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자 폭탄’으로 씨앗을 보호하라, 쥐로부터

조홍섭 2012. 06. 29
조회수 27041 추천수 0

네게브 사막 덩불식물, 가시쥐를 '씨앗 도둑'에서 '씨 뿌리는 일꾼'으로 만들어

과육과 씨앗에 별도 화학물질 보관, 둘이 만나면 독성물질로 `쾅'

 

44315_web.jpg » 이스라엘 네게브 사막에 사는 가시쥐가 단목서초의 열매를 먹으면서 '겨자 기름 폭탄'이 터지는 걸 피하기 위해 검은 씨앗을 뱉어내고 있다. 이 쥐는 주로 씨앗을 먹는 습성을 지녔다. 사진=미칼 사문디-블랑크, 테크니온-이스라엘공대.

 

씨앗은 식물이 자신의 유전자를 퍼뜨리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들여 만든 소중한 존재다. 이를 위해 식물은 씨앗을 먹음직한 과육으로 감싸 동물을 유인한다. 이때 중요한 건 씨앗을 파괴하지 않고 과육만 먹어 주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측면에서 쥐는 아주 골치 아픈 존재다. 쥐는 곡물, 즉 씨앗을 좋아한다. 어떤 쥐는 거의 전적으로 씨앗만 먹는다. 이런 쥐들과 상대하기 위해 식물은 아주 독특한 전략을 채택했다.
 

640px-PikiWiki_Israel_15053_The_Negev_Desert.jpg » 네게브 사막의 모습. 야생 염소와 덤불이 보인다. 사진=위키미디어 코먼스.

 

이스라엘 네게브 사막에는 목서초과의 덤불식물(Ochradenus baccatus)이 산다. 과즙과 당분이 많은데다 연중 많은 열매를 맺기 때문에 낙타, 야생염소, 조류, 설치류가 즐겨 찾는다. 이 사막에는 가시쥐가 살고 있는데, 흥미롭게도 이 쥐는 평소엔 씨앗을 즐겨 먹는데도 이 열매를 먹을 때면 씨앗을 뱉어내는 특이한 행동을 한다.
 

미국과 이스라엘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이 식물은 마치 이원 화학무기처럼 격리돼 있던 화학물질이 만나면서 독성을 뿜는 정교한 얼개를 갖추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식물은 과육을 비롯해 식물체 모든 부위에 글루코시놀레이트(GLSs)란 물질을 간직하고 있는데, 이 물질 자체로는 아무런 독성이 없다. 그런데 이 물질은 씨앗에 들어있는 마이로시나제란 효소와 만나면 활성화돼 독성물질로 바뀐다. 이 과정은 ‘겨자 기름 폭탄’으로 알려져 있다.
 

Gideon Pisanty _576px-Ochradenus_baccatus_1.jpg » 겨자 기름 폭탄을 만드는 목서초과의 덤불식물. 사진=기디온 피산티, 위키미디어 코먼스.

 

reaction.jpg » 단목서초의 열매(왼쪽)와 겨자 기름 폭탄이 만들어지는 과정. 그럼=미칼 사무니-블랑크 등, 커런트 바이올로지.

 

식물은 씨앗의 파괴를 막기 위해 종종 화학적 방어 수단을 동원한다. 칠리 고추가 좋은 예인데, 고추 씨앗에 든 캡사이신이란 매운 성분 때문에 포유류는 먹기를 꺼린다. 반대로 조류는 매운맛을 못 느끼기 때문에 고추 씨앗을 즐겨 먹지만 새들은 씨앗을 으깨어 먹지 않기 때문에 씨앗을 퍼뜨리는 구실만 한다.
 

가시쥐는 덤불에 올라가 열매를 송이째 딴 뒤 땅에서 먹었는데, 겨자 기름 폭탄이 터지는 걸 막기 위해 과육을 먹다가 씨앗이 나오면 씹지 않고 조심스레 뱉어내는 행동을 보였다. 연구자들은 씨앗의 효소가 독성을 일으키지 않도록 처리한 열매를 쥐에게 주었더니 씨앗의 20%만 뱉어냈다. 이는 그런 처리를 하지 않았을 때 씨앗의 73%를 뱉은 것과 대조가 된다. 독성만 없다면 씨앗을 주저 없이 먹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가시쥐가 겨자 기름 폭탄을 피해 열매만 먹고 씨앗을 뱉는 모습(유튜브)

 


자연 상태에서 가시쥐는 이 식물의 씨앗을 주로 바위틈에 뱉었는데 이곳은 사막에서 햇빛을 가리고 습기가 있어 식물이 싹트기 좋은 곳이다. 또 새들이 아무 곳에나 씨앗을 흩뿌린 데 비해 가시쥐는 건천(와디)에 주로 씨앗을 버렸는데, 이곳은 식물의 발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이다. 다시 말해 식물의 독성물질은 씨앗 도둑인 가시쥐를 씨앗 뿌리는 일꾼으로 바꾸어 놓은 셈이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알곡을 먹는 쥐에게서 씨앗을 뱉는 행동을 관찰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사막 생태계의 핵심종인 가시쥐가 공생관계의 유연성을 보여 주었다”고 적었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Michal Samuni-Blank, Ido Izhaki, M. Denise Dearing, Yoram Gerchman, Beny Trabelcy, Alon Lotan, William H. Karasov, Zeev Arad
Intraspecific Directed Deterrence by the Mustard Oil Bomb in a Desert Plant
Current Biology
http://dx.doi.org/10.1016/j.cub.2012.04.051,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