기운으로서,
스스로 나가고자 하는 방향으로만 향하는 운동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행이라 불리는 이유는 이렇게 각기 나가고자 하는 방향이 다름에서 연유한 것이지요.

인간은 근본적으로 오행(五行)으로 구성된 존재입니다.
목화토금수의 오행을 모두 가지고 태어난 존재입니다.
그런데 인간은 출생 시부터 일정 부분 오행상의 불균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행을 모두 가지고 태어나긴 했으나, 목화토금수의 비율이 각각 다르다는 얘기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4가지 인자에 따라 불균형한 비율로 5가지 기운을 부여받았기 때문입니다.
오행의 기운을 불균형하게 타고났기에 몸 안의 오장육부 또한 불균형한 상태일 수밖에 없습니다.
예컨대 태어날 때부터 목 기운이 약하면 간·담이 부실합니다.
화 기운이 약하면 심장·소장이 부실합니다.

인간이 그렇게 완전한 건강은 없는 것은 이러한 연유에서입니다.
인간의 몸을 받아 태어난 이상, 일정 부분 불균형은 어쩔 수 없기 때문입니다.








[편집자 주] 오행의 기운이란?

오행(五行)의 원리가 처음 제시된 곳은 동양 의학 최고(最古)의 원전인 『황제내경(黃帝內經)』이나, 이를 학문화하고 개념화하여 설명한 문헌은 사서삼경의 하나인 『서경(書經)』의 「홍범(洪範)」편이 그 효시이다.
『서경(書經)』의 원문을 보면 “수(水)는 적시어 내려감을 말하고, 불(火)은 불꽃이 세차게 타오름을 말하며, 목(木)은 굽음과 곧음을 말하며, 금(金)은 따름과 혁신함을 말하며, 토(土)에서는 곡식을 심고 거둔다 (水曰潤下 火曰炎上 木曰曲直 金曰從革 土爰稼穡)”라고 표현하였는데, 이 원문을 바탕으로 오행을 풀이하면 다음과 같다.

木  목 기운
목(木)은 원초적인 나무의 이미지를 끌어다 쓴 것이지만 나무라고 하는 식물 그 자체는 아니며, 봄에 새싹이 용틀임을 하듯 몸을 뒤틀며(曲) 꽁꽁 얼었다가 풀린 대지를 뚫고 위로 치솟아 올라오는(直) 왕성한 생기를 표상한 것이다. 이를 『서경(書經)』에서는“목은 굽음과 바름을 말한다(木曰曲直)”라고 표현하였다.
일상에서 사례를 찾는다면, 나팔꽃 등의 덩굴 식물이 나선으로 나무 둥치를 감으며(曲) 올라가는(直) 형상, 홈이 패인 전기 드릴이 회전하며(曲) 뚫는(直) 형상 등이 목왈곡직(木曰曲直)의 모습이다.
목의 성질은 흔히 ‘완(緩)’이라고 표현되는데 따뜻하고 부드럽고 양육적이고 문학적인 성질이다. 순환주기 상으로는 ‘생(生)’이라고 말하는데, 식물이 봄에 대지를 뚫고 싹을 틔우고 무럭무럭 자랄 때, 유아기와 아동기에 몸이 무럭무럭 자라고 호기심을 충족시킬 때, 목 기운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火  화 기운
화(火)는 원초적인 불의 이미지를 끌어다 쓴 것이지만 불 그 자체는 아니며, 화려하고 정열적으로 타오르며 흩어지는 화기를 표상한 것이다. 이를 『서경(書經)』에서는“화는 불꽃이 세차게 타오름을 말한다(火曰炎上)”라고 표현하였다. 일상에서 사례를 찾는다면, 무성하게 우거진 나뭇잎, 불꽃처럼 펼쳐진 새의 날개 등이 화왈염상(火曰炎上)의 모습이다.
화의 성질은 흔히 ‘산(散)’이라고 표현되는데 화려하고 아름답고 예술적이고 환상적인 성질이다. 순환주기 상으로는 ‘장(長)’이라고 말하는데 식물의 가지와 잎이 무성해지고 전체적인 몸통이 커질 때, 사춘기와 20대에 덩치가 커지고 많은 지식을 받아들여 진로를 탐색하는데 몰입할 때, 화 기운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土  토 기운
토(土)는 원초적인 흙의 이미지를 끌어다 쓴 것이지만 흙 그 자체는 아니며, 끈끈하게 뭉치고 화합하는 에너지를 표상한 것이다. 이를 『서경(書經)』에서는“토에서는 곡식을 심고 거둔다(土爰稼穡)”라고 표현하였다.
토의 성질은 흔히 ‘고(固)’라고 표현되는데 모든 것을 수용하고 중화하여 화합하게 하는 성질이다. 순환주기 상으로는 ‘화(化)’라고 말하는데, 식물이 한여름에 장마와 뜨거운 태양 아래에서 참고 견디며 묵묵히 과실을 키워나갈 때, 인생의 30대와 40대 중반에 선택한 진로에서 강인한 심신을 바탕으로 묵묵히 끈기있게 노력할 때, 토 기운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金  금 기운
금(金)은 원초적인 쇠의 이미지를 끌어다 쓴 것이지만 쇠 그 자체는 아니며, 일사불란하게 지배하고 긴장시키고 압력을 가하는 에너지를 표상한 것이다. 이를 『서경(書經)』에서는“금은 따름과 혁신함을 말한다(金曰從革)”라고 표현하였다.
금의 성질은 흔히 ‘긴(緊)’이라고 표현되는데 싸늘하게 긴장시키고 다스리고 지배하고 위엄 있는 성질이다. 순환주기 상으로는 ‘수(收)’라고 말하는데, 식물이 가을에 잎의 영양을 줄여 낙엽지게 하고 과실의 껍질을 단단하게 할 때, 인생의 40대 중반 이후와 50대에 육체적으로는 약해지지만 자신이 노력해서 얻은 결과를 확인하고 누릴 때, 금 기운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水  수 기운
수(水)은 원초적인 물의 이미지를 끌어다 쓴 것이지만 물 그 자체는 아니며, 부드럽고 말랑말랑하게 하는 에너지를 표상한 것이다. 이를 『서경(書經)』에서는“수는 적시어 내려감을 말한다(水曰潤下)”라고 표현하였다.
수의 성질은 흔히 ‘연(軟)'이라고 표현되는데 참고 견디고, 저장하고, 과학적인 성질이다. 순환주기 상으로는 ‘장(藏)’라고 말하는데, 식물이 겨울에 지상에서의 생명 활동을 쉬고 땅 밑에서 정중동(靜中動)하며 생명력을 비축할 때, 인생의 노년기에 인생의 수확물을 후손에게 물려주고 휴식을 취하며 죽음을 맞이할 준비를 할 때, 수 기운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14 성격으로 나타나는 오행 불균형 (건강하게 사는 법 7) pumuri 2011-09-04 225877
13 신(神)은 죽었다!(웃기네) image pumuri 2011-07-05 210814
12 수선인의 행동지침(자신) imagemovie pumuri 2011-07-08 203309
11 정약용과 정조의 대화 (무심 10) pumuri 2011-09-29 200550
10 몸은 자신을 싣고가는 도구 (건강하게 사는 법 1) pumuri 2011-08-17 199108
9 여유 5 pumuri 2011-08-15 196226
8 날씽와 관련된 오행 불균형 (건강하게 사는 법 10) pumuri 2011-10-02 193794
7 원하는 걸 하도록 내버려 두라 (명상편지 9) pumuri 2011-09-21 176525
» 사람마다 각각 다른 불균형이 있다, (건강하게 사는 법 6) pumuri 2011-08-27 175250
5 자신의 몸은 자신이 돌볼 수 있어야 (건강하게 사는법 3) pumuri 2011-08-18 169842
4 건강보다 우선하는 가치는 없다 (건강하게 사는 법 2) pumuri 2011-08-17 166351
3 우주만큼 복잡한 인체 (건강하게 사는법 4) pumuri 2011-08-19 164180
2 매일 잠자리에 들기전에 해야 할일 (무심 6) pumuri 2011-08-25 163859
1 지금 이대로의 내가 좋아 (명상편지 8) pumuri 2011-09-06 161863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