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esc]커버스토리 지구상에서 가장 멋진 밤하늘 보여주는 오스트레일리아 북서부 별자리 여행
“100%다. 퍼펙트한 밤하늘을 내가 장담한다.” “퍼펙트? 믿을 수 없다. 과학자가 100%란 말을 쉽게 할 수 있나?” “흠, 맑지 않을 확률을 굳이 따지자면, 한 0.1%쯤 될까?” “….”
오스트레일리아 북서부 지역으로 별 구경 떠나기 직전, 사전 모임의 대화 중 한토막이다. 일반인 자연과학 학습모임 ‘박자세’(박문호의 자연과학 세상) 운영자 박문호(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박사와 권오철 천체사진 전문작가가 날이 흐릴 것을 대비해 캠핑 일수를 늘릴지 여부를 논의했던 자리다. 결론부터 말하면, 작은 눈을 별처럼 크게 반짝이며 확신했던 박 박사 말이 100% 적중했다.
뉴먼~카리지니~마블바~브룸 이어지는 오프로드 여정 은하수와 별떼 가득
서오스트레일리아(서호주) 북서부. 뉴먼에서 카리지니국립공원과 마블바를 거쳐 브룸까지, 수백㎞씩 흙먼짓길을 이동하며 만난 밤하늘은 매번 새롭고 놀라웠다. 완벽한 어둠만이 보여줄 수 있는 원시의 하늘이 거기 있었다. 구름 한점 없는 하늘을 가득 메운 별빛 아래서 자주 눈앞이 캄캄해져야 했다. “당신은 누군가?” 차갑고 깊고 어두운 저 아득한 공간에서, 알몸의 언어로 말 걸어오는 빛화살들. 때 묻고 옷 껴입은 몸, 먹고사느라 흐려진 눈과 더러워진 입, 부질없이 휘둘러온 지루하고 장황한 혀로, 저 간결 영롱한 물음에 무어라 답할 것인가. 별가루에 휩싸인 유칼립투스 나무 밑 커다란 흰개미집에 기대앉아, 하염없이 별을 보고 또 나를 들여다보았다. 몸과 마음 속속들이 파고들며 반짝거려서 무엇 하나 답할 것도, 어디 하나 숨을 곳도 없었다. 바라보고 바라봐도 늘 새로 고쳐 반짝이는 붉고 푸르고 노란 별별별들. 하늘 전체가 생각과 생각의 씨앗까지 온통 빨아들이는 블랙홀이었다. “아, 아름답구나!” 찬 땅에 등을 대고 누웠다. 둥근 밤하늘과 밤하늘을 반으로 가르며 우거진 은하수의 무성한 별떼와 정면으로 마주했다. 하늘이 이토록 넓다니!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다 별이었다.
“지구상 최고의 밤하늘이 바로 이거요!” 서호주의 밤하늘 탐방이 다섯번째인, 세계 곳곳의 밤하늘을 관찰해온 박 박사가 어둠 속에서 감동 어린 목소리로 외쳤다. 그는 “미국 서부, 몽골 사막, 남태평양 섬, 히말라야 등 내가 경험한 곳 중 가장 멋지고 완벽한 별빛을 보여주는 곳”이라며 “워낙 넓고 건조한 사막 지역이어서 사철 깨끗한 밤하늘이 보장된다”고 설명했다.
“지구상 최고의 밤하늘이 바로 이거요!” 서호주의 밤하늘 탐방이 다섯번째인, 세계 곳곳의 밤하늘을 관찰해온 박 박사가 어둠 속에서 감동 어린 목소리로 외쳤다. 그는 “미국 서부, 몽골 사막, 남태평양 섬, 히말라야 등 내가 경험한 곳 중 가장 멋지고 완벽한 별빛을 보여주는 곳”이라며 “워낙 넓고 건조한 사막 지역이어서 사철 깨끗한 밤하늘이 보장된다”고 설명했다. ... 기사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